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록문
{
var foo = 10;
console.log(foo);
}
if (조건식) {
// 조건식이 true이면 이 코드 블록이 실행된다.
} else {
// 조건식이 false이면 이 코드 블록이 실행된다.
}
if (조건식1) {
// 조건식1이 true이면 이 코드 블록이 실행된다.
} else if (조건식2) {
// 조건식2이 true이면 이 코드 블록이 실행된다.
} else {
// 조건식1과 조건식2가 모두 false이면 이 코드 블록이 실행된다.
}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head>
<body>
<script>
id = prompt('아이디를 입력해주세요.')
if(id=='egoing'){
alert('아이디가 일치 합니다.')
} else {
alert('아이디가 일치하지 않습니다.')
}
</script>
</body>
</html>
1) prompt() 구문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가져와서 id 변수로 값을 대입한다.
2) 입력한 값이 egoing이면 '아이디가 일치 합니다'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아이디가 일치하지 않습니다'를 출력한다.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head>
<body>
<script>
id = prompt('아이디를 입력해주세요.');
if(id=='egoing'){
password = prompt('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if(password==='111111'){
alert('인증 했습니다.');
} else {
alert('인증에 실패 했습니다.');
}
} else {
alert('인증에 실패 했습니다.');
}
</script>
</body>
</html>
아이디의 값이 일치하는지 확인한 후에 일치한다면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확인한 것이다.
if(!''){
alert('빈 문자열')
}
if(!undefined){
alert('undefined');
}
var a;
if(!a){
alert('값이 할당되지 않은 변수');
}
if(!null){
alert('null');
}
if(!NaN){
alert('NaN');
}
드디어 제어문을 배우기 시작했다!!🎉 예전에 접했던 내용도 새록새록 기억나고, 좀 더 프로그램 다운 코드를 짜기 시작하니까 재미도 생겼다. 빨리 기초를 떼어서 프로젝트를 만들어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