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상황에서 지금 당장 좋은 것만 고르는 방법
사전에 암기하고 있지 않아도 창의력(아이디어)으로 풀 수 있을 가능성이 높은 유형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최적의 해를 보장하지 못하기 때문에, 정당성 분석(단순히 가장 좋아 보이는 것을 반복적으로 선택해도 최적의 해를 낼 수 있는지 검토하는 과정) 필요 -> 그리디 유형인 경우에는 그렇게 풀어도 답을 낼 수 있게 출제
머릿속에 있는 알고리즘을 소스코드로 바꾸는 과정(모든 알고리즘에 필요)
구현 유형은 이러한 구현 과정이 문제 해결 과정의 주 요소인 알고리즘 유형
= 풀이를 떠올리는 것은 쉽지만 소스코드로 옮기기 어려운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