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많은 마라톤 선수들이 마라톤에 참여하였습니다. 단 한 명의 선수를 제외하고는 모든 선수가 마라톤을 완주하였습니다.
마라톤에 참여한 선수들의 이름이 담긴 배열 participant와 완주한 선수들의 이름이 담긴 배열 completion이 주어질 때, 완주하지 못한 선수의 이름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마라톤 경기에 참여한 선수의 수는 1명 이상 100,000명 이하입니다.
completion의 길이는 participant의 길이보다 1 작습니다.
참가자의 이름은 1개 이상 20개 이하의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참가자 중에는 동명이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입출력 예
participant completion return
["leo", "kiki", "eden"]["eden", "kiki"] "leo"
["marina", "josipa", "nikola", "vinko", "filipa"]["josipa", "filipa", "marina", "nikola"] "vinko"
["mislav", "stanko", "mislav", "ana"]["stanko", "ana", "mislav"] "mislav"
입출력 예 설명
예제 #1
"leo"는 참여자 명단에는 있지만, 완주자 명단에는 없기 때문에 완주하지 못했습니다.
예제 #2
"vinko"는 참여자 명단에는 있지만, 완주자 명단에는 없기 때문에 완주하지 못했습니다.
예제 #3
"mislav"는 참여자 명단에는 두 명이 있지만, 완주자 명단에는 한 명밖에 없기 때문에 한명은 완주하지 못했습니다.
처음엔 python의 set 을 이용해서 풀고자하였다.
def solution(participant, completion):
player = list(set(participant)-set(completion))
return player[0]
이와 같은 경우엔 1번과 2번의 경우엔 가능하지만 3번과 같이 중복되는 이름이 있을경우엔 함께 지워지기 때문에
[] 이 결과값으로 나와 실패하게 된다.
따라서 마침 테마가 해쉬인 점을 착안하여 최대한 해쉬를 반영하여 풀기로 하였다.
def solution(participant, completion):
answer=dict()
hashCount=0
for p in participant:
answer[hash(p)]=p
hashCount+=hash(p)
for c in completion:
hashCount-=hash(c)
return answer[hashCount]
성공한 코드는 이러하다. 먼저 답으로 제출할 딕셔너리를 만들고, 참가자 명단을 해쉬처리를 한 후에 해당하는 해쉬에 값을 넣어준다. 그후 총 해쉬값을 만든 후 완료자들의 해쉬값들을 빼주면 남아있는 한사람의 해쉬값만 남게된다.
(이게 어떻게 레벨1이지..)
학교에서 배우는 해쉬테이블의 것과는 많이 달라서 당황하게된 첫 문제였다. 허허..
import collections
def solution(participant, completion):
answer = collections.Counter(participant) - collections.Counter(completion)
return list(answer.keys())[0]
대단하다는 생각밖에 들지않았다.
collections 의 counter는 각 list의 요소를 key와 붙여서 dic으로 변환 시켜준다. 즉 3번과 같은 경우에도 별개의 것으로 취급하기때문에 중복도 문제 없게된다.
dic이 빼기가 된다는것에 일단 놀라기도하고 저런건 어디서 찾는거지 정말... 대단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