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Boot 입문(3) - 웹 애플리케이션 계층 구조 / 첫 테스트 코드

김정욱·2021년 2월 4일
0
post-thumbnail

일반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계층 구조

  • 컨트롤러 : 웹 MVC의 컨트롤러 역할 (해당되는 요청에 연결)
  • 서비스 : 핵심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하는 곳
  • 레포지토리 : 실제 DB에 접근하는 여러 기능을 구현하는 곳
  • 도메인 : DB에 저장되는 실제 객체 (DTO역할)

ex) [ 사용자의 회원가입 절차 ]
1. [POST] http://localhost:3000/signup
: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post로 전송

2. Controller에서 해당하는 서비스에 연결

3. 서비스에서 회원가입 절차 수행
   3-1. user라는 도메인을 가져온 뒤 객체에 받은 정보를 담는다.
   3-2. 레포지토리에 있는 signup() 메소드를 실행시켜 실제 DB에 저장
   (signup()에 정보를 담은 도메인을 전달)

테스트 코드

: 개발한 기능을 맞게 구현했는지 실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코드

  • 만약 테스트 할 때 마다 main 메서드를 실행하고, 컨트롤러를 통해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면 매우 번거롭고, 한번에 여러개의 기능을 점검하기 어렵다
    --> JavaJUnit이라는 프레임워크로 테스트를 실행한다

[ MemberService의 테스트 코드 ]

package hello.hellospring.service;

import hello.hellospring.domain.Member;
import hello.hellospring.repository.MemoryMemberRepository;
import org.assertj.core.api.Assertions;
import org.junit.jupiter.api.AfterEach;
import org.junit.jupiter.api.BeforeAll;
import org.junit.jupiter.api.BeforeEach;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java.util.Optional;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ForClassTypes.assertThat;

import static org.junit.jupiter.api.Assertions.*;

class MemberServiceTest {

    MemberService memberService;
    Memory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MemoryMemberRepository를 서비스에서 생성하지 않고 테스트 코드 시작 전에 생성해서 전달! (DI)
    @BeforeEach
    public void beforeEach(){
        memberRepository = new MemoryMemberRepository();
        memberService = new MemberService(memberRepository);
    }

    @AfterEach
    public void afterEach(){
        memberRepository.clearStore();
    }

    // Test는 한글로 바꾸어도 좋다! 우리가 보기 좋기 때문
    // 보통 테스트 코드는 given -> when -> then을 따르게 되니까 주석으로 표시도 많이함!
    @Test
    void 회원가입() {
        //given - 이런 상황이 주어지면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Name("spring");

        //when - 실행했을 때
        Long saveId = memberService.join(member);

        //then - 결과가 나와야 한다
        Member findMember = memberService.findOne(saveId).get();
Assertions.assertThat(member.getName()).isEqualTo(findMember.getName());
    }

    @Test
    void 중복_회원_예외(){
        // given
        Member member1 = new Member();
        member1.setName("spring");

        Member member2 = new Member();
        member2.setName("spring");
        // when

        // try ~ catch로 예외를 잡을수도 있지만, assertThrow로 잡는 더 좋은 방법이 있다.
        /*        memberService.join(member1);
        try{
            memberService.join(member2);
            fail();
        }catch(IllegalStateException e){
            assertThat(e.getMessage()).isEqualTo("이미 존재하는 회원입니다.");
        }*/

        memberService.join(member1);
        IllegalStateException e = assertThrows(IllegalStateException.class, () -> memberService.join(member2));
        assertThat(e.getMessage()).isEqualTo("이미 존재하는 회원입니다");

        // then
    }
}
  • given ~ when ~ then 으로로 초기에는 테스트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좋다(보통 어떤 데이터가 주어지고 / 기능을 수행할 때 / 어떻게 되는지 공통)
  • assertj에서 제공하는 것들이 사용된다
    • Assertion.assertThat().isEqualTo() : Then에서 값 비교에 사용
  • JavaOptional 문법도 알아 둘 필요가 있다.
    • .ifPresent() : 값이 있으면 ()실행
    • .get() : Optinal로 value를 감싼 것이기 때문에 value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
profile
Developer & PhotoGraph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