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값들 저장하지만
순서와 중복을 보장하지 않는다.
중괄호를 사용한 리터럴을 사용한다.
my_set = {'돈가스', '보쌈', '제육덮밥'}
두개의 set에서 교집합인 set을 반환한다.
차집합 연산자 & 와 동일하다.
A = {'돈가스', '보쌈', '제육덮밥'}
B = {'짬뽕' , '초밥', '제육덮밥'}
print(A.intersection(B)) # {'제육덮밥'}
# print(a & b) 와 동일
두개의 set에서 합집합인 set을 반환한다.
합집합 연산자 | 와 동일하다.
A = {'돈가스', '보쌈', '제육덮밥'}
B = {'짬뽕' , '초밥', '제육덮밥'}
print(A.union(B)) # {'돈가스', '보쌈', '제육덮밥', '초밥', '짬뽐'}
# print(a | b) 와 동일
두개의 set에서 파라미터의 set을 뺀 차집합 set을 반환한다.
차집합 연산자 - 와 동일하다.
A = {'돈가스', '보쌈', '제육덮밥'}
B = {'짬뽕' , '초밥', '제육덮밥'}
print(A.difference(B)) # {'돈가스', '보쌈'}
# print(a - b) 와 동일
두개의 set을 더한후 우측 연산자 set을 뺀 차집합을 반환한다.
대칭차집합 연산자 ^ 와 동일하다.
a = {1, 2, 3, 4, 5}
b = {3, 4, 5, 6, 7}
print(a.symmetric_difference(b)) # {1, 2, 6, 7}
# print(a ^ b) 와 동일
set에 값을 추가한다.
my_set = {'돈가스', '보쌈', '제육덮밥'}
my_set.add('닭갈비')
print(my_set) # {'제육덮밥', '닭갈비', '돈가스', '보쌈'}
set에서 값을 제거한다.
my_set = {'돈가스', '보쌈', '제육덮밥'}
my_set.remove('제육덮밥')
print(my_set) # {'보쌈', '돈가스'}
set에서 값을 삭제한다.
값이 존재하지 않아도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my_set = {'돈가스', '보쌈', '제육덮밥'}
my_set.discard('asdf')
print(my_set) # {'제육덮밥', '보쌈', '돈가스'}
set의 모든 값을 삭제한다.
my_set = {'돈가스', '보쌈', '제육덮밥'}
my_set.clear()
print(my_set); # set()
set 자체를 삭제한다.
리스트와 튜플에서도 동일하게 사용 가능하다.
my_set = {'돈가스', '보쌈', '제육덮밥'}
del my_set # 완전 삭제
print(my_set) # NameError: name 'my_set' is not defined
두 세트에 겹치는 값이 없는지 여부를 불리언 값으로 반환한다.
A = {'돈가스', '보쌈', '제육덮밥'}
B = {'짬뽕' , '초밥', '제육덮밥'}
print(A.isdisjoint(B)) # False
A = {'돈가스', '보쌈', '제육덮밥'}
B = {'짬뽕' , '초밥'}
print(A.isdisjoint(B)) # True
다른 세트의 부분집합인지 여부를 불리언 값으로 반환한다
A = {'돈가스', '보쌈'}
B = {'돈가스', '보쌈', '제육덮밥'}
print(A.issubset(B)) # True
print(B.issubset(A)) # False
다른 세트의 상위집합 여부를 불리언 값으로 반환한다
A = {'돈가스', '보쌈'}
B = {'돈가스', '보쌈', '제육덮밥'}
print(A.issuperset(B)) # False
print(B.issuperset(A)) # True
다른 세트의 상위집합 여부를 불리언 값으로 반환한다
A = {'돈가스', '보쌈'}
B = {'돈가스', '보쌈', '제육덮밥'}
A.update(B)
print(A) # {'제육덮밥', '돈가스', '보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