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준비

odada·2025년 3월 17일
0

프로젝트 리더(PL)의 주요 역할 및 책임

1. 프로젝트 전체 관리

  • 프로젝트 일정 계획 및 관리
  • 작업 분배 및 우선순위 설정
  • 위험 요소 파악 및 대응 방안 마련
  • 프로젝트 자원 관리 및 효율적 배분
  • 이슈 관리 및 해결책 수립

2. 요구사항 분석 및 설계

  • 기획자 부재로 인한 요구사항 분석 직접 수행
  • 비즈니스 요구사항 기술 요구사항으로 변환
  •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 및 검토
  • 기술 스택 결정 및 개발 방법론 수립
  • 데이터 모델링 및 API 설계 검토

3. 개발 리더십

  • 코드 품질 관리 및 코드 리뷰 주도
  • 기술적 의사결정 및 문제 해결
  • 팀원 개발 지원 및 기술적 지도
  • 개발 표준 및 가이드라인 수립
  • 기술적 부채 관리 및 리팩토링 계획

4. 이해관계자 소통

  • 클라이언트/이해관계자와의 정기적인 미팅 주도
  • 프로젝트 진행상황 보고 및 이슈 공유
  • 요구사항 변경 관리 및 범위 조정
  • 의사결정권자와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 이해관계자 기대치 관리

5. 품질 보증

  • 테스트 계획 수립 및 실행
  • 품질 기준 설정 및 모니터링
  • 버그 트래킹 및 해결 우선순위 지정
  • 코드 품질 측정 지표 관리
  • 지속적 통합 및 배포(CI/CD) 프로세스 관리

6. UX/UI 가이드라인

  • 디자이너 부재로 인한 기본적인 UI/UX 가이드라인 제공
  •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인터페이스 설계 검토
  • 일관된 디자인 패턴 적용 감독
  • 접근성 및 사용성 평가
  • 사용자 피드백 수집 및 개선사항 도출

7. 문서화

  • 기술 문서 작성 및 관리
  • API 명세서, 개발 가이드라인 등 작성
  • 프로젝트 완료 후 인수인계 문서 준비
  • 시스템 아키텍처 및 설계 문서 관리
  • 주요 의사결정 기록 및 근거 문서화

8. 출시 및 유지보수 계획

  • 배포 전략 수립 및 실행
  • 출시 후 모니터링 계획 수립
  • 유지보수 및 개선 계획 수립
  • 시스템 안정화 활동 주도
  • 성능 모니터링 및 최적화 계획

9. 팀 관리

  • 개발 팀 동기 부여 및 협업 촉진
  • 팀 회의 및 코드 리뷰 세션 주도
  • 팀원 업무 할당 및 진행 상황 모니터링
  • 기술적 멘토링 제공
  • 팀 역량 개발 지원

10. 위기 관리

  • 프로젝트 위험 요소 식별 및 분석
  • 위험 대응 전략 수립
  • 긴급 상황 대응 계획 마련
  • 범위/일정/자원 관련 이슈 조정
  • 예상치 못한 기술적 문제 해결 주도

일정 계획 (4월-12월)

1. 초기 단계 (4월)

  • 1주차: 요구사항 수집 및 분석
    • 현재 시스템 분석 및 개선점 파악
    • 핵심 이해관계자 인터뷰
    • 주요 기능 목록 작성
  • 2주차: 프로젝트 범위 정의 및 계획 수립
    • 우선순위 기능 선정
    • 기술 스택 확정
    • WBS(Work Breakdown Structure) 작성
  • 3-4주차: 시스템 설계
    •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설계
    • API 설계
    • UI/UX 기본 설계 (디자이너 없음으로 간소화된 와이어프레임)

2. 개발 준비 및 초기 개발 (5월-6월)

  • 5월 1-2주차: 개발 환경 구축
    • 개발 서버 설정
    • 버전 관리 시스템 구축
    • CI/CD 파이프라인 설정
  • 5월 3-4주차: 기본 아키텍처 구현
    • 백엔드 기본 구조 구축
    • 프론트엔드 기본 구조 구축
    • 로그인/인증 시스템 개발
  • 6월 1-4주차: 핵심 기능 개발 1차
    • 업무 공유 기본 기능 구현
    • 데이터 모델 구현
    • 주 1회 진행 상황 검토 회의

3. 주요 기능 개발 (7월-8월)

  • 7월 전체: 핵심 기능 개발 2차
    • 업무 공유 고급 기능 구현
    • 알림 시스템 개발
    • 사용자 관리 기능 개발
    • 격주 코드 리뷰
  • 8월 1-2주차: 부가 기능 개발
    • 보고서 생성 기능
    • 검색 및 필터링 기능
    • 데이터 시각화 구현
  • 8월 3-4주차: 알파 버전 완성 및 내부 테스트
    • 기능 통합
    • 내부 테스트 진행
    • 피드백 수집 및 우선순위 지정

4. 테스트 및 개선 (9월-10월)

  • 9월 1-2주차: 알파 버전 피드백 반영
    • 주요 버그 수정
    • 성능 최적화
    • UI/UX 개선
  • 9월 3-4주차: 베타 버전 준비
    • 시스템 통합 테스트
    • 회귀 테스트
    • 보안 테스트
  • 10월 1-2주차: 베타 테스트 진행
    • 제한된 사용자 그룹에 배포
    • 실제 환경에서의 사용성 테스트
    • 성능 모니터링
  • 10월 3-4주차: 베타 테스트 피드백 반영
    • 버그 수정 및 기능 개선
    • 최종 성능 최적화
    • 사용자 매뉴얼 작성

5. 최종 단계 및 출시 (11월-12월)

  • 11월 1-2주차: 최종 QA 및 테스트
    • 최종 시스템 테스트
    • 보안 취약점 점검
    •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테스트
  • 11월 3-4주차: 출시 준비
    • 최종 버그 수정
    • 사용자 교육 자료 준비
    • 배포 계획 수립
  • 12월 1-2주차: 시스템 출시
    • 프로덕션 환경 배포
    • 사용자 교육 세션 진행
    • 초기 모니터링 및 지원
  • 12월 3-4주차: 안정화 및 프로젝트 마무리
    • 시스템 안정화
    • 문서 최종화
    • 프로젝트 회고 및 인수인계

위험 관리 계획

  •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위험 요소 평가 회의
  • 격주 화요일: 팀 프로그레스 미팅 및 이슈 트래킹
  • 주요 마일스톤 전: 컨틴전시 버퍼 (예상치 못한 지연에 대비)

주요 마일스톤

  1. 설계 완료: 4월 말
  2. 알파 버전 완성: 8월 말
  3. 베타 테스트 완료: 10월 말
  4. 최종 출시: 12월 중순

이 일정은 프로젝트 진행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 변경이나 예상치 못한 기술적 문제가 발생할 경우 업데이트가 필요합니다.

작업 분배 및 우선순위 설정 계획

1. 작업 분류 체계

우선순위 레벨

  • P0 - 필수 핵심 기능 (Must Have): 제품의 기본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능
  • P1 - 중요 기능 (Should Have): 주요 가치를 크게 향상시키지만 초기 릴리스에는 필수적이지 않을 수 있는 기능
  • P2 - 부가 기능 (Could Have): 가치를 추가하지만 우선순위가 낮은 기능
  • P3 - 향후 고려 기능 (Won't Have this time): 현재 릴리스에서는 구현하지 않고 향후 버전에서 고려할 기능

난이도 레벨

  • D1 - 낮음: 1-3일 내에 완료 가능
  • D2 - 중간: 1-2주 내에 완료 가능
  • D3 - 높음: 2주 이상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복잡한 작업

2. 팀 역할 분담

PL (프로젝트 리더)

  • 전체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
  • 요구사항 분석 및 기능 명세 작성
  • 기술적 의사결정
  • 작업 조정 및 배분
  • 백엔드 복잡 기능 개발 지원
  • 코드 리뷰 및 품질 관리
  • 프로젝트 진행 상황 보고 및 이해관계자 관리

프론트엔드 개발자 (중급)

  • UI/UX 구현
  •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및 구현
  • 반응형 디자인 적용
  • 프론트엔드 테스트 코드 작성
  • API 연동
  • 사용자 피드백 기반 UI 개선

백엔드 개발자 (중급)

  •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구현
  • API 개발
  • 서버 아키텍처 구현
  • 보안 및 인증 시스템 개발
  • 백엔드 테스트 코드 작성
  • 성능 최적화

3. 단계별 핵심 작업 및 담당자

초기 단계 (4월)

작업우선순위난이도담당자기간
요구사항 분석P0D2PL1주차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P0D2PL2주차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설계P0D2백엔드 개발자 (PL 지원)3주차
API 설계P0D2백엔드 개발자 (PL 검토)3-4주차
UI/UX 기본 설계P0D2프론트엔드 개발자 (PL 검토)3-4주차

개발 준비 및 초기 개발 (5월-6월)

작업우선순위난이도담당자기간
개발 환경 구축P0D1PL, 백엔드 개발자5월 1주차
백엔드 기본 구조 구축P0D2백엔드 개발자5월 2-3주차
프론트엔드 기본 구조 구축P0D2프론트엔드 개발자5월 2-3주차
인증/권한 시스템 개발P0D2백엔드 개발자5월 4주차-6월 1주차
기본 UI 컴포넌트 개발P0D2프론트엔드 개발자6월 1-2주차
업무 공유 기본 API 개발P0D2백엔드 개발자6월 2-3주차
업무 공유 기본 UI 개발P0D2프론트엔드 개발자6월 3-4주차

주요 기능 개발 (7월-8월)

작업우선순위난이도담당자기간
사용자 관리 기능P0D2백엔드 개발자7월 1-2주차
사용자 프로필 UIP0D1프론트엔드 개발자7월 1주차
알림 시스템 백엔드P1D2백엔드 개발자7월 3-4주차
알림 UI 구현P1D2프론트엔드 개발자7월 2-3주차
고급 업무 공유 기능 APIP1D3백엔드 개발자8월 1-2주차
고급 업무 공유 UIP1D2프론트엔드 개발자8월 1-2주차
검색 및 필터링 기능P1D2백엔드 개발자, 프론트엔드 개발자8월 3주차
데이터 시각화 구현P2D2프론트엔드 개발자8월 4주차

테스트 및 개선 (9월-10월)

작업우선순위난이도담당자기간
내부 테스트 및 버그 수정P0D2전체 팀9월 1-2주차
성능 최적화P1D2백엔드 개발자, PL9월 3주차
UI/UX 개선P1D2프론트엔드 개발자9월 3주차
통합 테스트P0D2전체 팀9월 4주차
베타 테스트 진행P0D2PL 주도, 전체 팀10월 1-2주차
피드백 기반 개선P0D2전체 팀10월 3-4주차

출시 준비 및 마무리 (11월-12월)

작업우선순위난이도담당자기간
최종 테스트P0D2전체 팀11월 1-2주차
사용자 문서 작성P1D1PL11월 3주차
배포 준비P0D2백엔드 개발자, PL11월 4주차
시스템 출시P0D1전체 팀12월 1주차
초기 모니터링 및 지원P0D2전체 팀12월 2주차
시스템 안정화P0D2전체 팀12월 3주차
프로젝트 문서화 및 마무리P1D1PL12월 4주차

4. 작업 우선순위 결정 기준

우선순위 결정 요소

  1. 비즈니스 가치: 해당 기능이 제공하는, 비즈니스 목표 달성에 얼마나 기여하는지
  2. 기술적 의존성: 다른 작업의 선행 조건이 되는 작업 우선
  3. 위험 요소: 높은 위험이 있는 작업은 초기에 배치
  4. 사용자 영향: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이 큰 작업 우선
  5. 개발 복잡성: 복잡한 작업은 충분한 시간 확보를 위해 일찍 시작

우선순위 재조정 프로세스

  • 격주 팀 회의에서 작업 진행 상황 검토
  • 새로운 요구사항이나 변경사항 발생 시 우선순위 재평가
  • 리스크 발생 시 관련 작업 우선순위 상향 조정
  • 이해관계자 피드백 반영

5. 작업 관리 도구 및 방법론

도구

  • 이슈 트래킹: JIRA
  • 코드 관리: Git (GitLab/GitHub)
  • 문서화: Confluence/Notion
  • 커뮤니케이션: Slack, 주간 회의

방법론

  • 애자일 스크럼 기반 개발 프로세스
  • 2주 단위 스프린트 계획
  • 일일 스탠드업 미팅 (15분)
  • 스프린트 회고 및 계획 미팅 (격주)
  • 칸반 보드를 통한 작업 시각화

6. 팀 협업 및 소통 계획

정기 미팅

  • 일일 스탠드업: 매일 오전 10시 (15분)
  • 스프린트 계획: 격주 월요일 (1시간)
  • 스프린트 회고: 격주 금요일 (1시간)
  • 코드 리뷰: 주 1회 (1시간)
  • 기술 세션: 월 1회 (2시간) - 지식 공유 및 기술 논의

비상 대응 계획

  • 긴급 이슈 발생 시 대응 절차
  • 기술적 부채 관리 방안
  • 일정 지연 시 대응 전략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기초 및 PL의 역할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의 기본 개념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란?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구성 요소를 정의하는 청사진입니다. 이는 테이블, 필드, 관계, 제약 조건 등을 포함합니다.

주요 구성 요소

1) 테이블 (Tables)

  • 정의: 데이터를 행(row)과 열(column)의 형태로, 특정 주제나 엔티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객체
  • 예시: Users, Projects, Tasks

2) 필드/컬럼 (Fields/Columns)

  • 정의: 테이블 내의 각 열로, 특정 데이터 속성을 나타냄
  • 예시: user_id, username, email, created_at

3) 데이터 타입 (Data Types)

  • 정의: 각 필드에 저장될 데이터의 종류를 지정
  • 일반적인 타입:
    • 문자열: VARCHAR, TEXT
    • 숫자: INTEGER, DECIMAL
    • 날짜/시간: DATE, TIMESTAMP
    • 불리언: BOOLEAN
    • 기타: BLOB, JSON 등

4) 키 (Keys)

  • 기본 키(Primary Key): 각 레코드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필드
  • 외래 키(Foreign Key): 다른 테이블의 레코드를 참조하는 필드
  • 복합 키(Composite Key): 두 개 이상의 필드로 구성된 키

5) 관계 (Relationships)

  • 일대일(One-to-One): 한 테이블의 레코드가 다른 테이블의 레코드 하나와 연결
  • 일대다(One-to-Many): 한 테이블의 레코드가 다른 테이블의 여러 레코드와 연결
  • 다대다(Many-to-Many): 양쪽 테이블의 레코드들이 서로 여러 개씩 연결

6) 제약 조건 (Constraints)

  • NOT NULL: 필드에 NULL 값을 허용하지 않음
  • UNIQUE: 필드 값이 테이블 내에서 유일해야 함
  • DEFAULT: 값이 지정되지 않을 때 사용할 기본값
  • CHECK: 필드 값이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 함

2. ERD(Entity-Relationship Diagram)

ERD란?

ERD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다이어그램으로, 엔티티(테이블), 속성(필드), 그리고 엔티티 간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ERD 기본 기호

  • 직사각형: 엔티티(테이블)
  • 타원: 속성(필드)
  • 마름모: 관계
  • : 엔티티 간 연결

ERD 읽는 법

  • 각 엔티티(테이블)가 무엇을 나타내는지 파악
  • 엔티티 간의 관계 유형 확인 (1:1, 1:N, N:M)
  • 각 엔티티의 주요 속성(필드) 확인

3. 데이터베이스 설계 원칙

정규화 (Normalization)

  • 정의: 데이터 중복을 최소화하고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과정
  • 목적: 데이터 중복 제거, 삽입/수정/삭제 이상 현상 방지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규형:
    • 제1정규형(1NF): 각 필드는 원자값(더 이상 분해할 수 없는 값)만 포함
    • 제2정규형(2NF): 1NF를 만족하며, 모든 비키 속성이 기본 키에 완전 함수적 종속
    • 제3정규형(3NF): 2NF를 만족하며, 이행적 종속성이 없음

성능 고려 사항

  • 적절한 인덱스 설정
  • 쿼리 최적화를 위한 테이블 설계
  • 대량 데이터 처리를 위한 전략

4. SmartWE 프로젝트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고려 사항

업무 공유 시스템의 핵심 엔티티

  1. 사용자(Users): 시스템 사용자 정보
  2. 부서/팀(Departments/Teams): 조직 구조
  3. 업무(Tasks/Work): 공유할 업무 항목
  4. 공유 설정(Sharing Settings): 업무 공유 대상 및 권한
  5. 알림(Notifications): 업무 공유 관련 알림
  6. 첨부 파일(Attachments): 업무에 첨부된 자료
  7. 댓글/피드백(Comments/Feedback): 업무에 대한 의견
  8. 활동 로그(Activity Logs): 시스템 내 활동 기록

잠재적 관계

  • 사용자와 부서: 다대일 (사용자는 하나의 부서에 속함)
  • 사용자와 업무: 다대다 (사용자는 여러 업무에 관여, 업무는 여러 사용자가 관여)
  • 업무와 첨부파일: 일대다 (하나의 업무에 여러 첨부파일)
  • 업무와 댓글: 일대다 (하나의 업무에 여러 댓글)

5. PL로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설계 지원 방법

1. 요구사항 분석 및 제공

  • 비즈니스 요구사항 정의:

    • 시스템이 저장해야 할 데이터 항목 명확화
    • 사용자 스토리 및 사용 사례 정리
    • 필수 기능 및 선택 기능 구분
  • 데이터 관계 명세:

    • "사용자는 여러 업무를 생성할 수 있다"
    • "하나의 업무는 여러 명에게 공유될 수 있다"
    • "업무는 상태(대기, 진행, 완료 등)를 가진다"

2. 시스템 구조 이해를 위한 질문 목록

  • 업무 데이터는 어떤 수명 주기를 가지는가?
  • 사용자 권한 수준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 삭제된 데이터는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실제 삭제 vs 논리적 삭제)
  • 향후 확장 가능성이 있는 부분은 무엇인가?
  • 데이터 접근 패턴은 어떠한가? (자주 조회되는 데이터, 드물게 갱신되는 데이터 등)

3. ERD 검토를 위한 체크리스트

  • 모든 필수 엔티티가 포함되어 있는가?
  • 엔티티 간 관계가 비즈니스 로직을 올바르게 반영하는가?
  • 각 엔티티의 속성이 충분히 정의되어 있는가?
  • 기본 키와 외래 키가 적절히 설정되어 있는가?
  • 데이터 무결성을 위한 제약 조건이 설정되어 있는가?

4. 백엔드 개발자와의 협업 방식

  • 일정 수립: 스키마 초안 작성 → 검토 → 수정의 사이클 계획
  • 정기적 리뷰 미팅 설정
  • 시각화 도구 활용 권장 (ERD 도구 등)
  • 문서화 프로세스 합의

5. 추천 학습 자료

6. PL로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설계 단계에서 수행할 구체적 작업

1주차: 준비 및 요구사항 분석

  • 시스템 핵심 기능 및 데이터 항목 정리
  • 유사 시스템 사례 조사
  • 백엔드 개발자와의 초기 미팅 진행
  • ERD 기초 개념 학습

2주차: 초기 설계 참여

  • 엔티티 및 관계 브레인스토밍 세션 주도
  • 백엔드 개발자의 초기 스키마 제안 검토
  • 비즈니스 관점에서 누락된 데이터 항목 확인
  • 초기 ERD 검토 및 피드백 제공

3주차: 설계 검증 및 확정

  • 업데이트된 ERD 검토
  • 정의된 테이블 및 관계가 모든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확인
  • 향후 확장성에 대한 논의
  • 스키마 최종 승인 및 문서화

학습 계획

  • 1주차: 데이터베이스 및 ERD 기본 개념 이해
  • 2주차: 정규화 원칙 및 데이터 무결성 개념 학습
  • 3주차: 데이터베이스 성능 및 최적화 기본 이해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