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 클러스터 구성 - 1

LEE_DEV_LOG·2022년 2월 5일
0

하나의 서버1(물리서버)에 2개의 또는 여러 개의 노드를 설치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노드1에서 이미 9200, 9300 번 포트를 점유하고 있으므로 노드2는 9201, 9301 지정되어 띄워진다.

위의 그림 설명

  1. 노드1, 노드2은 cluster-1 이라고하는 하나의 클러스터로 묶여있음
  2. 노드3은 cluster-2 라고 하는 별도의 클러스터에서 실행되고 있음.
    같은 클러스터에서 묶여있다면 1번 노드에 데이터를 입력해서 저장했을 때
    노드 2에서 노드 1번의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이 가능하다.

여러 개의 노드가 같은 하나의 클러스터에 합쳐 지는것을 바인딩이라고 한다.
클러스터를 구성할 때에는 클러스터로 합쳐 지는 노드들의 yml 파일내에서 동일한 클러스터 이름을 설정하면 된다.
하나의 노드가 실행될 때 cluster를 구성 할 host를 찾은 후 host 중에서 같은 cluster 이름을 가진 host를 찾았다면 그 cluster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고 없다면 새로운 cluster를 생성하게 된다.

network.host 에는 외부에서도 접속이 가능하도록 되어야 하기 때문에 서버에서 사용하는 내부 아이피를 잡아 주어야 함. ["local","site"] 라고 적어주면 로컬에서도 localhost:9200 명령어로 으로 통신 가능함

참조한 링크 : https://ela.st/es-resource-kr

profile
LEE_DEV_LOG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