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1912 연속합

고장난 고양이·2022년 9월 12일
0

알고리즘_python

목록 보기
67/84
post-thumbnail

문제

n개의 정수로 이루어진 임의의 수열이 주어진다. 우리는 이 중 연속된 몇 개의 수를 선택해서 구할 수 있는 합 중 가장 큰 합을 구하려고 한다. 단, 수는 한 개 이상 선택해야 한다.

예를 들어서 10, -4, 3, 1, 5, 6, -35, 12, 21, -1 이라는 수열이 주어졌다고 하자. 여기서 정답은 12+21인 33이 정답이 된다.

입력

첫째 줄에 정수 n(1 ≤ n ≤ 100,000)이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n개의 정수로 이루어진 수열이 주어진다. 수는 -1,000보다 크거나 같고,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답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0
10 -4 3 1 5 6 -35 12 21 -1

예제 출력 1

33

예제 입력 2

10
2 1 -4 3 4 -4 6 5 -5 1

예제 출력 2

14

예제 입력 3

5
-1 -2 -3 -4 -5

예제 출력 3

-1

방황

n = int(input())
l = list(map(int, input().split()))
dp = []

for i in range(n):
    tmp = []
    for j in range(i, n):
        tmp.append(sum(l[i:j + 1]))

     dp.append(tmp)

max_value = max(map(max, dp))
print(max_value)

구간의 합을 구할려면 전체적인 값을 가지고 있어야한다고 생각하고 이중 배열로 값을 저장하면 될것 같다고 생각하였다. 논리는 맞아도.. 시간과 메모리측면에서 엄청난 손해였다.

코드

n=int(input())
l=list(map(int, input().split()))

for i in range(1,n):
    l[i]=max(l[i-1]+l[i],l[i])

print(max(l))

1부터 시작해서 앞의 값의 합과 현재값의 비교를 통해서 구간합을 구하는 방식이었다. 처음엔 이해가 되지않았으나. 만들어진 리스트들을 보니 이해가되었다.

profile
개발새발X발일지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