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이 증권사 증권 계좌에 보유 중인 현금
증거금이란, 증권(주식, 선물옵션 등 포함)을 거래할 때 거래 제도에 따라 익일 또는 3일 후 주식과 현금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후불제이므로 이러한 거래의 이행을 담보하기 위한 보증금 성격의 자금을 뜻한다.
일반적인 주문
현시점에서 가장 유리한 조건 또는 시장에서 형성되는 가격
매매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잔여 수량은 장 종료 후(15시 20분) 시장가 주문으로 전환되는 주문 방법(지정가 + 시장가 방식)
즉시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주문 접수 시점에 상대방 최우선호가(매수/매도 1호가)로 주문하는 방법
자기 주문 방향의 최우선호가(매수/매도 1호가)로 주문하는 방법
매매 주문 시 체결할 수 있는 물량은 체결하고, 남은 잔량은 취소하는 주문 방법
주문 수량 전부에 대해 매매를 체결할 수 있는 경우에만 매매하고, 그렇게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주문 수량을 전부 취소하는 주문 방법
사이드카(프로그램 매매 호가호력 일시중지제도)란, 선물시장의 급등락으로 현물시장의 가격이 급변하는 것을 막기 위한 가격 안정화 장치이다.
사이드카는 증권시장의 공습경보로 여겨지는 '서킷 브레이커(Circuit Breaker)'의 전 단계로, 투자자에게 합리적인 판단을 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주기 위한 경계경보라 할 수 있다.
서킷브레이커(매매거래중단제도)란, 주가가 갑자기 급등하거나 급락할 때 시장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주식 매매를 일시적으로 정지하는 제도이다.
즉, 주가지수가 일정 수준 이상의 변동폭을 보일 때 시장 전체의 매매를 중단시켜 급격한 자본 유출에 따른 투자자들의 손실을 최소화 하는 제도이다.

같은 증권사 안에서 주식을 이전하는 것
쉽게 말해서, 상상인 증권 A 계좌에서 상상인 증권에 있는 또 다른 B 계좌로 주식을 이체시키는 것
증권사 자체를 갈아타는 것
상상인 증권 A 계좌에서 토스 증권 B 계좌로 주식을 이체시키는 것
IPO란, '기업공개'라는 뜻으로, 기업이 주식을 상장하는 방법 중 하나로 투자자들이 공개적으로 주식을 살 수 있도록, 기업이 주식과 경영 내역을 시장에 공개하는 것이다.
IPO를 통해 증권 시장에 상장을 하면, 투자자들은 자유롭게 주식을 사고팔며 투자를 할 수 있다.
공모주청약이란, 기업이 처음으로 주식을 공개적으로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과정에서 투자자들이 해당 주식을 사기 위해 청약(신청)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증권사에서 청약을 하면, 투자자들은 상장 전 주식을 배정받을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최종 경쟁률과 총 청약자수에 따라 주식을 배정)

ISA란, 예금, 펀드, ETF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하나의 계좌에서 운용할 수 있는 상품으로 본인의 투자 성향에 맞는 상품을 선택해 자산을 운용할 수 있고,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이다.
즉, 개인이 다양한 금융 상품에 투자하여 자산을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계좌이다.
중계형 ISA란, 가입자가 직접 운용 상품을 고르고 관리하는 ISA이다.
증권사나 은행 등 금융기관에 ISA 운용을 신탁하거나 일임하지 않고 본인이 직접 계좌를 운용, 관리한다.
ETF란, 특정 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 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펀드를 뜻한다.
그래서 ETF는 ‘상장 지수 펀드’라고도 불린다.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분산투자
ETF는 해당 종목을 구성하는 기업들로 이루어져있어 적은 가격으로 산업군에 투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정기적인 리밸런싱(Rebalancing) 반영
정기적으로 리밸런싱이 되어 직접 조정작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
저렴한 운용보수
ETF는 벤치마크 지수를 정확히 추종하는데 대부분의 운용사에서는 이걸 자동화 작업으로 처리한다. 따라서 거래 과정에서 불필요한 비용이 들지 않기 때문에 운용 보수를 줄일 수 있다.
투명한 운용
ETF는 펀드 보유종목을 영업일 기준으로 매일 공시를 하기 때문에 투명한 운용이 가능하다.
다양한 종류의 ETF를 원할 때, 원하는 가격으로 거래
별도의 환매기간이나 환매수수료 없이 실시간으로 주식시장에서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수량만큼 거래한 가격을 직접 확인하고 매매할 수 있다.
시장의 흐름에 따라 변동폭이 큼
시장의 흐름에 따라 변동폭이 크다는 리스크가 있다.
거래량이 적을 시 체결이 힘듦
특정 자산 또는 일부 적은 규모의 시장을 추종하는 지수의 경우 거래량이 적어 매매가 원활하지 않다.
따라서, 주문체결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중장기 투자가 기본
ETF 투자는 '시장'에 투자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사실상 중장기 투자가 기본적으로 깔려야 한다.
원금 손실 가능성 존재
ETF도 '위험자산'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원금손실이 충분히 가능
자산
부채 + 자본
우선주
보통주보다 배당 ⬆️ 하지만 의사 결정권은 없다.
영업이익
회사의 주된 수입원으로 벌어들인 돈(실질적 수익)
KOSPI
종합주가지수(유가증권시장)
KOSDAQ
제2 시장으로 벤처기업, 중소기업의 시장
KONEX
코스닥 상장조건을 만족시키지 X 벤처기업과 중소기업
K-OTC
비상장주식 장외 매매시장
주가지수
ETF
특정 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 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펀드이다.
코스피 200, 코스피 50, 코스닥 150 등 특정 지수의 수익률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 상장 지수 펀드 (원칙적으로 만기 X)
https://www.tossbank.com/articles/IPO
https://www.shinhansec.com/siw/banking-lending/subscribe/guidePOSS/view.do
https://securities.miraeasset.com/hks/hks4659/n01.do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3044466&memberNo=2966116
https://www.dndn.io/blog/213
https://www.dh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910
https://stockj.tistory.com/91
https://www.truefriend.com/main/customer/tradetransfer/_static/TF04da050000.jsp
https://www.samsungfund.com/etf/insight/guide/view01.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