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비밀지도

Changyun Go·2021년 8월 28일
0

프로그래머스 Level 1

목록 보기
14/19
post-thumbnail

비밀지도

문제 설명


네오는 평소 프로도가 비상금을 숨겨놓는 장소를 알려줄 비밀지도를 손에 넣었다. 그런데 이 비밀지도는 숫자로 암호화되어 있어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암호를 해독해야 한다. 다행히 지도 암호를 해독할 방법을 적어놓은 메모도 함께 발견했다.

  1. 지도는 한 변의 길이가 n인 정사각형 배열 형태로, 각 칸은 "공백"(" ") 또는 "벽"("#") 두 종류로 이루어져 있다.
  2. 전체 지도는 두 장의 지도를 겹쳐서 얻을 수 있다. 각각 "지도 1"과 "지도 2"라고 하자. 지도 1 또는 지도 2 중 어느 하나라도 벽인 부분은 전체 지도에서도 벽이다. 지도 1과 지도 2에서 모두 공백인 부분은 전체 지도에서도 공백이다.
  3. "지도 1"과 "지도 2"는 각각 정수 배열로 암호화되어 있다.
  4. 암호화된 배열은 지도의 각 가로줄에서 벽 부분을 1, 공백 부분을 0으로 부호화했을 때 얻어지는 이진수에 해당하는 값의 배열이다.

네오가 프로도의 비상금을 손에 넣을 수 있도록, 비밀지도의 암호를 해독하는 작업을 도와줄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제한 사항


입력 형식

입력으로 지도의 한 변 크기 n 과 2개의 정수 배열 arr1, arr2가 들어온다.

  • 1 ≦ n ≦ 16
  • arr1, arr2는 길이 n인 정수 배열로 주어진다.
  • 정수 배열의 각 원소 x를 이진수로 변환했을 때의 길이는 n 이하이다.

출력 형식

원래의 비밀지도를 해독하여 '#', 공백으로 구성된 문자열 배열로 출력하라.

나의 풀이


function solution(n, arr1, arr2) {
    let answer = [];
    let crack1 = [];
    let crack2 = [];
    let result = Array.from({length: arr1.length}, undefined => ""); 
 
    for(let number of arr1){
        crack1.push(number.toString(2).padStart(arr1.length,'0'));
    }
    for(let number of arr2){
        crack2.push(number.toString(2).padStart(arr2.length,'0'));
    }
    for(let i = 0; i < crack1.length; i++){
        for(let j = 0; j < crack1.length; j++){
            if(crack1[i][j] === '1' || crack2[i][j] === '1'){
                result[i] += '#';
            }
            else{
                result[i] += ' ';
            }   
       } 
    }
    return result;
}

다른 사람의 풀이


function solution(n, arr1, arr2) {
    return arr1.map((v, i) => addZero(n, (v | arr2[i]).toString(2)).replace(/1|0/g, a => +a ? '#' : ' '));
}

const addZero = (n, s) => {
    return '0'.repeat(n - s.length) + s;
}

P.S.

arr1에 있는 요소를 2진수로 반환하고(toString), 정확한 비교를 위해 앞자리 공백을 0으로 채웠다(padStart). 그리고 2차원 배열을 읽으면서 두 개의 지도 중 하나라도 1로 인식될 경우 "#", 아니면 " "을 문자열로 채워 넣었다. 이때, 배열이 초기화되지 않아 문자열 앞에 undefined가 출력되었는데 Array.from이라는 함수를 이용해서 문제를 해결했다.

다른 사람의 풀이를 보면, 비트 연산자 OR(|)을 이용해 두 배열의 요소에 대해 2진수 단위에서 OR을 처리하고 결괏값을 2진수로 반환한다(toString). 그리고 n에서 해당 2진수의 길이를 뺀 값 만큼 0을 채워준 후, replace를 이용해서 전역에서 양수인 1은 "#", 0은 " "으로 변환하여 새로운 배열을 반환한다.(map)

이번 문제는 코드를 짜면서도, 다른 코드를 보면서도 공부할 내용을 많이 발견했다😃 특히, 정규 표현식을 이용해서 코드를 간단하게 줄일 수 있다는 점이 신기했다. 새롭게 배운 것들을 차근차근 정리해봐야겠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