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 방식과 post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필수!) ⭐️
GET 방식
- 데이터를 URL의 쿼리 매개변수로 전송
- 데이터가 URL에 노출되고 길이에 제한있음
- 주로 조회나 검색과 같이 상태를 변경하지 않는 요청에 사용
POST 방식
- 데이터를 HTTP 메시지의 본문에 담아서 전송
- URL에 데이터가 노출되지 않고 길이에 제한이 적음
- 주로 데이터를 서버에 제출하거나 상태를 변경하는 요청에 사용
- 보안성이 높으며, 캐싱을 고려하지 않음
🐼컨텍스트 패스(Context Path)란 무엇인가?
: 웹 애플리케이션의 루트 디렉토리 경로로, 웹 어플리케이션에 접근하기 위한 URL 주소의 일부
🐼아래의 객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HttpServletRequest
- 클라이언트의 HTTP 요청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객체
- 서블릿이나 JSP에서 사용되어 클라이언트의 요청 데이터를 처리함
HttpServletResponse
-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할 때 사용되는 객체
- 서블릿이나 JSP에서 클라이언트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
🐼프로토콜(Protocol)이란 무엇이며,프로토콜의 종류는?
: 컴퓨터나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규칙과 규약의 집합
ex. HTTP, HTTPS, TCP, UDP, FTP, SMTP, POP3, IMAP 등
🐼아래의 용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Web Server
- 정적인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
-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HTML 파일 등을 보내줌
WAS (Web Application Server)
- 동적인 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서버
-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고 동적인 콘텐츠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에 제공
JSP(Java Server Page)
- 동적인 웹 페이지를 만드는 기술
- HTML에 Java 코드를 포함하여 웹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킴
Port Number (포트 번호)
- 네트워크에서 프로세스를 식별하기 위한 번호
- 서로 다른 프로세스들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
(ex. HTTP는 기본적으로 80번 포트를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