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정리] 알고리즘 (Algorithm)

김정욱·2021년 5월 26일
2

면접준비

목록 보기
2/6
post-thumbnail
post-custom-banner

다양한 정렬

Ref : https://github.com/neity16/tech-interview-for-developer

버블 정렬(Bubble Sort)

  • 동작
    • 인접한 인자비교하여 더 큰 원소로 보내는 정렬 방식
  • 시간복잡도 = O(N^2)
  • 공간복잡도 = O(N) --> 추가로 공간을 필요로하지는 않고 기존 배열만큼만 사용

선택 정렬(Selection Sort)

  • 동작
    • 현재 자리현재 차례에 해당하는 가장 작은 값을 가져와서 정렬
  • 시간복잡도 = O(N^2)
  • 공간복잡도 = O(N)

삽입 정렬(Insertion Sort)

  • 동작
    • 2번째 원소부터 시작해서 그 앞 원소들비교해서 삽입할 위치를 정한 후 선택된 위치원소삽입하는 정렬
  • 선택정렬유사하지만 최선의 경우 O(N)이라는 효율성을 가짐
  • 시간복잡도 O(N^2) / 최선의 경우 O(N)
  • 공간복잡도 O(N)

퀵 정렬(Quick Sort)

  • 동작
    1) 피벗선택한 후
    2) 오른쪽에서는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피벗보다 작은 수찾는다
    3) 왼쪽에서는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피벗보다 큰 수찾는다
    4) 2,3번에서 찾은 두 수를 교환한다.
    5) 2~4더 이상 진행할 수 없을 때 까지 반복하고 엇갈린 자리중 작은값피벗자리 교환
    6) 결과적으로 피벗중심으로 왼쪽은 피벗보다 작은수, 오른쪽은 큰 수정렬
    7) 정렬된 두 집단에서 다시 피봇을 정해서 반복!
  • 평균적으로 O(NlogN)시간복잡도
  • O(N)공간복잡도
  • 분할 정복 기법으로 동작(최악의 경우 제외하고)
  • 가장 작거나 큰 값피벗으로 설정할 경우 분할되지 않아서 O(N^2)를 가짐
  • 서로 먼 거리에 있는 요소교환하면서 속도를 줄일 수 있음
  • 불안정 정렬
    : 같은 값가지는 요소순서보장되지 않음

합병 정렬(Merge Sort)

  • 동작
    • 영역을 쪼갤 수 있을 때 까지 쪼갠 뒤 합병(merge)하면서 정렬 수행
  • 순차적인 비교정렬을 진행하므로 Linked-list 정렬이 필요할 때 매우 효율적
    --> 삽입 삭제 연산O(1)이라서 효율적
    (접근 연산O(N)이 소요되므로 퀵 정렬을 하면 비효율적이다)
  • 퀵 정렬과는 다르게 안정 정렬에 속함
    : 같은 값을 정렬할 때 순서가 보장됨
  • 평균, 최선, 최악 모두 O(NlogN)
  • 공간복잡도O(N)

힙 정렬(Heap Sort)

  • 동작
    1) Heapify 연산을 통해 최대 or 최소 heap구조변환
    2) root값가장 마지막 원소교환
    3) 힙의 사이즈하나 감소
    4) 1~3 반복
  • 완전 이진트리기본으로하는 힙(Heap) 자료구조기반으로 한 정렬
  • 시간복잡도 : O(NlogN)
  • 퀵정렬합병정렬의 성능이 좋아 자주 사용되지는 않는다
  • 가장 큰 값을 구할 때 효율적 --> heapifyO(logN)밖에 안걸리기 때문

기수 정렬(Radix Sort)

  • 동작
    • 모든 원소기본 요소(Radix)이용하여 정렬을 진행
      1) 모든 원소1의 자리 수비교해서 정렬
      2) 1의 결과를 바탕으로 10의 자리 수비교해서 정렬
      3) n자리수까지 비교반복
      4) 마지막 자리수까지 검사하면 정렬 완료
  • 특정 자리수이용정렬을 진행
  • 비교를 하지 않기 때문빠른 시간복잡도를 가짐
  • 시간복잡도는 O(d*N) / d=정렬할 숫자의 자리수를 의미
  • 제한 사항
    • 길이가 같은 원소만 비교 가능
    • 버킷이라는 추가적인 메모리 공간이 필요

계수 정렬(Counting Sort)

  • 동작
    • 각 숫자몇 번 등장했는지 센 뒤 작은 값부터 출력하면 정렬이 된다.
  • 안정 정렬
    : 같은 값의 순서가 보장된다
  • 시간복잡도 : O(N)
  • 기수정렬과 마찬가지로 비교를 하지 않기 때문빠른 정렬 이 가능
  • 제한
    • 정렬하는 숫자특정한 범위 내에 있을 때사용 가능
    • 해당 숫자 범위 만큼 메모리가 필요 --> 낭비가 심함

안정 vs 불안정

  • 안정 정렬
    • 버블 정렬
    • 삽입 정렬
    • 병합 정렬
    • 계수 정렬
    • 기수 정렬
  • 불안정 정렬
    • 퀵정렬
    • 선택 정렬
    • 힙 정렬

위상 정렬(Topological Sort)

개념

  • 순서가 정해져있는 작업차례로 수행해야 할 때, 그 순서를 결정해주는 알고리즘
  • 여러개의 경로가 존재할 수 있음 --> 여러개의 답이 존재할 수 있다!
  • 반드시 그래프DAG(Directed Acyclic Graph) 여야 한다
  • 시간복잡도 = O(V+E)

조건 & 구현

  • DAG(Directed Acyclic Graph)
    • 사이클이 존재하지 않는 방향 그래프
  • 스택 / 를 이용해서 구현 가능 --> 보통은 큐를 많이 사용
  • 진입 차수(indegree)
    • 해당 노드를 향한 방향의 수 (받는 화살표의 수)

로직

  • 모든 노드진입 차수 계산
  • 진입 차수0인 노드에 삽입
  • 큐에서 꺼낸 노드연결된 간선제거
  • 제거 후 진입 차수가 0이 된 노드에 삽입
  • 큐가 빌 때 까지 앞 과정을 반복

알고리즘 분류

그리디(욕심쟁이) 알고리즘

  • 동적프로그래밍(DP)이 지나치게 많은 일을 하는 것에서 착안된 알고리즘
    --> DP를 보완하는 알고리즘 이다.
  • 당장 눈 앞에 보이는 최적의 상황만을 쫓는 알고리즘
  • 부분에서의 최적의 해전체적인 최적의 해가 되는 경우!
  • 무조건 큰 경우대로 / 작은 경우대로 처럼 극단적으로 문제에 접근한다
    --> 정렬(sort)기법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ex) 거스름돈 주기 : 무조건 큰 화폐부터 거슬러 주면 된다 ! (최적의 해)

백트래킹 알고리즘

  •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모든 경우의 수에 대해 수행하는 알고리즘
  • 해를 찾는 도중 해가 아니어서 막히면, 되돌아가서 다시 해를 찾아가는 기법
  • 브루트포스(완전탐색)유사하지만,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의 수를 수행한다는 차이점이 있음
  • 해를 찾아가는 도중, 지금의 경로가 해가 될 것 같지 않으면 그 경로를 더이상 가지 않고 되돌아 간다
    --> 이것을 가지치기 한다고 한다
  • 주된 사용
    : DFS등으로 모든 경우의 수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조건문 등을 걸어서 답이 절대로 될 수 없는 상황을 정의하여
    그러한 상황에서 탐색을 중지시킨 뒤 돌아가서 다른 경우를 탐색
    하게 한다.

예시 문제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int N, M;
int arr[10];
bool isused[10];
void func(int depth){
    if(depth == M){
        for(int i=0;i < M;i++)
            cout << arr[i] << ' ';
        cout << '\n';
        return;
    }else{
        /* 백트래킹 핵심 부분 */
        for(int i=1;i<=N;i++)
        {
            if(!isused[i]){
                arr[depth] = i;
                isused[i] = true;
                func(depth+1);
                isused[i] = false;
            }
        }
    }
}
int main() {
    ios::sync_with_stdio(0);
    cin.tie(0);

    cin >> N >> M;
    func(0);
    return 0;
}

최단 경로 알고리즘

다익스트라 최단경로 알고리즘

[ Intro ]

  • 그래프에서 정점끼리 최단 경로를 구하는 방법
    • 하나의 정점 --> 다른 하나의 정점까지 최단경로
    • 하나의 정점 --> 다른 모든 정점까지의 최단경로
      • Dijkstra 알고리즘
      • 벨만-포드 알고리즘
    • 하나의 목적지로가는 모든 최단 경로
    • 모든 정점끼리의 최단 경로를 구하는 문제
      • 플로이드 워셜 알고리즘
  • 다익스트라 최단경로 알고리즘하나의 정점 --> 다른 모든 정점까지 최단경로 에 해당

[ 로직 ]

  1. 모든 노드간 이동거리 배열을 INF(큰 값)으로 초기화
  2. 출발 노드(정해짐)를 통해 갈 수 있는 경로 갱신
  3. 갱신된 테이블을 통해 방문하지 않은 노드최단거리가 가장 짧은 노드를 선택
  4. 노드 간 이동거리가 더짧다면 갱신하며 수행
  5. 다시 방문하지 않은 노드최단거리가 가장 짧은 노드를 선택 후 반복!

[ 설명 ]

  • 다익스트라가 제시안 최단경로 알고리즘
  • 현재 노드연결된 정점까지 최소 경로갱신한 뒤, 현재기준으로 방문하지 않은 점 들 중거리가 가장 짧은 노드선택하는 알고리즘
    --> 한 단계하나의 노드에 대한 최단 거리를 확실히 찾는다
  • 현재 상황에서 최선을 선택한다는 원리로 '그리디 알고리즘'으로 분류된다
  • 간선음의 값을 가지면 성립되지 X
    --> 이 경우 벨만-포드 알고리즘사용해야 한다
  • 단순 값이 아닌 경로를 찾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코드가 필요
  • 구현 방법에 따라 시간복잡도가 상이하다
    • 배열로 구현 -> O(V^2)
    • 우선순위 큐로 구현 -> O(ElogE) --> O(ElogV)
      (모든 간선은 한번씩 수행 O(E) + 우선순위 큐를 통해 값을 추출 O(logE) = O(ElogE))
      : Heap 자료구조를 사용하면 노드를 선택하는 과정을 O(N)이 아닌 O(logN)으로 가능
      (최대 힙 -> 값이 큰 값이 먼저 나옴
      최소 힙 -> 값이 작은 값이 먼저 나옴)

[ 예시 & 코드 ]

priority_queue를 이용한 Dijkstra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queue>
#include <algorithm>
#define INF 1e9 // 10억을 의미
using namespace std;
vector<pair<int,int>> graph[30001]; // 0인덱스는 사용하지 X
int dis[30001]; // 0인덱스는 사용하지 X
void dijkstra(int start){
    priority_queue<pair<int,int>, vector<pair<int,int>>, greater<pair<int,int>>> pq;
    pq.push({0, start});
    dis[start] = 0;
    while(!pq.empty())
    {
        int dist = pq.top().first; // 비용
        int now = pq.top().second; // 현재 거쳐가는 지점의 인덱스
        pq.pop();
        if(dis[now] < dist) continue;
        /* i는 의미 없고 그냥 순회하기 위한 변수 */
        for(int i=0;i<graph[now].size();i++)
        {
            /* first-> 목적지 , second -> 목적지 까지 필요한 비용 */
            int cost = dist + graph[now][i].second; // 비용 계산
            if(cost < dis[graph[now][i].first]){ // first에는 목적지가 들어가있고 현재 기록된 값이랑 비교 검사
                dis[graph[now][i].first] = cost;
                // first까지 가는데 들어가는 비용 cost를 갱신하고 pq에 삽입
                pq.push({cost, graph[now][i].first});
            }
        }
    }
}
int main(){
    ios::sync_with_stdio(0);
    cin.tie(0);
    cout.tie(0);

    int N, M, C;
    int cnt=0, MAX=0;
    cin >> N >> M >> C;
    fill(dis, dis+30001, INF);
    for(int i=0;i<M;i++)
    {
        int a,b,c;
        cin >> a >> b >> c;
        graph[a].push_back({b,c});
    }
    dijkstra(C);
    for(int i=1;i<=N;i++)
        if(dis[i] != INF){
            cnt++;
            MAX = max(MAX, dis[i]);
        }
    cout << cnt-1 << ' '<< MAX << '\n';
    return 0;
}

벨만 포드 알고리즘

ref : https://ssungkang.tistory.com/entry/Algorithm-%EB%B2%A8%EB%A7%8C%ED%8F%AC%EB%93%9CBellman-Ford-%EC%95%8C%EA%B3%A0%EB%A6%AC%EC%A6%98
https://victorydntmd.tistory.com/104
https://yabmoons.tistory.com/365

[ 설명 ]

  • 한 노드 -> 다른 모든 노드 까지의 최단경로계산하는 알고리즘
  • 음수의 가중치를 가진 경우에도 최단 경로를 구할 수 있음
    (다익스트라의 한계 극복 / 시간복잡도는 더 높다)
  • 시간복잡도 = O(|V||E|) = O(V^3)
    (그래프의 간선이 많으면 보통 정점 개수의 제곱 정도로 존재 / O(E) = O(V^2))
  • 음의 가중치를 갖는 상황에서 순환(Cycle)이 생기면 경로가 계속 짧아지지만, 이것은 실질적인 최단 경로가 아니다
    --> 벨만 포드핵심순환을 포함하지 않으며, 경로의 길이최대 |V|-1을 가진다는 것!
  • Relax 연산
    • 해당 정점에서 더 낮은 가중치로 도달할 수 있는 경우, 그 값을 갱신해 주는 과정
      (모든 정점한 번이라도 계산된 정점연결된 간선을 통해 갱신 수행!)
  • 음의 Cycle 검사
    • Relax연산V(N-1)까지 수행하면 최단 거리가 나오도록 설계가 되어있다
    • 만약 V(N)에 대해 Relax연산을 수행했는데 최단 경로가 갱신되면 음의 Cycle인 경우라고 판단 가능!

[ 로직 ]

  • 출발 정점(V1)의 거리는 0 / 다른 정점까지 거리는 INF로 초기화
  • 모든 정점(V1 ~ VN)한 번이라도 계산된 정점에 대해서만 연결된 간선을 통해 최소 경로인 경우 갱신
    • 한 번이라도 계산된 정점(dist가 INF가 아닌 정점)만 선택해야 하는 이유!
      --> 한번도 경유하지 않은 점은 거쳐서 갈 수 없기 때문에 간선의 비용이 짧아도 유효하지 X
  • 출발 정점V2 ~ VN까지 확장해서 앞 과정을 반복!
    --> 즉, V1 ~ V(N-1)까지Relax 연산을 수행

    --> 하지만, 보통 음의 Cycle검사하기 위해 V(N)까지 수행

[ 코드 ]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using namespace std;

#define INF 987654321

int dist[502];
vector<pair<int,int>> v[502];

int main(){
    ios_base :: sync_with_stdio(false);
    cin.tie(NULL);
    cout.tie(NULL);
    // 정점,간선의 수
    int N,M;
    cin >> N >> M;

    bool cycle = false;

    for (int i=0;i<M;i++){
        int node1,node2,w;
        cin >> node1 >> node2 >> w;
        v[node1].push_back(make_pair(node2, w));
    }

    for (int i=1;i<=N;i++){
        dist[i] = INF;
    }

    dist[1] = 0;
  	// 경로의 길이는 N-1 이고 N 이 된다면 음수사이클 생긴다.
    for (int i=1;i<=N;i++){
        // 모든 정점에 대해서 모든 간선을 탐색한다.
        for (int j=1;j<=N;j++){
            for (auto &n : v[j]){
              	// 방문되지 않은 지점에서 출발은 SKIP
                if (dist[j] != INF && dist[n.first]>n.second + dist[j]){
                    dist[n.first] = n.second + dist[j];
                    if (i==N) cycle = true;
                }
            }
        }
    }

    if (cycle) cout << "-1\n";
    else {
        for (int i=2;i<=N;i++){
            if (dist[i] == INF) cout << "-1\n";
            else cout << dist[i] << "\n";
        }
    }
}

플로이드 워셜 알고리즘

[ 설명 ]

  • 모든 노드 -> 다른 모든 노드까지의 최단경로 모두 계산하는 알고리즘
  • 다익스트라 알고리즘과 마찬가지로 거쳐가는 노드기준으로 알고리즘을 수행
  • 2차원 배열을 통해 모든 노드최단거리를 기록
  • 2차원 테이블 배열점화식에 따라 갱신한다는 점에서 DP에 속함
    : 점화식에 맞게 배열을 갱신한다
  • 시간복잡도가 무조건 O(V^3)이기 때문에 플로이드 워셜을 쓰는 문제의 입력500을 넘지 않게 주어진다

[ 코드 ]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queue>
#include <algorithm>
#define INF 1e9 // 10억을 의미
using namespace std;
int graph[501][501];
int main(){
    ios::sync_with_stdio(0);
    cin.tie(0);
    cout.tie(0);

    int N,M;
    cin >> N >> M;
    /* 최단거리 테이블을 모두 무한으로 초기화 */
    for(int i=0;i<501;i++)
        fill(graph[i], graph[i]+501, INF);
    /* 자기 자신으로 가는 비용은 0으로 초기화 */
    for(int a=1;a<=N;a++)
        for(int b=1;b<=N;b++)
            if(a==b) graph[a][b] = 0;
    for(int k=1;k<=N;k++)
    {
        for(int a=1;a<=N;a++)
        {
            for(int b=1;b<=N;b++)
                /* a-> 출발노드, b-> 도착노드 , k-> 경유 노드 */
                graph[a][b] = min(graph[a][b], graph[a][k]+graph[k][b]);
        }
    }
    /* 수행된 결과를 출력 */
    for(int a=1;a<=N;a++)
    {
        for(int b=1;b<=N;b++)
        {
            if(graph[a][b] == INF)
                cout << "INF" << ' ';
            else
                cout << graph[a][b] << ' ';
        }
        cout << '\n';
    }
    return 0;
}
  • 3중 for문을 통해 각 모든 점에 대해 기존 경로 vs 경유 경로를 검사해서 작은 경로로 update!
  • 구현 난이도Dijkstra보다 낮다

MST 알고리즘

크루스칼(Kruskal) 알고리즘

[ 필요 지식 ]

  • 신장 트리(Spanning Tree)
    • 그래프에서 모든 노드를 포함하면서 사이클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 그래프(무향 그래프)
      ( 모든노드 포함 + 사이클 X )
  • 최소 신장 트리 (MST = Minimum Spanning Tree)
    • 최소한의 비용으로 구성되는 신장 트리

[ 설명 ]

  • 최소 신장 트리를 구하는 알고리즘 중 하나
    (MST를 구하는 다른 알고리즘으로 프림(Prim) 알고리즘이 있음 )
  • Union-Find 알고리즘 이 사용
    • Union : 두 집합을 합치는 연산
      • 최초 모든 노드parent자기 자신을 가지고 있다
      • 두개의 노드더 큰 번호에 해당하는 노드부모노드작은 노드갱신!
    • Find : 연결된 루트 노드를 찾는 것(여기서는 부모 노드를 찾는 것)
      • 재귀적으로 구현하여 연결된 가장 부모 노드를 찾는다
        --> findParent 구현시 부모 테이블 값바로 갱신하면 '경로 압축'이 가능함!
  • 크루스칼(Kruskal) 알고리즘 로직
    1) 모든 간선에 대해 오름차순 정렬
    2) 아직 처리하지 않은 간선가장 짧은 간선선택
    3) 사이클이 없으면(부모 노드가 같지 않으면) 현재 MST추가
        (사이클이 있으면 제외)

[ 코드 ]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int N,M,ans,max_cost;
int parent[100002]; // 1~100000 사용
/* find 연산 */
int findParent(int x){
    if(x == parent[x]) return x;
    return parent[x] = findParent(parent[x]);
}

/* union 연산 */
void unionParent(int a, int b){
    a = findParent(a);
    b = findParent(b);
    if(a<b) parent[b] = a;
    else parent[a] = b;
}
int main()
{
    ios::sync_with_stdio(0);
    cin.tie(0);
    cout.tie(0);

    cin >> N >> M;
    vector<pair<int, pair<int,int>>> edges;
    for(int i=0;i<M;i++)
    {
        int a, b, cost;
        cin >> a >> b >> cost;
        edges.push_back({cost,{a,b}});
    }
    // parent 초기화
    for(int i=1;i<=N;i++)
        parent[i] = i;

    // edges 정렬
    sort(edges.begin(), edges.end());

    for(int i=0;i<edges.size();i++)
    {
        int a = edges[i].second.first;
        int b = edges[i].second.second;
        int cost = edges[i].first;
        if(findParent(a) != findParent(b)){
            unionParent(a,b);
            max_cost = max(max_cost, cost);
            ans += cost;
        }
    }
    cout << ans - max_cost;
    return 0;
}
  • findParent
    • find 연산
    • return parent[x] = findParent(parent[x]); 를 통해서 경로 압축바로 구현
      --> 바로 위 부모가 아니라 루트를 가리킬 수 있도록 바로바로 갱신!
  • findUnion : union 연산
  • parent 초기화
  • edges 정렬
  • MST 추가
    • 짧은 cost 순서대로 사이클이 형성하지 않으면 현재 MST추가

프림(Prim) 알고리즘

ref :
https://www.weeklyps.com/entry/%ED%94%84%EB%A6%BC-%EC%95%8C%EA%B3%A0%EB%A6%AC%EC%A6%98-Prims-algorithm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kimmy5000&logNo=220635475967

개념

  • 무향 연결 그래프가 주어질 때, MST를 구하는 알고리즘
  • 크루스칼(Kruskal) 알고리즘과 목적이 같으나, 로직이 다름
  • 프림은 정점(V) 위주 / 크루스칼은 간선(E) 위주

로직

  • 임의의 정점을 선택하여 T에 추가 (T는 트리)
  • T에 있는 노드T에 없는 노드 사이의 간선가중치가 최소인 간선을 찾는다
    (트리에 있는 노드와, 없는 노드 사이 간선최소를 구하기에 따로 Cycle 검사 로직이 필요 없음)
  • 찾은 간선이 연결하는 노드T에 없는 노드T에 추가
  • 모든 노드T에 포함될 때 까지 앞 과정 반복

크루스칼(Kruskal) 알고리즘과 차이점

  • 로직
    • 프림(Prim) : 정점을 선택하고 그것과 연결된 가장 적은 비용의 간선을 선택하는 방식
    • 크루스칼(Kruskal) : 모든 간선의 비용중 적은 비용의 간선선택하는 방식
  • 구성 방식
    • 프림(Prim) : 정점들이 계속 연결되는 방식
    • 크루스칼(Kruskal) : 서로 다른 정점들의 집합합쳐지는 방식
  • 시간복잡도(Time Complexity) / E=간선의 수 , V=정점의 수
    • 프림(Prim)
      • unsorted array로 구현 : O(V^2)
      • priority queue로 구현 : O(ElogV)
    • 크루스칼(Kruskal) : O(ElogV)

이진 탐색

[ 설명 ]

  • 정렬된 상태에서 원소를 O(logN)의 시간복잡도로 찾는 탐색
  • 주로 파라메트릭 서치 유형 문제 풀이로 많이 사용됨
  • 입력의 크기매우 큰 상황에서 일정 조건으로 탐색을 해야하면 이진탐색을 가장먼저 떠올려야 한다
  • 특정 수개수를 구하는 과정을 O(logN)으로 수행할 수 있음
    • C++에서 upper_boundlower_bound를 이용해 countByRange를 정의한 후 leftValue와 ```rightValue에 같은 값을 넣으면 특정 수의 개수를 구할 수 있음
  • C++ STLbinary_search()가 구현되어 있으나 지정 값을 찾는기능에 제한된다
/* stl container */
  binary_search(arr.begin(), arr.end(), M);
/* array */
  binary_search(arr, arr+N, M);

[ 코드 - 반복문을 통한 이진탐색 구현 ]

#include <cstdio>
#include <vector>
#include <queue>
#include <iostream>
#include <cmath>
#include <algorithm>
#define ll long long
using namespace std;
ll N,M,high;
vector<ll> arr(1000002);
/* 이진탐색 - O(logN) */
void bs(vector<ll>& arr, ll st, ll en){
    ll ans=0;
    while(st <= en)
    {
        ll tot=0;
        ll mid = (st + en)/2;
        for(auto a : arr)
            if(a > mid)
                tot += a-mid;
        if(tot < M)
            en = mid-1;
        else{
            ans = mid;
            st = mid + 1;
        }
    }
    cout << ans;
}
int main() {
    ios::sync_with_stdio(0);
    cin.tie(0);
    cout.tie(0);

    cin >> N >> M;
    for(int i=0;i<N;i++)
    {
        cin >> arr[i];
        high=max(high,arr[i]);
    }
    bs(arr,0,high);
    return 0;
}

이분매칭 알고리즘

(Ref :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ndb796&logNo=221240613074&redirect=Dlog&widgetTypeCall=true&directAccess=false)

[ 설명 ]

  • 두 집단 사이에서 Max Matching되는 경우구하는 것
  • 노트북 집단사람 집단에서 최대로 연결될 수 있는 경우를 구하는 것
  • 핵심
    : 내가 선택하려는 노드이미 선택되어 있을 때
    그것을 선택한 노드에게 다른 노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권장하는 것

[ 예시 코드 ]

#include <cstdio>
#include <vector>
#include <queue>
#include <iostream>
#include <cmath>
#include <algorithm>
#include <set>
#define ll long long
using namespace std;
vector<pair<int,int>> v(1010);
int work[1010];
bool finish[1010];
int T, N, M;
/* 이분 탐색 */
bool DFS(int x){
    for(int t=v[x].first;t<=v[x].second;t++)
    {
        if(finish[t]) continue;
        finish[t] = true;
        if(work[t] == -1 || DFS(work[t])){
            work[t] = x;
            return true;
        }
    }
    return false;
}
int main() {
    ios::sync_with_stdio(0);
    cin.tie(0);
    cout.tie(0);

    cin >> T;
    while(T--)
    {
        v.clear();
        cin >> N >> M;
        for(int i=0;i<M;i++)
        {
            int a, b;
            cin >> a >> b;
            v.push_back({a,b});
        }
        /* 연결된 점의 좌표 초기화 */
        fill(work, work+1010, -1);
        int ans=0;
        /* 모든 점들에 대해 연결 */
        for(int i=0;i<M;i++)
        {
            /* 정점 방문 여부 초기화 */
            fill(finish, finish+1010, false);
            if(DFS(i)) ans++;
        }
        cout << ans << '\n';
    }
    return 0;
}
  • BOJ 9576

DFS / BFS

[ DFS ]

  • 그래프의 탐색 방법한 종류
  • 깊이를 우선으로 갈 수 있는 만큼 최대한 탐색한 뒤 더 이상 갈 수 없다면 이전 정점으로 돌아가는 방식
  • 구현
    • stack 사용
    • 재귀(recursive)
  • 시간복잡도 (V=정점의 수 / E=간선의 수)
    • 그래프를 인접 행렬로 표현 --> O(V^2)
    • 그래프를 인접 리스트로 표현 --> O(V+E)

[ BFS ]

  • 그래프의 탐색 방법한 종류
  • 넓이를 우선으로 순차적으로 인접한 노드부터 탐색하는 방법
  • 구현
    • 큐(queue)를 통한 구현
  • 시간복잡도 (V=정점의 수 / E=간선의 수)
    • 그래프를 인접 행렬로 표현 --> O(V^2)
    • 그래프를 인접 리스트로 표현 --> O(V+E)
profile
Developer & PhotoGrapher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