네트워크는 노드, 간선, 메세지로 구성된다.
: 네트워크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노드
: 네트워크를 통해 흐르는 정보를 최초로 생성 및 송신
호스트는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요청하는지에 따라 서버와 클라이언트로 나뉜다. (위 사진에서 인터넷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라고 이해하면 된다.)
: 네트워크의 중간에 위치한 노드 (=중간 노드)
: 호스트 간 주고받을 정보가 중간에서 거쳐가는 노드
: 이더넷 허브, 라우터, 스위치, 공유기 등이 그 예시
: 노드를 잇는 간선
: 유선으로 연결하는 유선 매체, 무선으로 연결하는 무선매체
: 노드가 주고받는 정보
: 근거리 통신망
: 한정된 공간에서의 네트워크
: 원거리 통신망
: LAN과 LAN을 연결
: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 WAN에 접속할 수 있도록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 국내 대표적 ISP로는 KT, LG U+, SKT.
패킷
: 메세지를 작게 쪼갠 단위
: 송신 시 패킷 단위로 메세지를 보내고,
: 수신 시 이를 다시 재조립한다.
페이로드
: 패킷을 통해 전송하고자하는 데이터
헤더, 트레일러
: 패킷 전송시 함께 전송되는 부가정보 (헤더는 필수, 트레일러는 없을 수도 있다)
프로토콜
: 노드 간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되는 의사소통 체계
: IP, ARP, TCP, UDP, HTTP, HTTPS 등이 그 예시
프로토콜의 목적과 특징은 각각 다르다.
: 따라서 각 프로토콜에 부합하는 패킷의 내용이나 헤더, 트레일러의 내용이 달라질 수 있다.
통신 단계를 7개로 나눈 네트워크 모델이다.
사진 출처 : https://www.cloudflare.com/ko-kr/learning/ddos/glossary/open-systems-interconnection-model-osi/
물리 계층
: 비트 스트림을 주고받는 계층
: 가장 근원적인 통신이 이루어진다
: 통신 매체에 따라 전기, 빛, 전파 등의 형태로 전달
데이터 링크 계층
: 네트워크 내 주변 장치 간의 정보를 주고받기 위함
: MAC 주소 체계를 통해 송수신지 특정
네트워크 계층
: 네트워크 간 통신
: IP 주소체계 사용
전송 계층
: 해킷의 흐름을 제어
: 전송 오류 점검
: 포트를 통해 실행 중인 응용프로그램을 식별
세션 계층
: 세션을 관리(생성,유지,종료 등)하기 위한 층
: 세션은 통신을 주고받는 호스트의 응용 프로그램 간 연결 상태를 의미
표현 계층
: 문자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코드로 변환
: 압축, 암호화
응용 계층
: 응용 프로그램과 가장 밀접히 맞닿아있는 계층
: 실질적인 네트워크 서비스가 제공
이론보다는 구현에 중점을 둔 네트워크 참조 모델
사진 출처 : https://levelup.gitconnected.com/tcp-model-33f2a0c62708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 OSI 모델의 데이터 링크 층과 유사
인터넷 계층
: OSI 모델의 네트워크 계층과 유사
전송 계층
: OSI 모델의 전송 계층과 유사
응용 계층
: OSI 모델의 세션, 표현, 응용 계층을 합친 것과 유사
OSI 모델 및 TCP/IP 모델 차이점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네트워크 계층 구조를 작성해 보기
OSI 모델 | TCP / IP |
---|---|
이론에 초점 | 구현에 초점 |
7계층 | 4-5 계층 |
OSI 네트워크 계층 구조
: 물리 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전송 계층 -> 세션 계층 -> 표현 계층 -> 물리 계층
TCP/IP 모델
: (물리 계층) ->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 인터넷 계층 -> 전송 계층 -> 응용 계층
Ch.01(01-1) 확인 문제 2번(p.35), (01-3) 확인 문제 2번(p.73) 풀고 설명하기
35p 2번
정답 : 1번.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과정에 도움을 준다.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유지보수할 때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는 큰 도움이 된다.
73p 2번
정답 : 2번 TCP/IP 모델은 4개의 계층으로 통신 과정을 구분합니다.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인터넷 계층, 전송 계층, 응용 계층 총 4개의 계층으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