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정렬

설명:
- 배열에서 최소값을 찾아서 맨앞 요소와 swap
- 정렬이 완료될수록 정렬된 구간과 미정렬 구간이 나뉨
- 비교는 모두 진행된다
function selectionSort(arr) {
const n = arr.length;
for (let i = 0; i < n - 1; i++) {
let minIdx = i;
for (let j = i + 1; j < n; j++) {
if (arr[j] < arr[minIdx]) minIdx = j;
}
[arr[i], arr[minIdx]] = [arr[minIdx], arr[i]];
}
return arr;
}
삽입정렬

설명:
- 인덱스를 1 즉 배열의 두번째 부터 왼쪽으로 한칸씩 옮기며 자신의 위치를 찾아서 삽입
-
function insertionSort(arr) {
for (let i = 1; i < arr.length; i++) {
let key = arr[i];
let j = i - 1;
while (j >= 0 && arr[j] > key) {
arr[j + 1] = arr[j];
j--;
}
arr[j + 1] = key;
}
return arr;
}
셸정렬

- 삽입 정렬의 개선 버전
- 삽입 정렬의 단점으 (n-1) 인덱스 원소 즉 끝 원소의 자리가 0번째라면 엄청 많은 교환을 해줘야함
- 간격 (gap) 을 정해서 배열을 부분 배열로 나누어서 정렬시키고 해당 간격을 줄여서 정렬시키는걸 반복 대부분 배열의 절반을 간격으로 줌
- 간격만큼 떨어진 원소들 끼리 교환 즉 삽입 정렬 수행
- 이후 간격을 절반으로 줄이면서 정렬
최선 | 평균 | 최악 |
---|
O(nlogn) | O(nlongn) | O(nlogn) |
function shellSort(arr) {
let n = arr.length;
let gap = Math.floor(n / 2);
while (gap > 0) {
for (let i = gap; i < n; i++) {
let temp = arr[i];
let j = i;
while (j >= gap && arr[j - gap] > temp) {
arr[j] = arr[j - gap];
j -= gap;
}
arr[j] = temp;
}
gap = Math.floor(gap / 2);
}
return arr;
}
버블정렬

설명:
- 인접한 두 수를 비교해 교환하면서 큰 수를 뒤로 보냄
- 두개의 요소를 계속 비교해서 교환.
function bubbleSort(arr) {
let n = arr.length;
for (let i = 0; i < n - 1; i++) {
let swapped = false;
for (let j = 0; j < n - 1 - i; j++) {
if (arr[j] > arr[j + 1]) {
[arr[j], arr[j + 1]] = [arr[j + 1], arr[j]];
swapped = true;
}
}
if (!swapped) break;
}
return arr;
}
병합정렬 (Divide & Conquer)

설명:
- 인접한 두 수를 비교해 교환하면서 큰 수를 뒤로 보냄
- 분할 정복 알고리즘
- 배열의 길이가 1이 될때까지 분활하고, 분활이 완료되면 부분배열을 합병하면서 정렬하여 모든 배열을 합병
- 추가 메모리 또는 재귀함수 비용
- 큰 배열에 성능 우수 하지만 작은 배열에는 비효율적
최선 | 평균 | 최악 |
---|
O(n log n) | O(n log n) | O(n log n) |
function mergeSort(arr) {
if (arr.length <= 1) return arr;
const mid = Math.floor(arr.length / 2);
const left = mergeSort(arr.slice(0, mid));
const right = mergeSort(arr.slice(mid));
return merge(left, right);
}
function merge(left, right) {
let result = [];
let i = 0, j = 0;
while (i < left.length && j < right.length) {
result.push(left[i] < right[j] ? left[i++] : right[j++]);
}
return result.concat(left.slice(i)).concat(right.slice(j));
}
힙정렬

설명:
- 최대 힙(Max Heap)을 구성하여 가장 큰 수를 루트로 꺼냄 오름차순 루트가 가장 큰 수
- 최소 힙을 사용하영 내림차순 루트가 가장 작은 수
- 트리 기반 구조
- heapify : 하나의 노드에 대해서 수행하요 특정 노드의 두자식중 더 큰 자식과 자신의 위치를 바꾸는 알고리즘
최선 | 평균 | 최악 |
---|
O(n log n) | O(n log n) | O(n log n) |
function heapSort(arr) {
const n = arr.length;
for (let i = Math.floor(n / 2) - 1; i >= 0; i--) {
heapify(arr, n, i);
}
for (let i = n - 1; i > 0; i--) {
[arr[0], arr[i]] = [arr[i], arr[0]];
heapify(arr, i, 0);
}
return arr;
}
function heapify(arr, n, i) {
let largest = i;
let l = 2 * i + 1;
let r = 2 * i + 2;
if (l < n && arr[l] > arr[largest]) largest = l;
if (r < n && arr[r] > arr[largest]) largest = r;
if (largest !== i) {
[arr[i], arr[largest]] = [arr[largest], arr[i]];
heapify(arr, n, largest);
}
}
퀵정렬

설명:
- 피벗을 기준으로 작은 값은 왼쪽, 큰 값은 오른쪽으로 분할
- 본활하다보면 왼쪽 작은수들 와 오르쪽 큰값들로 분활됨 이때 왼쪽과 오르쪽이 교차시 즉 1cycle이 끝나면 피봇과 왼쪽을 교환
최선 | 평균 | 최악 |
---|
O(n log n) | O(n log n) | O(n²) |
function quickSort(arr) {
if (arr.length <= 1) return arr;
const pivot = arr[Math.floor(arr.length / 2)];
const left = arr.filter(x => x < pivot);
const middle = arr.filter(x => x === pivot);
const right = arr.filter(x => x > pivot);
return [...quickSort(left), ...middle, ...quickSort(right)];
}
알고리즘 츄라이츄라이
https://codepen.io/nowrobin/pen/ByNMJMo
참고한 정렬을 이해하기 쉬웠던 자료들 :
https://www.youtube.com/watch?v=FchRqQSQSuU&t=568s
https://www.youtube.com/watch?time_continue=2&v=kPRA0W1kECg
https://www.youtube.com/watch?v=KGyK-pNvWos
https://velog.io/@pppp0722/%EC%A0%95%EB%A0%AC-%EC%95%8C%EA%B3%A0%EB%A6%AC%EC%A6%98-7%EA%B0%9C-%EC%A0%95%EB%A6%AC-Java
codepen 시각 자료 신기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