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를 들어 nums = 3,2,3return 3nums = 2,2,1,1,1,2,2return 2조건 : nums 배열의 길이는 무조건 2개 이상💻 해결방법!
x: 숫자 return: 뒤집어진 숫자를 반환!예들 들어, x: 1234 return: 4321x: -1234 return: -4321x: 1230 return: 321💻 문자열로 바꾸고 뒤집고 다시 합치기!✔️ 여기까지 생각하고 그 다음은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하다가
num: 숫자 return: true or false (뒤집은 모양이 num와 똑같은지 여부)예를 들어, num = 123 return false => 뒤집은 모양이 321 이기 때문num = 1221 return true => 뒤집은 모양이 1221 이기 때문num
str: 텍스트 return: 중복되지 않은 알파벳 길이 (숫자 반환)예를 들어, str = "abcabcabc" return 은 3 => 'abc' 가 제일 길기 때문str = "aaaaa" return 은 1 => 'a' 가 제일 길기 때문str = "sttrg"
"name"의 value를 "Happy coder"로 수정해보자!💻 objectname"key" = 수정내용💻 objectname.key = 수정내용"bark" : woof를 추가해보자!💻 objectname"key" = value💻 objectname.key
객체란 자바스크립트 데이터 타입 중 하나로 프로그램 안에서 인식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말한다. 객체에는 프로퍼티와 메서드로 구성되어 있고, 배열과 다르게 순서가 없다.1\. Dot Notaion💻 objectName.key2\. Bracket Notaion💻 obj
🔍반복문 >반복문을 사용하는 이유?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행할 때 명령을 여러번 입력하지 않아도 하나의 간단한 코드로 작동할 수 있다. >>- for문 : 초기변수와 반복크기가 일정할 경우 주로 사용 while또는 do~while : 초기변수나 반복 크기 없이 조건만
🔍 function(함수) >function(함수)는 여러 동작을 기능별로 묶어 놓은 명령이다. >>함수 그게 왜 필요한데?? 함수를 사용해서 각 명령의 시작고 끝을 구별하기 쉽다. 필요할 때마다 원하는 기능만 실행 할 수 있다. 함수를 선언하고 호출해보
🔍출력하기 >출력은 입력한 값을 눈에 보이게 화면에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출력하는 방법은 console창을 통해 출력하는 console.log, 화면에 알림창으로 출력하는 window.alert, 브라우저 화면에 출력하는 document.write 등 이외에도 다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