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던 JavaScript 튜토리얼 - 비교 연산자

crewd·2021년 1월 7일
1
post-thumbnail

모던 자바스크립트 튜토리얼

ko.javascript.info

비교 연산자

자바 스크립트에서 기본 수학 연산은 아래와 같은 문법을 사용해 표현할 수 있다.

  • 보다 크다 · 작다: a > b, a < b
  • 보다 크거나 같다 · 보다 작거나 같다 : a >= b, a <= b
  • 같다(동등): a == b 등호 =가 두 개 연달아 오는 것에 유의하자. a = b 처럼 등호가 하나일 때는 할당을 의미한다.
  • 같지 않다(부등): 같지 않음을 나타내는 수학 기호 는 자바스크립트에선 a != b로 나타낸다. 할당연산자 =앞에 느낌표 !를 붙여서 표시한다.

불린형 반환

다른 연산자와 마찬가지로 비교 연산자 역시 값을 반환한다.
반환 값은 불린형이다.

  • true가 반환 되면, '긍정', '참', '사실'을 의미한다.
  • false가 반환되면, '부정', '거짓', '사실이 아님'을 의미한다.

예시:

alert(2 > 1); // true
alert(2 == 1) // false
alert(2 != 1); // true

반환된 불린 값은 여타 다른 값처럼 변수에 할당 할 수있다.

let result = 5 > 4; // 비교 결과를 변수에 할당
alert(result); // true

문자열 비교

자바스크립트는 '사전'순으로 문자열을 비교한다. '사전편집(lexicographical)'순 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이 기준을 적용하면 사전 뒤 쪽의 문자열은 사전 앞쪽의 문자열보다 크다고 판단된다.

실제 단어를 사전에 실을 때 단어를 구성하는 문자 하나하나를 비교하여 등재 순서를 정하는 것과 같이 자바스크립트도 문자열을 구성하는 문자 하나하나를 비교해가며 문자열을 비교한다.

alert('Z' > 'A'); // true
alert('Glow' > 'Glee') // true
alert('Bee' > 'Be') //true

문자열 비교 시 적용되는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다.

  1. 두 문자열의 첫 글자를 비교한다.
  2. 첫번째 문자열의 첫 글자가 다른 문자열의 첫 글자보다 크면(작으면), 첫 번째 문자열이 두 번째 문자열보다 크다고(작다고) 결론 내고 비교를 종료한다.
  3. 두 문자열의 첫 글자가 같으면 두 번째 글자를 같은 방식으로 비교한다.
  4. 글자 간 비교가 끝날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한다.
  5. 비교가 종료되었고 문자열의 길이도 같다면 두 문자열은 동일하다고 결론 낸다. 비교가 종료되었지만 두 문자열의 길이가 다르면 길이가 긴 문자열이 더 크다고 결론 낸다.

예시의 'Z' > 'A'는 위 알고리즘의 첫 번째 단계에서 비교 결과가 도출된. 반면, 문자열 "Glow"와 "Glee"는 복수의 문자로 이루어진 문자열이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순서로 문자열 비교가 이뤄진다.

  1. GG와 같다.
  2. ll과 같다.
  3. oe보다 크기 때문에 여기서 비교가 종료되고, o가 있는 첫 번째 문자열 "Glow"가 더 크다는 결론이 도출된다.

✔ 정확히는 사전순이 아니라 유니코드 순이다.

자바스크립트의 문자열비교 알고리즘은 사전이나 전화번호부에서 사용되는 정렬 알고리즘과 아주 유사하지만 완전히 같진 않다.

차이점 중 하나는 자바스크립트는 대·소문자를 따진다는 것이다. 대문자 "A"와 소문자 "a"를 비교했을 때 소문자 "a"가 더 크다. 자바스크립트 내부에서 사용되는 인코딩 표인 유니코드에선 소문자가 대문자보다 더 큰 인덱스를 갖기 때문이다.

다른 형을 가진 값 간의 비교

비교하려는 값의 자료형이 다르면 자바스크립트는 이 값들을 숫자형으로 바꾼다.

alert('2' > 1); // true, 문자열 '2'가 숫자 2로 변환된 후 비교가 진행
alert('01' == 1); // true, 문자열 '01'이 숫자 1로 변환된 후 비교가 진행

불린 값의 경우 true1, false0으로 변환된 후 비교가 이뤄진다.

alert( true == 1 ); // true
alert( false == 0 ); // true

✔ 흥미로운 상황

같이 일어나지 않을 법한 두 상황이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 동등 비교(==)시 true를 반환
  • 논리 평가 시 값 하나는 true, 다른 값 하나는 false를 반환
let a = 0;
alert( Boolean(a) ); // false

let b = "0";
alert( Boolean(b) ); // true

alert(a == b) // true

두 값을 비교했을 때 참이 반환 되는데, 동등 비교 연산자 ==는 (예시에서 문자열 "0"을 숫자 0으로 변환시킨 것처럼) 피연산자를 숫자형으로 바꾸지만, 'Boolean’을 사용한 명시적 변환에는 다른 규칙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일치 연산자

동등 연산자(equality operator) ==0false를 구별하지 못한다.

alert( 0 === false); // true

피연산자가 빈 문자열일때도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alert( '' === false); // true

이런 문제는 동등 연산자 ==가 형이 다른 피연산자를 비교할 때 피연산자를 숫자형으로 바꾸기 때문에 발생한다. 빈문자열과 false는 숫자형으로 변환하면 0이 된다.

일치 연산자(strict equality operator) ===를 사용하면 형 변환 없이 값을 비교할 수 있다.

일치 연산자는 엄격한(strict) 동등 연산자다. 자료형의 동등 여부까지 검사하기 때문에, 피연산자 ab의 형이 다를 경우 a === bfasle를 즉시 반환한다.

alert( 0 === false ); // false, 피연산자의 형이 다르기 때문이다.

일치 연산자 ===가 동등 연산자 ==의 엄격한 형태인 것처럼 "불일치" 연산자 !==는 부등 연산자 !=의 엄격한 형태다.

일치 연산자는 동등 연산자보다 한 글자 더 길긴 하지만 비교 결과가 명확하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할 확률을 줄여준다.

null이나 undefined 비교하기

null이나 undefined를 비교할 땐 예상치 않은 일들이 발생한다.
몇가지 규칙을 살펴 본 후,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일치 연산자 ===를 이용하여 nullundefined를 비교
두 값의 자료형이 다르기 때문에 일치 비교 시 거짓이 반환된다.

alert( null === undefined ); // false

동등 연산자 ==를 사용하여 nullundefined를 비교
동등 연산자를 사용해 nullundefined를 비교하면 특별한 규칙이 적용돼 true가 반환된다.

alert( null === undefined ); // true

산술 연산자나 기타 비교 연산자 < > <= >=를 사용하여 nullundefined를 비교
nullundefined는 숫자형으로 변환된다. null0, undefinedNaN으로 변환된다.

이제 위에서 살펴본 세 가지 규칙들이 어떤 흥미로운 에지 케이스(edge case)를 만들어 내는지 알아보자.

null vs 0

null과 0을 비교해보자

alert( null > 0 );  // (1) false
alert( null == 0 ); // (2) false
alert( null >= 0 ); // (3) true

위의 비교 결과는 논리에 맞지 않다. (3)에서 null0보다 크거나 같다고 했기 때문에, (1)이나 (2) 중 하나는 참이어야 하는데 둘 다 거짓을 반환하고 있다.

이는 동등 연산자 ==와 기타 비교 연산자 > < >= <=의 동작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1)에서 null > 0이 거짓을, (3)에서 null >= 0이 참을 반환하는 이유는 (기타 비교 연산자의 동작원리에 따라) null이 숫자형으로 반환돼 0이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동등 연산자 ==는 피연산자가 undefinednull일 때 형 변환을 하지 않는다.
undefinednull을 비교하는 경우에만 true를 반환하고, 그 이외의 경우 (null이나 undefined를 다른 값과 비교할 때)는 무조건 false를 반환한다. 이런 이유 때문에 (2)는 거짓을 반환한다.

비교가 불가능한 undefined

undefined를 다른 값과 비교해서는 안된다.

alert( undefined > 0 ); // false (1)
alert( undefined < 0 ); // false (2)
alert( undefined == 0 ); // false (3)

위 예시의 결과를 보면 undefined는 항상 false를 반환하고 있다.
이런 결과는 아래와 같은 이유 때문에 발생한다.

  • (1)(2)에선 undefinedNaN으로 변환되는데(숫자형으로의 변환), NaN이 피연산자인 경우 비교 연산자는 항상 false를 반환합니다.
  • undefinednull이나 undefined와 같고, 그 이외의 값과는 같지 않기 때문에 (3)false를 반환합니다.

함정피하기

위와 같은 에지 케이스를 당장 암기할 필요는 없지만 아래와 같은 방법을 사용해 이런 예외 상황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는 점은 알아두자.

  • 일치 연산자 ===를 제외한 비교 연산자의 피연산자에 undefinednull이 오지 않도록 특별히 주의하자.
  • 또한, undefinednull이 될 가능성이 있는 변수가 >= > < <=의 피연산자가 되지 않도록 주의 하자. 만약 변수가 undefinednull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이를 따로 처리하는 코드를 추가하자

요약

  • 비교 연산자는 불린값을 반환한다.
  • 문자열은 문자 단위로 비교되는데, 이때 비교 기준은 '사전'순이다. 정확히는 '유니코드' 순이다.
  • 서로 다른 타입의 값을 비교할 땐 숫자형으로 형 변환이 이뤄지고 난 후 비교가 진행된다.(일치 연산자는 제외)
  • nullundefined는 동등 비교(==)시 서로 같지만 다른 값과는 같지 않다.
  • null이나 undefined가 될 확률이 있는 변수가 > 또는 <의 피연산자로 올 때는 주의를 기울자. null / undefined 여부를 확인하는 코드를 따로 추가하는 습관을 들이자.

✔과제


비교

중요도: 5

아래 표현식들의 결과를 예측해보세요.

5 > 4
"apple" > "pineapple"
"2" > "12"
undefined == null
undefined === null
null == "\n0\n"
null === +"\n0\n"

해답

5 > 4 // true
"apple" > "pineapple" // false
"2" > "12" // true
undefined == null // true
undefined === null // false
null == "\n0\n" // false
null === +"\n0\n" // false

해설:
1. 54보다 크기 때문에 명백한 true다.
2. 문자열의 비교는 사전순서가 기준이므로 "a""p"보다 작기 때문에 flase다.
3. 두 피연산자는 문자열이므로, 사전순으로 비교가 이뤄진다. 왼쪽 피연산자의 첫 번째 글자 "2"는 오른쪽 피연산자 첫 번째 글자 "1"보다 크다.
4. nullundefined는 같다.
5. 일치 연산자는 형도 체크하기 때문에 형이 다르면 false가 반환된다.
6. null은 오직 undefined와 같다.
7. 형이 다르므로 false가 반환된다.

profile
공부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