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STCAMPUS ST-FE 3기
Part 1. HTML/CSS/JS로 만드는 스타벅스 웹사이트 - Ch 3. 무작정 시작하기
Part 1. HTML/CSS/JS로 만드는 스타벅스 웹사이트 - Ch 4. 웹에서 시작하기
마크업 언어에서 문서형식을 정의
웹 브라우저가 어떤 HTML버전의 해석방식으로
페이지를 이해하면 되는지 알려줌.
HTML1~4
XHTML
HTML5 : 표준
<!DOCTYPE html5> 문서의 html버전을 지정
<html> HTML문서의 시작-/끝을 지정하는 범위
<head>
문서의 정보를 나타내는 범위
: 웹브라우저가 해석해야할 웹페이지의 제목, 설명, 사용할 파일 위치, CSS
웹 페이지의 보이지 않는 정보를 작성하는 범위
</head>
<body>
문서의 구조를 나타내는 범위
: 사용자 화면에서 보여지는 구조를 작성하는 범위
</body>
</html>
head 영역 속 meta태그 아래에 위치
루트가 되는 개념의 파일부터 순서대로 연결한다.
css 연결
<link rel="stylesheet" href="./main.css">
js 연결
<script src="./main.js"></script>
<title></title>
html문서의 제목을 정의. 웹 브라우저 탭에 표시.
<link>
외부 문서를 가져와 연결할 떄 사용. [ rel 가져올 문서와의 관계 / href 경로 ]
rel
: 가져올 문서와의 관계 href
: 경로<style></style>
css를 html안에서 작성하는 경우<script></script>
js를 html안에서 작성. 연결src
: 속성으로 외부파일 연결<meta>
html문서의 제작자, 내용, 키워드 등의 정보를 검색엔진이나 브라우저에 제공. name
: 정보의 종류 ex) viewportcontent
: 정보의 값 ex) "width=device-width, ininial-scale..."charset
: 문자인코딩 방식 ex) "UTF-8"상대경로 | 절대경로 |
---|---|
./ (생략가능) : 주변 | http, https : 원격의 사이트주소 |
../ : 상위폴더 | /,// : 최상위 경로, 루트 |
https://codepen.io/
웹에서 바로 결과 출력할 때 사용
브라우저 스타일 초기화
https://www.jsdelivr.com/package/npm/reset-css
reset.css 로 브라우저 기본 스타일을 초기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