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형 지식 공유 플랫폼
오픈소스
공개되어 있는 소스 코드
+검사(리뷰), 수정 등 개선사항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소스 코드
React, Node.js, Apache, Bootstrap등등이 있습니다.
cf. Pro : 유료 결제
라이선스
오픈소스에 라이선스에 어떻게 사용해야하는지 적혀있습니다.
오픈소스 라이선스란?
(ex. React is licensed under the MIT License)
(Apache Tomcat under the Apache license version2)
오픈 소스로 배포/준비/공개된 소스코드를 사용할 때 지켜야 하는 규칙등을 명시하는것
라이선스에 적힌 조건을 이행하지 않는다면?
-> 제한사항은 아니고 추가사항
라이선스 표기가 되어 있지 않은 깃허브 public 소스코드를 임의로 사용한다면?
-> 저작권 침해 (회사코드,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코드들)
OLIS (https://www.olis.or.kr/)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종합정보시스템
각종 라이센스의 권한의 주요 내용이 나와있습니다.
(ex. MIT License)
라이선스 종류
GPL(General Public License)
GNU 팀에서 만든 라이센스, 매우 강력한 조항을 가지고있습니다.
어떤 목적으로, 어떤 형태로든 다 사용할 수 있지만, 사용/배포시에는 무조건 공개를 해야합니다.
※Firefox, Linux, Git, MariaDB, Woprpress
MIT
라이센스가 느슨한 편입니다. 라이센스 이름, 명시만 해주면 됩니다.
※bootstrap, react, angular, jQuery
Apache
: 소스코드에 대한 공개의무 등 의무사항은 없지만
아파치 라이센스,버전 2.0, 저작권, copyright > 소스코드 or notice.txt/copyright.txt등에 붙여넣기하고 남겨주기
※안드로이드
BSD
: Berkely Software Disribution (BSD)
라이선스 및 저작권 표시 조건 외에는 자유롭습니다.
저작권 협회에서 가이드를 제공을 하고있습니다.
https://www.olis.or.kr/
npm에도 라이선스가 적혀있습니다.
라이선스 표기법 (ex. chrome)
표기 방법
밑에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링크에 들어가면 사용된 오픈소스 라이선스들이 표기되어있습니다.
크롬(구글)이 직접 작성한 코드에 대한 라이선스는 Copyright 2024 Google LLC. All rights reserved.로 라이선스가 적용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