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부트에서 JPA사용하기

nn·2022년 1월 30일
0

웹서비스를 개발하려면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는 것을 피할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데이터를 어떻게 저장할지 초점을 맞추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기능과 속성을 한 곳에서 관리하는 객체지향프로그래밍 언어를 함께 사용하려고 하면 이 둘의 사상이 너무 다르기 때문에 패러다임에 불일치가 생깁니다.

이런 패러다임의 불일치를 해결하기위한 기술이 JPA입니다.

JPA를 통해 개발자는 객체지향적으로 프로그래밍을하면 JPA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맞게 대신 SQL을 생성해줍니다.
즉 개발자는 더이상 SQL에 종속적으로 프로그래밍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Spring Data JPA

인터페이스인 JPA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구현체가 필요합니다.
구현체들을 추상화시켜 사용하기 쉽게 만든 것이 Spring Data JPA 모듈입니다.

Spring Data JPA를 쓰는 것과 Hibernate를 사용하는 것은 큰 차이가 없음에도 Spring Data JPA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구현체 교체의 용이성 : Hibernate가 수명을 다해 새로은 JPA구현체가 떠오르면 Spring Data JPA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쉽게 교체를 할 수 있습니다.
  • 저장소 교체의 용이성 : 다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의존성만 교체를 하면 됩니다.

기본적인 CRUD의 인터페이스가 같기 때문입니다.


JPA 적용하기

build.gradle에 다음의 의존성을 추가해야합니다.

  • spring-boot-starter-data-jpa
    스프링부트용 Spring Data JPA 추상화 라이브러리
  • h2
    인메모리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프로젝트에 의존성 추가만으로 관리가능
    메모리로 실행되므로 재시작할때마다 초기화 -> 테스트 용으로 많이 사용

Entity 클래스 생성

이 클래스는 DB와 매칭될 클래스로 @Entity 어노테이션을 사용해야합니다.

domain 패키지 생성하고, 그 아래에 posts패키지와 Posts 클래스를 생성했습니다.

주요 어노테이션은 주요 어노테이션을 클래스 명과 가까이 배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코드를 단순화 시켜주는 롬복 어노테이션보다 @Getter, @NoArgsConstructor JPA 어노테이션인 @Entity 어노테이션을 클래스 명과 가까운 위치에 배치했습니다.

@Getter // Getter 메소드 생성
@NoArgsConstructor // 기본생성자 추가
@Entity // 테이블과 링크 될 클래스 임을 나타냄
public class Posts {
    @Id // 해당 테이블의  PK 입니다.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 PK생성규칙입니다. GenerationType.IDENTITY옵션을 추가해야 자동 증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ivate Long id;
    
    @Column(length = 500, nullable = false) // 테이블의 컬럼을 나타냅니다. 
    private String title;

    @Column(columnDefinition = "TEXT", nullable = false)
    private String content;

    private String author;

    @Builder // 클래스의 빌더패턴 클래스 생성 , 생성자 상단에 선언하면 생성자에 포함된 필드 (title, content, author)만 빌더에포함
    public Posts(String title, String content, String author) {
        this.title = title;
        this.content = content;
        this.author = author;
    }
}

이 클래스에는 setter 메소드가 없습니다.

setter가 있는 경우 해당 클래스의 인스턴스 값들이 어제 어디서 변해야하는지 코드상으로 정확히 알 수 없기때문에 Entity클래스에서는 setter를 만들지 않아야합니다.

만약 필드의 값 변경이 필요한 경우 그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는 메소드를 추가해야합니다.
예를 들어 주문 취소메소드가 필요한 경우입니다. setter를 사용해 인스턴스의 값을 바로 변경했습니다.

public Class Order{
	public void setStatus(boolean s){
     	this.status = status;
    }
}

public void 주문취소이벤트(){
	order.setStatus(false);
}

이 코드를 다음처럼 변경해 사용해야 합니다.

public Class Order{
	public void cancleOrder(){
     	this.status = false;
    } 
}

주문을 취소하는 메소드를 만듭니다. 이 메소드는 상태를 false로 변경해주는 역할만 합니다.
그리고 취소해야하는 경우 cancleOrder를 호출합니다.

public void 주문취소이벤트(){
	order.cancleOrder();
}

JPA는 기본적으로 생성자를 통해 값을 채운 후 DB에 insert합니다.
값 변경이 필요한 경우엔 위의 예시처럼 해당 이벤트에 맞는 메소드를 호출하여 값을 변경합니다. 그래서 setter가 없어도 됩니다.

@Builder를 통해 생성시점에 어느 필드에 어느 값을 채워줄 수 있는지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습니다.


JpaRepository 인터페이스 생성

DB로 접근하기위해 생성한 인터페이스입니다.

impor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JpaRepository;

public interface Post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Posts, Long> {

}

JpaRepository<엔티티 클래스, PK 타입> 을 상속하면 자동적으로 기본 CRUD가 생성됩니다.

Entity 클래스와 기본 Entity Repository는 함께 위치해있어야합니다.


Spring Data JPA 테스트 코드 작성하기

save와 findAll 기능을 테스트해보겠습니다.

import org.junit.After;
import org.junit.Test;
import org.junit.runner.RunWith;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Runner;

import java.util.List;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

@RunWith(SpringRunner.class)
@SpringBootTest
public class PostRepositoryTest {

    @Autowired
    PostRepository postRepository;

    @After // 단위테스트가 끝날때마다 수행되는 메소드, 데이터 간 데이터침범을 막기위해사용
    public void cleanUp(){
        postRepository.deleteAll();
    }

    @Test
    public void 게시글_저장불러오기(){
        //given
        String title = "테스트 제목";
        String content = "테스트 내용";

        postRepository.save(Posts.builder() //post에 insert,update쿼리를 실행 (id가 있으면 update, 없으면 insert)
                                .title(title)
                                .content(content)
                                .author("me")
                                .build());
        // when
        List<Posts> postsList = postRepository.findAll(); //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 조회

        //then
        Posts posts = postsList.get(0);
        assertThat(posts.getTitle()).isEqualTo(title);
        assertThat(posts.getContent()).isEqualTo(content);

    }
}


위와 같이 테스트를 통과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로그에 쿼리 출력하기

jpa를 통해 직접 쿼리를 작성하지 않고도 데이터베이스를 수정 조회를 할 수 있었습니다.
그럼 jpa가 자동으로 어떤 쿼리를 만들었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src/main/resources 아래에 프로퍼티를 생성하겠습니다.
application.propertise 파일을 만들고 다음과 같이 작성하겠습니다.
spring.jpa.show_sql=true
그럼 다음과 같이 콘솔에서 쿼리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profile
내가 될 거라고 했잖아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