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iki.winehq.org/Ubuntusudo dpkg --add-architecture i386비밀번호를 입력하라고 나온다. 비밀번호를 입력해준다.wget -nc https://dl.winehq.org/wine-builds/wineh
리눅스 홈 디렉토리에서 coin이라는 폴더를 만든다.mkdir coin저번에 빌드를 끝낸 pencoin에 들어가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한다.sudo make install DESTDIR=/home/\[계정이름]/coin완료후 coin디렉토리에 들어가서 bin폴더에
은행에서 돈을 거래할 때 오류가 생기면 은행에 책임을 물을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코인거래에서 오류가 생기면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야 할까... 거래소를 통한 이전이 아니라면 책임을 질 사람은 아마도 없지 않을까싶다. ㅠㅠ나만의 코인을 빌드하고 거래하면서 거래오류가 생겨
검토 및 시작을 누르면 바로 7단계 검토단계로 넘어온다. 여기서 6.보안 그룹 구성을 클릭한다. SSH 가 되어있을 것이다. 여기에 인바운드 규칙을 추가해준다. 이런 식으로 추가해준다. 마이크로 컴퓨팅이므로 하나의 서버에 여러개의 서버를 돌릴 수 있다.그 다음에 검토
E: The repository 'https://deb.nodesource.com/node_14.x focal Release' no longer has a Release file.오류해결법sudo apt install ca-certificates
하도 맨날 적어야하길래 힘들어서 shellscript로 적어보았다.그런데 이게 더 오래걸렸다는건 비밀...😂😂이건 실행할 때 & 을 붙여서 백그라운드로 실행시키는게 좋을 거 같다.sleep 1 안해주면 이상해진다고 한다. while문을 이용해서 무한 루프를 돌리는데
우리가 거래소를 만들 때 유저의 id를 이메일 형식으로 저장을 해서 rpc통신하는데 문제가 생겼다.그리고 비밀번호도 JWT토큰을 사용했더니 특수문자까지 껴가지고는 더욱 이상한 url이 되었다.그래서 해결책으로 https://emn178.github.io/onl
이렇게 allowip에 추가하면 서버가 연결이 되어서 로컬에서 데몬이 돌아가고 있으면 서버에서 데몬이 돌아갈 수 없다. 그래서 rpcallowip는 데몬 서버가 있는 ip만 해놓는게 맞다.
ubuntu@ip-172-31-6-78:~/workspace/execute/bin$ ./grootcoin-cli -conf=/home/ubuntu/workspace/execute/bin/grootcoin1.conf getnewaddress groot1@naver.com
프론트랑 백이랑 한 서버에 같이 올리도록 하겠다. git clone git clone 레포지토리 주소 npm i 프론트와 백 서버 둘 다 들어가서 npm i 을 통해 패키지들을 설칳패준다. 3.pm2 설치하기 sudo npm i -g pm2 4.pm2 실행하기(
지금 groot1@naver.com 에는 8001GRT가 있다. groot2@naver.com에는 0GRT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저번에는 groot1@naver.com의 지갑 주소를 새로 만들었다.이번에는 groot2@naver.com의 지갑 주소를 새로 만들어보
수업시간에는 "Content-type": "application/json"으로 headers를 구성했는데 getbalance는 이게 되는 반면, sendfrom은 에러가 났다. 그 이유를 찾기위해 윈도우로 채굴을 감행해야했다 ㅠㅠㅠ;headers구성을 다르게 해주니 되
이번 프로젝트는 너무 바빴다. coin빌드도 하고, websocket에 대해서도 알아보고, rpc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이번엔 내가 코드를 치기보다는 내가 연구한 걸 남들에게 어떻게 하면 된다고 알려주는 역할을 해서 이번에는 코드를 쓰는 일이 적었다. 근데 팀원들은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