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델링
복잡한 현실 세계를 단순화 시켜 표현하는 것
추상화
현실 세계를 일정한 형식에 맞추어 표현하는 것
단순화
복잡한 현실 세계를 약속된 규약에 의해 제한된 표기법이나 언어로 표현하는 것
명확화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대상에 대한 애매함을 제거하고 정확하게 현상을 기술하는 것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데이터 관점의 업무 분석 기법
현실 세계의 데이터에 대해 약속된 표기법에 의해 표현되는 과정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분석/설계의 과정
중복 (Duplication)
데이터 모델은 같은 데이터를 사용하는 사람, 시간, 장소를 파악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지식 응용은 데이터베이스가 여러 장소에 같은 정보를 저장하지 않도록 한다
비유연성 (Inflexibility)
데이터의 정의를 데이터의 사용프로세스와 분리함으로써 데이터 모델링은 데이터 or 프로세스의 작은 변화가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베이스에 중대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을 줄였다.
비일관성 (Inconsistency)
데이터 모델링을 할 때 데이터 간의 상호 연관 관계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하는 것은 이러한 위험을 사전에 예방해준다.
추상화 수준이 높고 업부 중심적이며 포괄적인 수준의 모델링
전사적 데이터 모델
핵심 엔터티와 그들 간의 관계를 발견하고, 그것을 표현하기 위해 엔터티-관계 다이어그램을 생성하는 것
시스템으로 구축하고자 하는 업무에 대해 key, 속성, 관계 등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
재사용성이 높다
정규화를 진행하는 단계
실제 데이터베이스에 이식할 수 있도록 성능, 저장 등 물리적인 성격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테이블, 칼럼 등으로 표현되는 물리적인 저장구조와 사용될 저장 장치, 자료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될 접근 방법 등이 결정된다
외부 스키마 (External Schema )
- View 단계
- 여러 개의 사용자 관점으로 구성
- 사용자 단계로서 개인적 DB 스키마
- DB의 사용자나 응용프로그래머가 접근하는 DB 정의
개념 스키마 (Conceptual Schema)
- 개념 단계
- 하나의 개념적 스키마로 구성
- 모든 사용자 관점을 통합한 조직 전체의 DB를 기술하는 것
- 모든 응용시스템들이나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통합한 조직 전체의 DB를 기술한 것
- DB에 저장되는 데이터와 그들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스키마
내부 스키마 (Internal Schema)
- 내부 단계
- 내부 스키마로 구성
- DB가 물리적으로 저장된 형식
- 물리적 장치에서 데이터가 실제적으로 저장되는 방법을 표현하는 스키마
논리적 독립성
- 개념 스키마가 변경되어도 외부 스키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지원하는 것
- 논리적 구조가 변경되어도 응용 프로그램에 영향이 없음
- 사용자 특성에 맞도록 변경 가능
- 통합 구조 변경 가능
물리적 독립성
- 내부 스키마가 변경되어도 외부/개념 스키마는 영향을 받지 않도록 지원하는 것
- 저장 장치의 구조 변경은 응용프로그램과 개념 스키마에 영향 없음
- 물리적 구조에 영향 없이 개념구조 변경 가능
- 개념구조에 영향 없이 물리적 구조 변경 가능
외부적/개념적 사상 (논리적사상)
외부적 View와 개념적 View의 상호 관련성을 정의한다
ex. 사용자가 접근하는 형식에 따라 다른 타입의 필드를 가질 수 있다. 개념적 View의 필드 타입은 변화가 없다
개념적/내부적 사상 (물리적사상)
개념적 View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상호관련성을 정의한다
ex.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구조가 변한다면, 개념적/내부적 사상이 바뀌어야한다. 그래야 개념적 스키마가 남아있게 되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