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는 여러 개의 네트워크 기기를 기반으로 구축된다
계층별로 처리 범위를 나눌 수 있다
상위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는 하위 계층을 처리할 수 있지만 그 반대는 불가
애플리케이션 계층 : L7 스위치
인터넷 계층 : 라우터, L3 스위치
데이터 링크 계층 : 브리지, L2 스위치
물리 계층 : NIC, 리피터, AP
: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처리
: 여러 장비를 연결하고 데이터 통신을 중재하며 목적지가 연결된 포트로만 전기 신호를 보낸다
: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네트워크 장비
로드밸런서라고도 한다
주요 기능
장애가 발생한 서버가 있다면 이를 트래픽 분산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
이는 정기적으로 헬스 체크를 이용하여 감시하면서 이루어진다
L4 스위치
L7 스위치
이때 서버에 부하가 되지 않을 만큼 요청 횟수가 적절해야 한다
TCP, HTTP 등 다양한 방법으로 요청을 보내며 이 요청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면 정상적인 서버로 판별한다
ex. TCP요청을 보냈는데 3-웨이 핸드셰이크가 정상적으로 일어나지 않았다면 정상이 아닌 것
로드밸런서의 대표적인 기능 : 서버 이중화
가상 IP에 사용자들이 접근하고 뒷단에 사용 가능한 서버인둘을 기반으로 서빙한다. 그러면 뒷단에 사용 가능한 서버인 하나에 장애가 발생하면 그것과는 무방하게 다른 서버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서비스를 운용할 수 있다
라우터, L3 스위치
역할 : 여러 개의 네트워크를 연결, 분할, 구분
다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장치끼리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L2 스위치의 기능 + 라우팅 기능을 갖춘 장비
라우터라고 해도 무방
라우터의 종류
참조 테이블 ??
L2 스위치 : MAC 주소 테이블
L3 스위치 : 라우팅 테이블
참조 PDU
L2 스위치 : 이더넷 프레임
L3 스위치 : IP 패킷
참조 주소 ??
L2 스위치 : MAC 주소(구분용)
L3 스위치 : IP 주소
장치들의 MAC 주소를 MAC 주소 테이블을 통해 관리하여
연결된 장치로부터 패킷이 왔을 때 패킷 전송을 담당한다
IP 주소를 이해하지 못해 IP 주소를 기반으로 라우팅은 불가능하며
단순히 패킷의 MAC 주소를 읽어 스위칭하는 역할을 한다
목적지가 MAC 주소 테이블에 없다면 전체 포트에 전달하고 MAC 주소 테이블의 주소는 일정 시간 이후 삭제하는 기능도 있다.
NIC, 리피터, AP
들어오는 약해진 신호 정도를 증혹하여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장치
패킷이 더 멀리 갈 수 있도록 한다
광케이블 보급 이후 잘 안 쓰인다
패킷을 복사하는 기기
AP에 유선 LAN을 연결한 후 다른 장치에서 무선 LAN 기술을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