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일러 정리 (정수론)

NK590·2023년 10월 4일
0

설명

a,na, n이 각각 서로소인 자연수이고, 오일러 피 함수 φ(n)\varphi(n)가 주어졌을 때,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aφ(n)1modna^{\varphi(n)} \equiv 1 \mod n

이를 오일러 정리(Euler's theorem)라고 한다.

증명

정수 nn보다 작고 nn과 서로소인 정수의 집합 MM을 생각하자. 이 때, 오일러 피 함수의 정의에 의해 MM의 원소의 개수는 정확히 φ(n)\varphi(n)개이다. 이를 MM의 각각의 원소 pp의 인덱스로 생각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M={p1,p2,,pφ(n)}M = \{ p_1, p_2, \cdots, p_{\varphi(n)} \}

여기서, 집합 MM의 각 원소에 nn과 서로소인 자연수 aa를 곱한 집합 aMaM을 생각한다.

aM={ap1,ap2,,apφ(n)}aM = \{ ap_1, ap_2, \cdots, ap_{\varphi(n)} \}
  • Lemma. M=aMM = aM이다.
    증명 : 귀류법을 통해 증명한다.
    MaMM \neq aM이라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aMaM의 임의의 서로 다른 두 원소 api,apjap_i, ap_jmodn\mod n에서 같거나, 두 원소 중 하나 이상이 nn과 서로소가 아니어야 한다.
    여기서, aann은 서로소이고, pi,pjp_i, p_j도 각각 nn과 서로소이므로 api,apjap_i, ap_j 또한 nn과 서로소이다.
    그렇다면 aMaM의 임의의 두 원소 api,apjap_i, ap_j에 대해 apiapjmodnap_i \equiv ap_j\mod n 이어야 되고, 이는 a(pipj)0modna(p_i - p_j) \equiv 0\mod n을 의미하는데, aann은 서로소이므로 곧 pipj0modnp_i - p_j\equiv 0\mod n, 즉 pi,pjp_i, p_jnn의 배수만큼 차이나야 된다. 그런데, 여기서 MM의 정의에 의해 pi,pjp_i, p_j의 차는 00보다 크고 nn보다 작을 수밖에 없으므로, MaMM \neq aM이라는 가정과 모순된다.

Lemma에 의해 M=aMM = aM이 보여졌으므로, MM의 모든 원소의 곱 p1p2pφ(n)p_1p_2\cdots p_{\varphi(n)}aMaM의 모든 원소의 곱 aφ(n)p1p2pφ(n)a^{\varphi(n)} p_1p_2\cdots p_{\varphi(n)} 도 같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p1p2pφ(n)aφ(n)p1p2pφ(n)modnp_1p_2\cdots p_{\varphi(n)} \equiv a^{\varphi(n)} p_1p_2\cdots p_{\varphi(n)} \mod n

양변을 p1p2pφ(n)p_1p_2\cdots p_{\varphi(n)}로 나누면, 우리가 얻고자 하는 결과를 얻는다.

aφ(n)1modna^{\varphi(n)} \equiv 1 \mod n

응용

오일러 정리에서 nn을 임의의 소수 pp로, φ(n)\varphi(n)p1p-1로 치환하면 다음과 같은 식을 얻는다.

ap11modpa^{p-1} \equiv 1 \mod p

이는 바로 페르마의 소정리(Fermat's little theorem)이다. 즉, 오일러 정리는 페르마의 소정리의 일반화된 정리라고도 볼 수 있다.

profile
AI 엔지니어 (진)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