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처기 실기 암기(9.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Dev_Oh·2022년 6월 29일
1
post-custom-banner

# 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리 - 9.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Chapter01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설계 (중요도: ★★★)

◆ SW 개발 보안

: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지켜야 할 일련의 보안 활동

  • SW 개발 보안 생명주기(요설구테유):

    요구사항 명세 → 설계 → 구현 → 테스트 → 유지보수

◆ SW 개발 보안 3대 요소(기무가)

  • 기밀성(Confidentiality): 시스템 내의 정보와 자원은 인가된 사용자에게만 접근이 허용
  • 무결성(Integrity): 시스템 내의 정보는 오직 인가된 사용자만 수정할 수 있음
  • 가용성(Availability): 인가받은 사용자는 시스템 내의 정보와 자원을 언제라도 사용할 수 있음

◆ DoS(Denial of Service) 공격

: 시스템을 악의적으로 공격해서 해당 시스템의 자원을 부족하게 하여 원래 의도된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공격

◆ DoS 공격의 종류

  • SYN 플러딩(SYN Flooding): 서버의 동시 가용 사용자수SYN 패킷만 보내 점유하여 다른 사용자가 서버를 사용 불가능하게 하는 공격
  • UDP 플러딩(UDP Flooding): 대량의 UDP 패킷을 만들어 임의의 포트 번호로 전송하여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게 하여 지속해서 자원을 고갈시키는 공격
  • 스퍼프(Smurf)/스머핑(Smurfing): 출발지 주소를 대상의 IP로 설정하여 네트워크 전체에게 ICMP Echo패킷을 직접 브로드캐스팅하여 마비시키는 공격
  • 죽음의 핑(PoD: Ping of Death): ICMP 패킷을 정상적인 크기보다 아주 크게 만들어 전송하여 정상적인 서비스를 못하도록 하는 공격
  • 랜드 어택(Land Attack): 출발지 IP와 목적지 IP를 같은 패킷 주소로 만들어 보내 시스템의 가용성을 침해하는 공격
  • 티어 드롭(Tear Drop): IP패킷의 재조합 과정에서 잘못된 정보로 인해 수신 시스템이 문제를 발생하도록 만드는 공격
  • 봉크(Bonk)/보잉크(Boink): 프로토콜의 오류 제어를 이용한 공격기법

◆ 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 여러 대의 공격자를 분산 배치하여 동시에 동작하게함으로써 특정 사이트를 공격하는 기법

◆ DDos 공격도구

  • Trinoo: 많은 소스로부터 통합된 UDP flood 서비스 거부 공격을 유발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
  • Tribe Flood Network: 많은 소스에서 하나 혹은 여러개의 목표 시스템에 대해 서비스 거부 공격을 수행할 수 있는 도구
  • Stacheldraht: 분산 서비스 거부 에이전트 역할을 하는 Linux 및 Solaris 시스템용 멀웨어 도구

◆ DoS와 DDoS 차이

  • DoS는 직접 공격, DDoS는 공격하도록 지시
  • DoS는 한 사람에 의해 공격을 감행, DDoS는 수많은 감염 호스트를 통해 공격을 감행

◆ DRDoS(Distributed Reflection DoS)

: 공격자는 출발지 IP를 공격대상 IP로 위조하여 다수의 반사 서버로 요청 정보를 전송, 공격 대상자는 반사 서버로부터 다량의 응답을 받아서 서비스 거부(DoS)가 되는 공격

세션 하이재킹(Session Hijacking)

: TCP의 세션 관리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 기법, 케빈 미트닉이 사용

애플리케이션 공격기법

  • HTTP GET 플러딩: 과도한 Get 메시지를 이용하여 웹 서버의 과부하를 유발시키는 공격
  • Slowloris: HTTP GET 메서드를 사용하여 헤더의 최종 끝을 알리는 개행 문자열(\r\n\r\n(Hex : 0d 0a 0d 0a)를 전송하지 않고, \r\n(Hex : 0d 0a) 만 전송)을 전송하지 않고, 대상 웹 서버와 연결상태를 장시간 지속시키고 연결자원을 모두 소진시키는 서비스 거부 공격
  • RUDY: 요청 헤더의 Content-Length를 비정상적으로 크게 설정하여 메시지 바디 부분을 매우 소량으로 보내 계속 연결상태를 유지시키는 공격
  • Slow HTTP Read DoS: 다수 HTTP 패킷을 지속적으로 전송하여 웹서버의 연결상태가 장시간 지속, 연결자원을 소진시키는 서비스 거부 공격
  • Hulk DoS: 공격자가 웹 페이지 주소를 지속적으로 변경하면서 다량으로 GET요청을 발생시키는 서비스 거부 공격
  • Hash DoS: 많은 수의 파라미터를 POST방식으로 웹서버로 전달하여 다수의 해시 충돌을 발생시켜서 자원을 소모시키는 서비스 거부 공격

네트워크 공격

  • 스니핑(Sniffing Attack): 공격대상의 데이터만 몰래 들여다보는 수동적 공격 기법
  • 네트워크 스캐너, 스니퍼: 네트워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의 취약점 파악을 위해 공격자가 취약점을 탐색하는 공격 도구
  • 패스워드 크래킹
    • 사전 크래킹: ID와PW가 될 가능성이 있는 단어를 파일로 만들어 파일의 단어를 대입하여 크랙하는 공격 기법
    • 무차별 크래킹: 무작위로 패스워드 자리에 대입하여 패스워드를 알아내는 공격 기법
    • 패스워드 하이브리드 공격: 사전공격+무차별공격
    • 레인보우 테이블 공격: 크래킹 하고자 하는 해시 값을 테이블에서 검색해서 역으로 패스워드를 찾는 공격 기법
  • IP 스푸핑: 침입자가 인증된 컴퓨팅 시스템인 것처럼 속여인증된 호스트의 IP 주소로 위조하여 타깃에 전송하는 공격 기법
  • ARP 스푸핑: 공격자가 특정 호스트의 MAC 주소를 자신의 MAC 주소로 위조한 ARP Reply를 만들어 희생자에게 지속적으로 전송
  • ICMP Redirect 공격: 스니핑 시스템을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또다른 라우터라고 알림으로써 패킷의 흐름을 바꾸는 공격 기법
  • 트로이 목마: 악성 루틴이 숨어있는 프로그램, 실행하면 악성 코드를 실행

◆ 버퍼 오버플로우(Buffer Overflow) 공격

: 메모리에 할당된 버퍼 크기를 초과하는 양의 데이터를 입력하여 프로세스의 흐름을 변경시켜서 악성 코드를 실행 시키는 공격 기법

◆ 백도어(Backdoor)

: 허가받지 않고 시스템에 접속하는 권리, 정상적인 인증 절차를 우회하는 기법

◆ 보안 관련 용어

  • 스피어 피싱(Spear Phishing): 발송 메일의 본문 링크나 첨부된 파일을 클릭하도록 유도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 탈취하는 공격기법
  • 스미싱(Smishing): SMS(문자)를 이용하여 개인 비밀정보를 요구하거나 휴대폰 소액 결제를 유도하는 피싱 공격
  • 큐싱(Qshing): QR코드를 통해 악성 앱을 내려받도록 유도하여 금융 정보 등을 뺴내는 피싱 공격
  • 봇넷(Botnet): 악성 프로그램이 감염되어 있는 컴퓨터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형태
  • APT 공격(Advanced Persistent Threat, 지능적영구 위협): 다양한 수단을 통한 지속적이고 지능적인 맞춤형 공격 기법
  • 공급망 공격(Supply Chain Atack): SW개발사의 네트워크에 침투하여 악의적 코드를 삽입, 서버 배포하여 사용자가 설치 또는 업데이트시에 자동적으로 감염되도록 하는 공격 기법
  • 제로데이 공격(Zero Day Attack):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어 널리 공표되기 전에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여 이루어지는 보안 공격 기법
  • 웜(Worm): 스스로 복제하여 네트워크 등의 연결을 통하여 전파하는 악성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 악성 봇(Malicious Bot): 해커의 명령에 의해 원격에서 제어 또는 실행이 가능한 프로그램 또는 코드
  • 사이버 킬체인(Cyber Kill Chain): 공격형 방위시스템, APT공격방어 분석 모델
  • 랜섬웨어(Ransomware): 시스템의 파일을 암호화하여 인질처럼 잡고 몸값을 요구하는 악성 소프트웨어
  • 이블 트윈(Evil Twin) 공격: 핫스팟에 연결한 무선 사용자들의 정보를 탈취하는 무선 네트워크 공격 기법

◆ 서버 인증의 기능

: 스니핑 방지(SSL인증서 설치), 피싱 방지, 데이터 변조 방지, 기업 신뢰도 향상(기업 인증)

◆ 인증 기술의 유형(지소생특)

  • 지식기반 인증: 사용자가 기억하고 있는 지식 (ID/PW)
  • 소지기반 인증: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물품 (공인인증서, OTP)
  • 생체기반 인증: 고유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 (홍채, 얼굴, 지문)
  • 특징기반 인증: 사용자의 특징을 활용 (서명, 몸짓, 걸음걸이)

◆ 접근 통제 기법

  • 식별(Identification): 자신이 누구라고 시스템에 밝히는 행위
  • 인증(Authentication): 주체의 신원을 검증하기 위한 활동
  • 인가(Authorization): 인증된 주체에게 접근을 허용하는 활동
  • 책임추적성(Accountability): 주체의 접근을 추적하고 행동을 기록하는 활동

서버 접근 통제 유형

  • 임의적 접근 통제(DAC,Discretionary Access Control): 신분에 근거하여 객체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방법
  • 강제적 접근 통제(MAC,Mandatory Access Control): 주체가 갖는 접근 허가 권한에 근거하여 객체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방법
  • 역할 기반 접근 통제(RBAC,Rold-Based Access Control): 중앙 관리자가 조직 내 맡은 역할에 기초하여 자원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방법

접근 통제 보호 모델(벨기비무)

  • 벨-라파듈라 모델(BLP): 미 국방부지원 보안 모델, 보안 요소 중 기밀성을 가종하며 강제적 정책에 의해 접근 통제하는 모델
    • No Read Up: 보안수준이 낮은 주체는 보안 수준이 높은 객체를 읽어서는 안 됨
    • No Write Down: 보안수준이 높은 주체는 보안 수준이 낮은 객체에 기록하면 안 됨
  • 비바 모델: 무결성을 보장하는 최초 모델
    • No Read Down: 높은 등급의 주체는 낮은 등급의 객체를 읽을 수 없음
    • No Wirte Up: 낮은 등급의 주체는 상위 등급의 객체를 수정 할 수 없음

암호 알고리즘(Encryption Algorithm) - 대비해

: 데이터의 무결성 및 기밀성 확보를 위해 정보를 쉽게 해독할 수 없는 형태로 변환하는 기법

  • 양방향 방식: 대칭 키 암호 방식, 비대칭 키 암호 방식
  • 일방향 해시함수 방식: MDC(Modification Detection), MAC(Massage Authentication 메시지인증)

◆ 대칭 키 암호 방식

: 암호화와 복호화에 같은 암호 키를 쓰는 알고리즘

  • 블록 암호 방식: 고정 길이의 블록을 암호화하여 반복하는 알고리즘(DES, AES, SEED)
  • 스트림 암호 방식: 매우 긴 주기의 난수열을 발생시켜 평문과 더불어 암호문을 생성하는 방식(RC4)

◆ 비대칭 키 암호 방식

: 개인 키를 나눠 가지지 않은 사용자들이 안전하게 통신하는 방식, 공개키는 누구나 알수 있으나 개인키는 키의 소유자만 알고 있어야 한다. (RSA, 디피-헬만)

◆ 일방향 암호 방식(해시 암호 방식) -MM

: 임의 길이의 정보를 입력받아, 고정된 길이의 암호문(해시값)을 출력하는 암호 방식

  • MAC(Message Authentication Code): 키를 사용하는 메시지 인증 코드로 메시지의 무결성과 송신자의 인증 보장
  • MDC(Modification Detection Code): 키를 사용하지 않는 변경 감지 코드로 메시지의 무결성 보장

◆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 -DSAAIL

  • DES: 1972년미국 국립기술 표준원(NIST)필요성느낌 1975년 IBM 개발, 대칭 키 기반
  • SEED: 1999년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개발
  • AES: 2001년 미국 표준기술 연구소(NIST) 개발
  • ARIA: 2004년 국가정보원과 산학연구협회가 개발
  • IDEA: DES 대체, 스위스 연방기술기관 개발
  • LFSR: 선형함수로 계산되는 구조로 되어있는 스트림 암호화 알고리즘

◆ 비대칭 키 암호화 알고리즘 -디REE

  • 디피-헬만: 최초의 공개키 알고리즘
  • RSA: 1977년 MIT 라이베스트 샤미르 애들먼 교수 3명 개발, 큰 수는 소인수분해 하는것이 어렵다는 것에 기반 하여 개발
  • ElGamal: 1984년 ElGamal 개발, 이산대수
  • ECC: 1985년 RSA 대안으로 개발, 타원곡선방정식

◆ 해시 암호화 알고리즘

  • MD5: MD4 개선한 암호화 알고리즘, 파일의 무결성 검사에 사용
  • SHA-1: 1993년 NSA에 미국 정부 표준 지정
  • SHA-256/384/512: 256비트의 해시값을 생성하는 해시함수
  • HAS-160: 국내 표준 서명 알고리즘
  • HAVAL: 메시지를 1024bits 블록으로 나눔

◆ IPSec(Internet Protocol Security)

: 무결성과 인증을 보장하는 인증 헤더와 기밀성을 보장하는 암호화를 이용한 IP 보안 프로토콜

◆ SSL(Secure Socket Layer)/TLS(Transport Layer Security)

: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웹데이터 암호화(기밀성), 상호 인증 및 전송 시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는 보안 프로토콜

◆ S-HTTP(Secure Hypertexrt Transfer Protocol)

: 웹상에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암호화 하는 방법

Chapter02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현 (중요도: ★★★)

◆ 시큐어 코딩 가이드

: 설계 및 구현 단계에서 해킹 등의 공격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잠재적인 보안 취약점을 사전에 제거하고, 외부 공격으로부터 안전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기법

  • 보안 취약점: 운영 단계의 보안 리스크
  • 보안 약점: 개발 단계의 보안 리스크

시큐어 코딩가이드 적용 대상(입보시 에코캡아)

입력데이터 검증 및 표현 / 보안 기능 / 시간 및 상태 / 에러 처리 / 코드 오류 / 캡슐화 / API 오용

◆ 입력 데이터 검증 및 표현

: 입력 데이터(FROM전송데이터)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을 예방하기 위해 구현 단계에서 검증해야 하는 보안 점검 항목

◆ 입력 데이터 검증 및 표현 취약점

  • XSS(Cross Site Script): 검증되지 않은 외부 입력 데이터가 포함된 웹페이지를 사용자가 열람함으로써 웹페이지 포함된 부적절한 스크립트가 실행되는 공격

    • 대책: 특수문자 필터링, HTML태그 사용금지
  • 사이트 간 요청 위조(CSRF: Cross-Site REquest Forgery): 사용자가 자신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공격자가 의도한 행위를 특정 웹사이트에 요청하게 하는 공격

    • 대책: 입력화면 폼 POST방식 사용, 세션별 CSRF토큰 사용
  • SQL 삽입(Injection): 악의적인 SQL구문을 삽입, 실행시켜 데이터베이스의 접근을 통해 정보를 탈취하거나 조작 등의 행위를 하는 공격

    • 대책: 변수 타입 지정, 사용자 입력값 모두 체크하여 필터링

◆ 보안 기능

: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에서 인증, 접근제어, 기밀성, 암호화, 권한 관리 등을 적절하게 구현하기 위한 보안 점검 항목

◆ 세션 통제(시간 및 상태)

: 세션과 관련되어 발생할 수 있는 취약점을 예방하기 위한 보안 점검 항목

  •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 중 요구사항 분석 및 설계 단계에서 진단해야 하는 보안 점검 내용

◆ 에러 처리

: 프로그램 실행시 발생하는 에러를 예외 처리하지 못하거나, 에러에 중요한 정보가 포함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취약점을 예방하기 위한 보안 점검 항목

◆ 코드 오류

: 개발자의 실수로 발생하는 프로그램 오류를 예방하기 위한 보안 점검 항목

◆ 캡슐화

: 외부에 은닉이 필요한 중요한 데이터와 인가되지 않은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게 보안 취약점을 예방을 위한 보안 검증 항목

◆ API 오용

: 보안에 취약한 API를 오용하여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 예방을 위한 보안 검증 항목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

  • 방화벽(Firewall) : 기업 내부, 외부 간 트래픽을 모니터링 하여 시스템의 접근을 허용/차단하는 시스템

  • 웹 방화벽 (WAF: Web Application Firewall):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에 특화된 보안 장비

  • 네트워크 접근 제어(NAC: Network Access Control) : 단말기내부 네트워크에 접속을 시도할 때 이를 제어하고 통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솔루션

  • 침입 탐지 시스템(IDS: Intrusion Detection System) : 네트워크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모니터링하고, 보안정책 위반 행위를 실시간으로 침입 탐지하는 시스템

  • 침입 방지 시스템(IPS: Intrusion Prevention System) : 네트워크에 대한 공격이나 침입을 실시간적으로 차단하고, 유해드래픽에 대해 능동적으로 조치하는 시스템

  • 무선 침입 방지 시스템(WIPS: Wireless Intrusion Prevention System) : 무선 단말기의 접속을 자동 탐지 및 차단하고 보안에 취약한 무선 공유기를 탐지하는 시스템

  • 통합 보안 시스템(UTM: Unified Threat Management) : 다양한 보안 장비의 기능을 하나의 장비로 통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

  • 가상사설망(VPN: Virtual Private Network) : 인터넷과 같은 공중망에 인증, 암호화, 터널링 기술을 활용해 마치 전용망을 사용하는 효과를 가지는 보안 솔루션

◆ 시스템 보안 솔루션

  • 스팸 차단 솔루션(Anti-Spam Solution): 메일 서버 앞단에 위치하여 Proxy 메일 서버로 동작
  • 보안 운영체제(Secure OS): 컴퓨터 운영체제의 커널에 보안기능을 추가한 솔루션

◆ 콘텐츠 유출 방지 솔루션

  • 보안 USB: 정보 유출 방지 등의 보안 기능을 갖춘 USB메모리
  • 데이터 유출 방지(DLP: Data Loss Prevention): 조직 내부의 중요 자료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탐지하고 차단하는 솔루션
  • 디지털 저작권 관리(DMR): 디지털 저작물에 대한 보호와 관리를 위한 솔루션

◆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테스트 유형

  • 정적 분석 : SW를 실행하지 않 보안 약점을 분석, 개발 단계
  • 동적 분석 : SW를 실행환경에서 보안 약점 분석, 시험 단계

◆ 비즈니스 연속성 계획(BCP: Business Continuity Plan)

: 각종 재해, 장애, 재난으로부터 위기관리 기반으로 재해복구, 업무복구 및 재개, 비상계획 등을 통해 비즈니스 연속성을 보장하는 체계

profile
웹개발이 재밌다. 8년차 웹퍼블리싱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