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oot] 1. 개발 환경 구축 및 프로젝트 생성

Noh_level0·2024년 1월 21일
0

Spring Boot

목록 보기
1/5
post-thumbnail

1. JDK 17 설치

ORACLE 홈페이지에서 자신의 운영체제에 맞는 JDK 17을 다운하여 설치한다.
https://www.oracle.com/kr/java/technologies/downloads/#java17

2. 환경변수(Window 라면) 설정

  • 2.1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시스템 > 고급 시스템 설정

  • 2.2 시스템 변수 추가

    JAVA_HOME이라는 이름으로 시스템 변수를 추가한다. 이때 변수 값은 jdk 17이 설치된 폴더의 경로로 설정한다. (기존에 JAVA_HOME이 있다면 편집으로 경로만 변경해준다.)
  • 2.3 Path 시스템 변수 편집

    시스템 변수 Path의 편집을 클릭하여 %JAVA_HOME%\bin을 추가해준다.
  • 2.4 설치 확인

    cmd에서 java -version을 입력했을 때 java의 버전이 출력된다면 jdk의 설치 및 환경변수 설정이 잘 된 것이다.

3. IDE(IntelliJ) 설치

https://www.jetbrains.com/ko-kr/idea/download/?section=windows
Ultimate 버전과 Community 버전이 있는데, 나는 이 중 무료 버전인 Community 버전을 설치해 주었다.

4. 스프링 프로젝트 생성

https://start.spring.io/
위 사이트에서 스프링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 Project
    Gradle Project 선택
    Maven 또는 Gradle은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가져오거나 빌드하는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하는 툴이다. 과거에는 Maven을 많이 사용했지만 최근에는 Gradle을 많이 사용한다고 한다.
  • Language
    JAVA 선택
  • Spring Boot
    3.2.2 선택
    SNAPSHOT, M1은 정식 릴리즈 된 버전이 아니므로 정식 릴리즈 된 버전을 선택해준다.
  • Dependencies
    Spring Web, Thymeleaf 추가

5. IntelliJ에서 프로젝트 열기

다운한 Spring 프로젝트의 압축을 푼다. 그 후 IntelliJ를 실행 후 Open > 다운한 프로젝트의 build.gradle을 선택하여 프로젝트를 열어준다.

6. 프로젝트 실행하기

HelloSpringApplication.java 파일 위에서 우클릭 후 Run 'HelloSpringApp....main()'을 클릭하면 프로젝트가 실행된다.

웹 브라우저에서 http://localhost:8080/ 접속 시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

이는 SpringBootApplication이 실행이 되면서 내장된 톰캣 웹 서버를 띄움과 동시에 Spring Boot가 같이 올라가게 되는 화면이다.



본 포스팅은 inflearn 김영한 강사님의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강의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강의 링크

썸네일 생성: Thumbnail Mak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