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 a = 1;
alert(a+1); // 2
var first = "coding";
alert(first+" everybody");
var a = 'coding', b = 'everybody';
alert(a);
alert(b);
var는 키워드이다.
변수가 없다면 다음과 같이 직접 값을 지정해야 한다.
alert(100+10);
alert((100+10)/10);
alert(((100+10)/10)-10);
alert((((100+10)/10)-10)*10);
이러한 코드에서 조건이 변경되면 값을 하나씩 수정해야 하기 때문에 엄청난 노동이 필요하다.
a = 100; // 변할 수 있는 부분
a = a + 10;
alert(a);
a = a / 10;
alert(a);
a = a - 10;
alert(a);
a = a * 10;
alert(a);
var str = 'Hello World';
→ str이라는 이름의 변수를 선언하고 문자열 리터럴 'Hello World'를 값으로 할당하였다. 이때 문자열 리터럴'Hello World'는 문자열 타입의 값이다.
코드 안에서 직접 만들어 낸 상수 값 자체를 말하며 값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이다.
// 숫자 리터럴
10.50
1001
// 문자열 리터럴
'Hello'
"World"
// 불리언 리터럴
true
false
// null 리터럴
null
// undefined 리터럴
undefined
// 객체 리터럴
{ name: 'Lee', gender: 'male' }
// 배열 리터럴
[ 1, 2, 3 ]
// 정규표현식 리터럴
/ab+c/
// 함수 리터럴
function() {}
변수를 선언할 때 정수, 실수, 문자열 등의 별도 데이터 타입을 지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C언어보다 간편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 주어진 여건에서,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은 한정적이고 불규칙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불평하지 말고 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