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o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validator 패키지인 go-playground/validator에는 공식적으로 정규표현식 옵션을 지원하지 않아 임의로 추가해봤다.
swagger와 같이 dev 모드에서만 접근을 허용해야 하는 경우 Middleware를 만들어 설정 가능하다.

시작하기 전 GOPATH가 환경변수에 추가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도커 이미지를 경량화하기 위한 방법이다. 기존에 빌더와 러닝을 위한 Dockerfile을 각각 작성하고, 배치파일로 실행을 하던 번거로움을 하나의 Dockerfile로 간단하게 해결 가능하다.as builder로 빌더 이름을 설정 가능하고, 해당 빌더 내에서 빌드한 파
앞선 포스트에서 삽질을 하며 godotenv를 사용했는데, 생각해보니 그럴 필요가 없다. direnv를 사용하면 간단하게 해결 가능하다.설정파일 생성.env 파일 추가실행이렇게 환경변수를 설정하면 godotenv를 사용하여 환경변수를 불러올 필요가 없고, docker

lumberjack 설정 로그 파일 저장 기간, 용량 등을 설정하여 서버에 혹시 모를 용량 부족을 편하게 해결할 수 있다. 서버 실행 일자로 로그 파일을 생성하도록 설정해줬다. slog 설정 편의를 위해 logger.go 파일로 로거를 분리했다. 우선 slog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