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ray의 각 element 중 divisor로 나누어 떨어지는 값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배열을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작성해주세요.
divisor로 나누어 떨어지는 element가 하나도 없다면 배열에 -1을 담아 반환하세요.
arr | divisor | return |
---|---|---|
[5,9,7,10] | 5 | [5,10] |
[2,36,1,3] | 1 | [1,2,3,36] |
[3,2,6] | 10 | [-1] |
입출력 예#1
입출력 예#2
입출력 예#3
function solution(arr, divisor) {
var answer = [];
return answer;
}
function solution(arr, divisor) {
var answer = [];
var result = arr.map((cur, i) => cur % divisor ? null : answer.push(cur));
//arr의 각 요소들을 divisor로 나눈 나머지가 0 (=false) 이라면 answer에 push,
//나머지가 0이 아니라면 (=true) 아무 것도 하지마라
if (answer.length > 0) {
answer.sort(function(a,b) {
return a - b;
}) //오름차순으로 정렬
return answer;
} else {
return answer=[-1];
}
}
array의 요소들에 무엇을 한다고 해서 .map이 떠올랐고, divisor로 나누어지는 값은 결국, %divisor ==0 이라는 뜻이어서 이것을 조건 삼항 연산자로 풀었다.
array의 요소들을 오름차순 하는 function은 구글링해서 찾았다.
앞으론 전에 사용했었던 함수들은 skip
(출처: https://developer.mozilla.org/ko/)
function solution(arr, divisor) {
var answer = arr.filter(v => v%divisor == 0);
//arr의 요소들 중에 divisor로 나누어지는 값들로만 이루어진 새 array answer로 변환
return answer.length == 0 ? [-1] : answer.sort((a,b) => a-b);
//answer의 length가 0이라면 [-1]을 반환하고, 아니면 오름차순으로 정렬 후 반환
//마지막 문장은 나라면
return answer.length ? answer.sort((a,b) => a-b): [-1];
//이렇게 쓸 것이다. (JS는 0을 false로 받는다는 것을 사용)
}
(출처: https://developer.mozilla.org/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