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소스

Lucky Unlucky·2024년 7월 3일
0

라이선스가 없으면 단순한 public 프로젝트입니다. 이는 오픈소스가 아닙니다.
라이선스가 없는 public 프로젝트는 컨트리뷰트(기여)권한이 없기 때문에 컨트리뷰트(기여)를 하면 안됩니다.
오픈소스로 만드기 위해서는 저작자에게 제안(Propose)을 할 수도 있습니다.
이 때 라이선스 종류까지 제시를 해야합니다.

규정 (OSI, OLIS, OSS ... )을 찾아보고 제안하기보다는 이 프로젝트가 어떻게 쓰였으면 좋겠는지 생각하고 제안합니다.

  1. 어떤 프레임워크 위에서 작동하는지, 어떤 모듈이랑 같이 쓰이는지? (ex. node.js)
    npm 다른 모듈들이 어떤 라이선스 적용 되어있는지 확인합니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MIT 라이선스

  2. 딱히 고려할 것이 없으면
    가장 간단하고, 가장 고려할 것이 없고, 이해하기 쉽고, '저작자만 보호해주는 누구나 사용가능한 MIT 라이선스를 넣어줍니다.

  3. 기업이 사용하기를 원하면, 웹 관련 Apache : '특허'

  4. 오픈소스 커뮤니티 / 프로젝트 구성원 / 컨트리뷰터 등등 히스토리를 다 보호받고 싶을때
    GNU (L/A/)GPL v3

오픈소스 라이선스 변경이 될 수도 있습니다.
MongoDB : SQL을 옮길때 사용 ( APGL > SSPL )
elasticsearch : 검색엔진 ( Apache > SSPL )
Grafana : 데이터를 분석 ( Apache > AGPL : 오픈소스를 장려)
SENTRY : 에러를 추적 ( BSD 3 Clause > BUSL : 소스 수정, 배포, 컴파일가능, 상용 서비스 목적 사용 금지, Apache로 바꿔서 상용서비스 가능 )

오픈소스 프로젝트 찾기
Explore github : github에 올라와 있는 수 많은 오픈소스 프로젝트들을 볼 수 있습니다.

Google code-in : 아카이브 형식으로 제공하는 오픈소스 코드, 교육형태로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2019년 이후로 최신화가 되어있지 않아서 내용이 비교적 오래되어있습니다.

XXX(회사명) Open Source or github : 회사(ex. 네이버, 카카오)에서 올린 오픈소스 프로젝트들 입니다.

CodeTriage : UI가 깔끔하고 많은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올라와 있습니다. issue 개수에 비례해 순서와 색깔로 정렬되어있습니다.

profile
늒네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