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배너
아래 부분에서 변경 -> 대략 800x400 정도가 적당
레이아웃의 구조 변경하기
배경 이미지를 넣기 위해선 우선 배경 이미지를 만들어야 함
가이드 라인 영역 잡기 ( 포토샵 사용 )




--> 배너에서 로고 부분의 높이 픽셀을 확인하여 여기를 설정해주면 됨
--> 혹은 투명 위젯이 너무 아래로 내려가 있다면 여기서 조정하면 됨



이미지 경로 주소:
포토샵에서 메뉴 크기에 맞게 투명 이미지를 구성해서 내보냄
그걸 비공개로 블로그 포스터에 올림
올린 이미지의 속성을 확인 -> 서버에 올라간 이미지의 절대주소를 따서 이미지 경로주소라고 함
(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검은색으로 먼저 확인해볼 수 도 있음 )
투명 위젯에 html 문법 삽입
<img src= "이미지 경로주소 " />
링크 알아내기
링크를 거는 방법은 2가지
내부 링크 -> 자신의 블로그 자체 내에서 페이지 이동 ( 이미지맵 이용 )
--> 즉, 브라우저에서 새 페이지를 만들어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페이지 내에서 이동하는 것
외부 링크 -> 타 사이트에 새창 열기
외부링크걸기
--> <a> 를 사용하여 링크 설정
<a href = " 해당 이미지 클릭시 이동할 링크 주소 ">
<img src ="이미지 경로주소"/>
</a>
내부 링크 걸기
--> <map> 를 사용하여 링크 설정
<img src="이미지 경로주소" width="가로" height="세로" usemap="#mm1" border="0"/>
<map name="mm1">
<area shape="rect" coords="좌표" href="링크 주소" target="_top"/>
</map>
<img> 태그의 가로 세로 사이즈는 "투명 위젯"의 가로세로 사이즈를 넣어주면 됨
<img> 태그에 usemap 속성을 통해 <map> 태그를 참조하여 설정
아래에 <map> 태그 생성 ( 직사각형 모양, 좌표, 클릭시 이동할 링크 주소, 내부링크로 하겠다는 설정 )
--> 각 투명 위젯의 <map> 태그의 이름은 각각 다르게 할 것 !
( 첫번째 투명위젯의 map은 mm1, 두번째 투명위젯의 map은 mm2 이런식 )
내부 링크 예시 )
<img src="이미지 경로주소" width="170px" height="50px" usemap="#mm1" border="0"/>
<map name="mm1">
<area shape="rect" coords="0,0,170,50" href="링크 주소" target="_top"/>
</map>
<map> 태그에 들어가는 coords에 대한 설명

--> 위의 투명 위젯 만드는 방식으로 공간 띄우면 됨
--> 단 위젯의 위치 조각을 크게 만들수는 없으므로
위에서 링크용 투명 위젯을 5개 만들었다면 공간 띄우기용 투명 위젯도 5개 만들어줘야 함
예시_)
mm1, mm2, mm3, mm4, mm5 가 링크용 위젯이므로 아래에 공간을 띄워주기 위해
br1, br2, br3, br4, br5 의 5개의 공간 띄우기용 위젯을 만들어줬음

두가지 방법이 있음
<br> 태그 반복을 통해 구현 ( 약간 야매 )
테이블 소스를 통해 구현 ( 정식 방식 )
<br> 태그 반복을 통해 공간 띄우기용 투명 위젯 만드는 법

테이블 소스를 통해 공간 띄우기용 투명 위젯 만드는 법
<table width="공간 띄우기용 투명 위젯 너비">
<tbody>
<tr>
<td height="공간 띄우기용 투명 위젯 높이"></td>
</tr>
</tbody>
</table>
<table width="170px">
<tbody>
<tr>
<td height="500px"></td>
</tr>
</tbody>
</t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