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AWS 요금 발생 (프리티어)

noobie·2024년 3월 3일
0

AWS

목록 보기
1/1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aws의 ec2와 rds 를 사용 중이었는데, 대규모도 아니고 사용자도 팀원들 외에는 딱히 없는 상황에서 aws에서 20~30 달러😱 의 비용이 청구되어 원인을 찾아보게 되었다. (프리티어로 인스턴스 생성함 ㅠㅠ)

청구서 확인하기

aws 청구서는 우측 상단의 본인 계정을 클릭하고, 결제 및 비용 관리 를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다.

청구서 페이지에서 사용한 서비스별로 청구된 요금을 확인해보았다.
각 항목의 [+] 버튼을 클릭하면 세부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1. RDS 요금 해결하기

청구서에서 rds 이용에 대한 요금이 가장 높게 청구되었다.

❗️ 문제 1) 사용하지 않는 rds 인스턴스가 여러 개 존재

현재 프로젝트에서는 버지니아로 리전이 설정된 rds 를 사용하는데, 사용하지 않는 Asia Pacific 이 리전으로 설정된 rds와 시드니 rds 에서 요금이 청구되고 있었다.
실수로 만들었던 인스턴스들을 종료하지 않은 것 같다.

✅ 1) 사용하지 않는 rds 인스턴스 삭제

해당 리전을 선택하고 (우측 상단 계정 이름 옆에 있음) rds 서비스에 들어가 삭제를 해주었다. (시드니)

-> 사용하지 않는 인스턴스 여러개가 사용되고 있어서 월 750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보인다.
한 rds 당 월 750시간이 아니라 전체 합쳐서 월 750 시간으로 책정한다.

위 사진을 보면 under monthly free tier 즉, 750시간 이내로 sydney 리전의 rds 를 696시간 + 실제 사용한 rds 에서 54시간 = 750시간과
추가로 642시간을 사용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2) backup storage exceeding free allocation

Asia Pacific 리전의 rds 도 삭제하려 들어갔는데, 인스턴스가 0이라고 되어 있었다.
청구서의 세부사항을 다시 봤더니
"backup storage" 를 추가로 사용하여 청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마 스냅샷이 남아있어서 그렇다고 생각한다. 스냅샷도 모두 삭제해 주었다.
(대시보드에 들어가면 확인할 수 있다!)

❗️ 문제 2) provisioned gp2 storage running MySQL

이 부분에 대해 검색해본 결과, rds 를 생성할 때 선택하는 옵션 중에
'스토리지 자동 조절' 이라고 자동으로 스토리지를 확장하거나 조절해주는 기능이 있다.
이 기능 때문에 20 GB 만큼 자동으로 조절되어 요금이 나온 듯 하다.

rds 에서 수정을 클릭하여 해당 기능을 비활성화 해주었다.

💡rds 에서의 요금 문제 결론!

1 ) 사용하지 않는 rds 가 있는지 확인하고 삭제하기
2 ) 스냅샷 삭제 하기
3 ) 스토리지 자동 조정 활성화 기능 끄기
4 ) 백업 기능 필요없을 것 같으면 끄는 것도 도움이 될 듯 하다.


2. Virtual Private Cloud 요금 해결하기

다음으로는 어느 부분에서 요금이 나왔는지 확인해 보겠다.

Virtual Private Cloud 에서 IPv4 에 대한 요금이 청구됨을 알 수 있는데, 2024년 2월 1일부터 AWS는 Amazon Elastic Compute Cloud용 AWS 프리 티어에 매달 750시간의 퍼블릭 IPv4 주소 사용량을 포함하도록 업데이트 되었다.
https://aws.amazon.com/ko/about-aws/whats-new/2024/02/aws-free-tier-750-hours-free-public-ipv4-addresses/

rds 처럼 현재 프로젝트에서 사용하고 있는 ec2 리전은 서울로 설정되어 있는데 sydney 와 Virginia 리전으로 설정된 부분에서 요금이 청구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혹시 rds 처럼 사용하지 않는데 생성된 인스턴스가 있는지 확인해봤지만 없었다.

또한, Asia Pacific (Seoul) 의 세부사항을 보면 "for EC2 Free Tier" 라고 되어있는데 나머지에는 그런 말이 없다. --> EC2 사용으로 인해 청구되는 것이 아님을 의심할 수 있다.

✅ 어디서 public IPv4 address를 사용하고 있는지 찾기

Amazon VPC IP Address Manager 에 들어가서 (생성한 적 없다면) IPAM 생성을 누른다.


프리티어로 선택하고, 리전은 모든 리전을 추가 했다.

생성 후 동작하는데에 10분 정도 소요된다.
시간이 지나서 퍼블릭 IP 인사이트 탭에 들어가서 확인해보면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다.

사용하지 않는게 포함되어 있다면 해당 주소를 사용하고 있는 서비스 (RDS 나 EC2 등등.. ) 대시보드에 들어가서 삭제할 수 있을 듯 하다.
나는 둘 다 필요해서 그냥 두기로 했당..

프리티어 제공 시간 초과한 것은 아마 사용하지 않는 rds가 있던게 문제였을 것 같기도 하다.

이 부분은 rds 의 영향도 있었을 듯 해서 이번 달 요금 청구되는 것을 지켜보고 어떻게 할 지 생각해봐야 할 것 같다!

profile
개발뉴비 누비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