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Code_basic.1

dwanGim·2022년 2월 21일
0

vscode_basic

목록 보기
1/55

VSCode를 차근차근 배워보겠습니다.

VSCode는 html파일을 만들고

!와 엔터키를 누르면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body>
</html>

이런 기본 형식이 자동으로 완성되며

중간의 와 에 원하는 기능들을 집어 넣습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h1>블록 요소</h1>
    <h2>블록 요소는</h2>
    <p>한 태그가 한 줄씩 차지합니다.</p>

    <p> 라이브 서버는 저장 시 바로 화면이 바뀝니다.</p>


    <strong>인라인 요소는 한 줄  </strong>
    <a href="#">로 표현됩니다.</a>
    <a href="#">줄바꾸기전엔 계속 가로로 나열됩니다.</a>

    <h1>단락 요소</h1>
    <h2>단락 요소의 특징</h2>
    <P>
        단락을 표시하는 p태그는 블록태그<br>
        이기 때문에, 줄 바꿈이 일어납니다.
    </P>
    <p>
        p 태그는 내부에 인라인 요소를<br>
        여럿 가질 수 있지만<br>
        블록요소는 가질 수 없습니다.
    </p>


</body>
</html>

저장은 ctrl + s

실행 결과창을 띄우고 싶을 때는 alt + l + o를 차례대로 누르면 됩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VSCode의 제목은 여기에 씁니다.</title>
</head>
<body>
    <h1>작성자 주소</h1>
    <address>
         <!-- 주석은 코드 사이에 컴퓨터는 볼 수 없고 사람만 볼 수 있는
            설명을 작성할 떄 사용합니다. -->
        <!-- d아래 &lt; &#62; 등의 특문을 찾고 싶으시면 
        구글이 "html특수문자 리스트"라고
        검색하면 많이 나옵니다.-->
        &lt;서울특별시 파이썬구 자바로 123-45 vscode빌딩&#62;
        031 -123 - 4567
        COPYRIGHT &copy; dwanGim
        All Rights Reserved
    </address>
       
    <a href="#">인라인태그 
        

        태그 내에서 줄바꿈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br>
        br태그를 써야 줄바꿈이 일어나요.
        
        테스트</a>
</body>
</html>

특수문자들은 구글검색으로 그때그때 검색해도 되지만 위의 예시를 둔 것들은 기억해둘만한 것 같습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구분선 테스트</title>
</head>
<body>
    <h1>구분선 긋기</h1>
    <hr/>
    <p>HTML은 정적 표현 요소에 씁니다.</p>
    <hr>
    <p> JS는 동적 요소 표현에 씁니다.</p>
    
      <a href="#">인라인 링크</a>
    <a href="#">인라인 링크2</a><br><br/>
    <a href="#">인라인 링크3</a><br/>
    <a href="#">인라인 링크4</a><br>
    <p>
        블록 태그 내에서도 <br/>
        여전히<br>
        작동하는 &lt;br&gt;
    </p>
    
    
</body>
</html>

[br]을 통해 엔터키를 누른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velog에서는 b@@r을 쓸 수가 없네요. 쓰는 순간

엔터가 입력되어버립니다.

아마 이 게시글 작성툴이 VS Code를 쓰거나 거의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 같습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h1>&lt;blockqoute&gt;&lt;q&gt;</h1>
    <h2>&lt;blockquote&gt;요소</h2>
    <p>애국가 1절</p>
    <blockquote>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blockquote>
    <h2>&lt;q&gt; 요소</h2>
    <p>배고프고 : <q>피곤합니다</q></p> 

    <h1>텍스트 요소</h1>
    <h2>강조 표현</h2>
    <p>이젠 <em>HTML</em>로 프로그래밍 한다</p>
    <p>진짜 <strong>HTML</strong>을 쓴다.</p>
    <h2>생략, 두문자어</h2>
    <p><addr title="Bang Tan Sonyundan">BTS</addr></p>


    <h2> 추가글 및 삭제글 </h2>
    <p> 연수 선발 : <del>김자바</del></p>
    <p>대체 선발 : <ins>박스프링</ins></p>

    <h2>윗첨자와 아래첨자</h2>
    <p>e=mc<sup>2</sup></p>
    <p>10 = log<sub2>2</sub2>2<sup>10</sup></p>

</body>
</html>

기본적인 요소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하나하나 완벽하게 익히는 게 종요하겠습니다.

profile
배울 게 참 많네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