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프로토콜의 특성
1. Connectionless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했을 때, 그 요청에 맞는 응답을 보내고 연결을 끊는다.
2. Stateless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가지지 않는 서버 처리 방식이다. 클라이언트와 첫번째 통신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았어도, 두번째 통신에서 이전 데이터를 유지하지 않는다.
하지만 데이터 유지가 필요할 때가 있다.
ex) 로그인을 하고 페이지를 이동할 때마다 로그인을 해야한다.
쿠키
- 쿠키는 클라이언트(브라우저) 로컬에 저장되는 키와 값이 들어있는 작은 데이터 파일
- 사용자 인증이 유효한 시간을 명시할 수 있으며, 유효 시간이 정해지면 브라우저가 종료되어도 인증이 유지
- 쿠키는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로컬에 저장했다가 참조
- 사용자가 요청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Request시 헤더에 넣어서 전송
동작방식
- 클라이언트가 페이지를 요청
- 서버에서 쿠키를 생성
- HTTP헤더에 쿠키를 포함시켜 응답
- 브라우저가 종료되어도 쿠키 만료 기간이 있다면 클라이언트에 계속 보관
- 같은 요청을 할 경우 HTTP헤더에 쿠키를 함께 보냄
- 서버에서 쿠키를 읽어 이전 상태 정보를 변경 할 필요가 있을 때 쿠키를 업데이트 하여 변경된 쿠키를 헤더에 포함시켜 응답
쿠키 사용 예
세션
- 세션은 쿠키를 기반으로 하지만 클라이언트가 아닌 서버에서 관리
- 서버에서는 클라이언트를 구분하기 위해 세션 ID를 부여해 브라우저가 종료할 때까지 인증상태 유지
- 정보를 서버에 두기 때문에 쿠키보다 보안에 좋지만,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서버의 메모리 차지 -> 성능 저하의 요인
- 클라이언트가 Request를 보내면 해당 서버의 엔진이 클라이언트에게 유일한 ID를 부여하는데 이것이 세션 ID
동작 방식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 시 세션 ID를 발급
- 클라이언트는 ID에 대해 쿠키를 사용해서 저장하고 가지고 있음
-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할 때, 이 쿠키의 세션 ID를 서버에 전달해서 요청
- 서버는 ID를 전달받아 클라이언트 정보를 가져와서 사용
- 클라이언트 정보를 가지고 서버 요청을 처리하여 응답
쿠키와 세션 차이
- 사용자의 정보가 쿠키는 클라이언트에 세션은 서버에 저장된다
- 따라서 쿠키는 서버의 자원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 쿠키는 클라이언트 로컬에 저장되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하지만 또한 요청 속도가 빠르다
- 쿠키는 만료시간이 있지만 파일로 저장되기 때문에 브라우저를 종료해도 정보가 남아있을 수 있다.
- 세션도 만료시간을 정할 수 있지만 브라우저가 종료되면 만료시간에 상관없이 삭제된다.
- 가장 중요한 차이는 라이프사이클!!
캐시
- 캐시는 이미지나 css,js파일 등을 클라이언트나 서버 앞 단에 저장해놓고 사용하는 것
- 캐시에 저장되면 브라우저를 참고하기 때문에 서버에서 변경되어도 클라이언트는 변경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