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서울 꺼벙 천사입니다
[ 혼자 공부하는 파이썬 개정판 ]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지난번까지는
[ Chapter 01 파이썬 시작하기 ]를 정리했습니다
https://velog.io/@nspro0318/Chapter-01-%ED%8C%8C%EC%9D%B4%EC%8D%AC-%EC%8B%9C%EC%9E%91%ED%95%98%EA%B8%B0-%EC%B4%9D%EC%A0%95%EB%A6%AC
이번부터
8개의 Chapter 중
두번째
[ Chapter 02 자료형 ]을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자료(Data)
프로그래밍 언어를 공부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개념이
자료(Data)라는 개념입니다
아주 간단하게 정리를 하면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처리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자료라고 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자료는
예전에는 문자와
숫자나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진 것만을
자료라고 생각을 했으나
요즘에는
문자와
숫자
문자와 숫자의 혼합된 것 뿐만 아니라
소리
영상
사진 등 다양한 형식을 가진 것을 종합하는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서울 꺼벙 천사는
모르는 IT 용어가 나오면
위키 백과를 주로 검색합니다
자료를 검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E%90%EB%A3%8C
위의 링크를 클릭해보세요
잘 읽어서 아는 부분만 이해해도 됩니다
자료형
자료형은 Data Type이라고 하는데
데이터의 형식을 말하는 것으로
데이터를 어떻게 구분할 것인지를 그룹으로 관리하는 것이라고 생각을 하면 됩니다
자료형도 위키 백과를 통해 검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E%90%EB%A3%8C%ED%98%95#:~:text=%EC%9E%90%EB%A3%8C%ED%98%95(%E8%B3%87%E6%96%99%E5%9E%8B)%20%EB%98%90%EB%8A%94%20%EB%8D%B0%EC%9D%B4%ED%84%B0,%EB%93%A4%2C%20%EB%8D%B0%EC%9D%B4%ED%84%B0%EC%9D%98%20%EC%9D%98%EB%AF%B8%2C%20%ED%95%B4%EB%8B%B9
파이썬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타입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인 것이
문자열
숫자
Boolean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문자열
문자열은
String으로
파이썬에서는 간단하게 [ str ]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파이썬에서 문자열을 만드는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큰 따옴표)나
''(작은 따옴표)안에 원하는 내용을 적으면 되는데
보통 ''(작은 따옴표)를 사용합니다
""(큰 따옴표)나
''(작은 따옴표)안에 숫자가 있어도 문자열로 인식됩니다
파이썬에서
데이터 타입을 확인하는 명령어가
type라는 명령어가 있습니다
[ Visual Studio Code ]를 실행하여
다음과 같이 입력하도록 하겠습니다
print(type('안녕하세요'))
print(type('서울 꺼벙 천사입니다!!!'))
print(type('123'))
print(type('ABCD'))
print(type('abcd'))
print(type('大韓民國'))
저장을 하고(Ctrl + s)
실행을 하도록 하겠습니다(f5)
[ class 'str' ]이라는 것은
지금 입력이 된 것들은
string
즉 문자열에 해당한다는 것을 알리는 것입니다
여러 줄을 문자열로 인식하게 하고 싶으면
"""로 시작하여
내용을 입력하고
"""로 마무리하거나
'''
로 시작하여
내용을 입력하고
'''로 마무리를 한 후에
저장을 하고
실행을 하면 됩니다
print('''안녕하세요 서울 꺼벙 천사입니다!!! 123 ABCD abcd 大韓民國''')
print('''
안녕하세요
서울 꺼벙 천사입니다!!!
123
ABCD
abcd
大韓民國''')
저장을 하고
실행을 하면
위와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문자열 연산자
연산자라고 하는 것은
계산을 하는 것입니다
문자열도 연산자를 이용할 수 있지만
+와
print('서울 꺼벙 천사' + '만만세')
print(('서울 꺼벙 천사' + '만만세') * 3)
저장을 하고
실행을 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첫번째 줄에 보이는 것이
문자열 연산자 +의 결과이고
두번째 있는 것이
문자열 반복 연산자 *의 결과입니다
문자 선택 연산자
문자열은 저장이 될 때
각자의 자리를 지정받게 되는데
0부터 시작되는 숫자를 배정을 받게 되는데
이것을 index라고 합니다
index를 이용해서
문자열 중에 하나의 글자를 추출하는 것을
인덱싱이라고 합니다
print('서울꺼벙천사')
print('서울꺼벙천사'[0])
print('서울꺼벙천사'[1])
print('서울꺼벙천사'[2])
print('서울꺼벙천사'[3])
print('서울꺼벙천사'[4])
print('서울꺼벙천사'[5])
print('서울꺼벙천사'[6])
print('서울꺼벙천사'[7])
저장을 하고
실행을 하면
그런데
사실 에러가 발생합니다
[ string index out of range ]라는 것은
[ 범위를 벗어난 문자열 인덱스 ]라는 뜻으로
[ print('서울꺼벙천사'[6]) ]은 인덱스에 해당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표시할 수 없다는 뜻이며
서울꺼벙천사는 6글자이기 때문에
[ 사 ]가 나올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파이썬은 0부터 시작을 하기 때문에
[ 사 ]의 index는 6이 아닌
5가 되는 것입니다
문자열 범위 선택 연산자
문자열 범위 선택 연산자는
슬라이싱이라고 하는데
인덱싱과 마찬가지로
인덱스를 이용한다는 것은 동일하지만
인덱싱은 한 글자를 추출하는 것이지만
슬라이싱은 여러 글자를 추출할 수 있다는 점이 다릅니다
print('서울꺼벙천사')
print('서울꺼벙천사'[0:2])
print('서울꺼벙천사'[:2])
print('서울꺼벙천사'[2:2])
print('서울꺼벙천사'[0:5])
print('서울꺼벙천사'[0:])
저장을 하고
실행을 하면
위와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몇 가지 기억할 것이 있습니다
1. 인덱스는
1부터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0부터 시작된다
print('서울꺼벙천사')
[ 서울 ]을 추출하고 싶으면
[ 1:2 ]가 아닌
[ 0:2 ]로 해야 합니다
시작 인덱스와
범위를 지정할 인덱스를 구분하기 위해
:를 사용하여 구분한다
print('서울꺼벙천사')
[ 서울 ]을 추출하고 싶으면
[ 0:2 ]처럼
시작 인덱스와
범위를 지정할 인덱스의 사이에
:로 구분을 합니다
범위를 지정할 인덱스를 사용할 때는
범위를 지정할 인덱스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print('서울꺼벙천사')
[ 서울 ]을 추출하고 싶으면
인덱스가 0부터 시작한다고 해서
[ 0:1 ]이라고 입력하면
결과는 [ 서 ]만 추출되며
정확하게 추출하기 위해서는
[ 0:2 ]로 해야 합니다
시작 인덱스를 생략하면
처음부터 범위를 지정한 인덱스 전까지 문자를 추출됩니다
print('서울꺼벙천사')
print('서울꺼벙천사'[:2])
시작 인덱스를 생략하면
처음부터
범위를 지정한 인덱스 전까지의 문자를 추출됩니다
범위를 지정하는 인덱스를 생략하면
시작 인덱스에서 끝까지 추출할 수 있다
print('서울꺼벙천사')
print('서울꺼벙천사'[0:])
결과는
[ 서울꺼벙천사 ]가 출력됩니다
문자열의 길이가 알고 싶으면...
공백과
특수 문자를 포함한 문자열의 길이가 궁금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는
[ len ]입니다
[ len ]은
길이를 의미하는 length의 약자입니다
print(len('혼자 파아썬을 독학하고 있는 서울 꺼벙 천사입니다!!!')
저장을 하고
실행을 하면
위와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첫 작성 : 2022년 7월 7일 목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