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회고] 바닐라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한 정적 페이지 개발

네모난네모·2024년 12월 31일
0
post-thumbnail

> 프로젝트 개요

1. 프로젝트 개요 : 바닐라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한 정적 페이지 개발
2. 프로젝트 기간: 2024.11.01-2024.11.08 (1주)
3. 팀원: 5명
4. 서비스명: 오름 투어
5. 서비스 컨셉 : 맞춤 테마 여행 패키지 서비스
  - 메인 페이지: 테마 여행 상품 소개
  - 상품 상세 페이지: 여행 상품 상세 정보 및 예약
  - 예약 확인 페이지: 예약 내역 조회 및 관리

GitHub 링크

> 개발

담당 기능

메인페이지: 이벤트 섹션 캐러셀 효과
예약 확인 페이지: 예약 번호 검색, 예약 내역 확인, 예약취소 기능

메인페이지(캐러셀)예약 확인 페이지(예약 검색)예약 확인 페이지(예약 취소)
main_image2reservation_image1reservation_image2

배운 점/만족하는 점 (Keep)

팀원과 같은 영역을 개발하면서 협의/조율하며 함께 개발하는 경험
팀원들과 협력하여 개발한 경험을 통해, 서로의 의견을 조율하고 협의하는 과정에서 개발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팀워크의 중요성을 배웠다.

모달창 활용
예약 취소 여부를 확인하는 UX 개선 요소로 모달창을 사용해보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예약 취소를 시도할 때 실수로 취소하지 않도록 모달창을 띄워 취소 여부를 한 번 더 확인하는 방식으로 UX를 개선했다.

사용자 행동 시나리오 처리
잘못된 정보 입력, 예약 취소 중단 등 다양한 사용자 행동을 예측하고 예외 처리 로직을 구현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잘못된 예약 번호를 입력했을 때 "예약 내역을 찾을 수 없습니다."와 같은 오류 메시지를 표시하게 했다.
이를 통해, 예외 처리와 사용자 행동 로직 구현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를 고려하는 사고 방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다.

아쉬웠던 점 (Problem)

폴더구조에 대한 고민 부족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개발 페이지가 적어 공통 스타일을 담는 common 폴더 외에는 페이지별 폴더에 css, src 하위 폴더를 만들었으나, 각 페이지에서 /css와 /src 폴더를 별도로 나누는 방식은 비효율적이었던 것 같다.

단순한 기능
짧은 개발 기간과 비전공자 팀원들을 고려하여 다양한 기능을 개발해보지 못했다. 또한, 예약 데이터를 하드코딩으로 처리한 점이 매우 아쉬웠다. 이제와서 생각해보니 서버와의 동적 데이터 연동을 구현할 수 없으니 정적 페이지에서 해볼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시도했었다면 좋았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앞으로 (Try)

폴더 구조 학습
프로젝트의 특성에 맞는 폴더구조가 뭔지 학습하고, 다음 프로젝트에서는 그를 적용해보고 싶다.

다양한 기능 개발
부트캠프에서 배우고 있는 three.js, node.js 등을 적용하여 다양한 기술을 활용한 프로젝트를 진행해보고 싶다.



> 협업

역할: 팀장
주요 업무: 팀원 간 소통과 의견 조율, 프로젝트 일정 관리

배운 점/만족하는 점 (Keep)

목표 달성
일주일 내에 기획-개발을 마무리해야 했고, 전원 비전공자였기 때문에 팀원들이 스스로의 작업 속도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고 생각한다.
결과물은 사실 아쉽지만 팀원들과 목표를 공유하고, 각자 맡은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기 때문에 초기 계획된 모든 기능을 구현하여 프로젝트 목표를 완수했다는 점에 만족한다.

합리적인 의견 조율
매일 작업 현황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고, 이 시간에 팀원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표현하도록 독려했다. 개개인의 의견을 충분히 고려하면서도 합리적인 결정을 내리기 위해 의견에는 근거를 제시하도록 가이드를 제시하고 논의를 진행했다. 예를 들어 기능 구현에 대해 의견이 다를 때 데이터 흐름이나 UX 측면에서 필요한 요소를 제시하도록 유도하였는데, 협업에 있어서 유의미한 방식이였었다고 생각한다.

아쉬웠던 점 (Problem)

디자인 미흡
와이어프레임 단계에서만 디자인을 협의하고, 개발 단계에서 각 팀원이 개별적으로 세부 디자인을 적용했다. 이로 인해 전체적인 디자인 컨셉의 통일성이나 완성도에 대한 의견 차이가 발생했고, 페이지 간 색상이나 버튼 스타일 등이 다르게 적용되었다.

의견 충돌
일부 팀원이 개인 선호 사항을 강하게 주장하거나, 협의되지 않은 코드를 결과물에 추가하는 등 협업에 방해가 되는 사례가 발생했다. 갈등을 해결하는 데 시간이 소요되어 일정 관리나 분위기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협업은 어렵다..

앞으로 (Try)

디자인 가이드라인 마련
프로젝트 초기에 세부 디자인을 명확히 협의하고, 가이드라인을 작성해 통일성을 확보해야겠다.

의사소통 프로세스 개선
기능 제안 및 적용 전 팀원 모두가 확인할 수 있는 의사결정 프로세스와 문서를 도입해보고 싶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