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 a_list = [1,"haha",3,4,'you',6,7]
let a_list(a_list라는 이름의 변수 선언) = [1,"haha",3,4,'you',6,7](해당 변수에 List할당)
--> 문자 숫자 구분하지 않고 한 배열(List)로 묶을 수 있음
ex) console.log(a_list[1]) --> haha 출력 (리스트는 0부터 카운트 시작)
a_list.push('sparta')
--> a_list의 마지막에 sparta 추가
ex) console.log(a_list) --> (8) [1,"haha",3,4,"you",6,7,"sparta"] --> 맨 뒤에 추가됨 (앞의 (8)은 해당 List의 값이 8개라는 뜻)
a_list.length
list에 있는 값의 개수
ex) console.log(a_list.length) --> 8 출력 ->8개의 값이 있다는 뜻
(모든 함수를 암기할 필요 X, 오타의 발생가능성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직접 타이핑하기보다 이런 식으로 찾아서 하는 것이 바람직함)
let a_dict = {"name":"Hyeon","age":30}
a_dict ---> "name","age"와 같은 키가 들어있는 딕셔너리
{"name"(Key):"Hyeon"(해당 키에 물려있는 Value)}
{"age"(key):30(해당 키에 물려있는 Value)}
ex) console.log(a_dict["age"(키를 사용하여 값을 찾음)]) ---> 30(해당 키에 물려있는 값) 출력
console.log(a_dict["name"]) ---> Hyeon출력
a_dict["height"] = 200 ------> {"height"(key):200(value)}의 형태로 a_dict에 추가됨
----> a_dict["height"] ---> a_dict에 height라는 이름의 key 추가
----> = 200 ---> a_dict에 추가된 height라는 키에 200이라는 값 할당
let names = [{"name":"Hyeon","age":30},{"name":"Yoo","age":27}]
리스트에 두개의 딕셔너리가 들어간 형태
ex) console.log(names) --->
0: {"name":"Hyeon","age":30} --> 0번째 리스트의 값인 딕셔너리
1: {"name":"Yoo","age":27} --> 1번째 리스트의 값인 딕셔너리
length : 2 --> 리스트의 크기
--> 리스트와 딕셔너리를 복합적으로 이용하며 많은 데이터를 한번에 관리할 수 있음
--> ex)names리스트에서 1번째에 해당하는 사람의 나이(age)를 찾고 싶다면
--> names[1]["age"] ---> 27
names[1](names리스트의 1번째 데이터(딕셔너리))["age"](해당 데이터(딕셔너리)에서 불러오고 싶은 키값)
--> names 리스트의 1번째 데이터의 불러온 키에 할당된 값이 나오게 됨
이와 같은 리스트와 딕셔너리의 복합구조를 JSON구조하고 함
--> 3개의 딕셔너리가 리스트에 들어있는 구조
[{
MSRDT: "202110041300",
MSRRGN_NM: "도심권",
MSRSTE_NM: "중구",
PM10: 43,
PM25: 18,
O3: 0.025,
NO2: 0.025,
CO: 0.4,
SO2: 0.004,
IDEX_NM: "보통",
IDEX_MVL: 64,
ARPLT_MAIN: "PM10"
},
{
MSRDT: "202110041300",
MSRRGN_NM: "도심권",
MSRSTE_NM: "종로구",
PM10: 43,
PM25: 21,
O3: 0.03,
NO2: 0.019,
CO: 0.4,
SO2: 0.004,
IDEX_NM: "보통",
IDEX_MVL: 63,
ARPLT_MAIN: "PM25"
},
{
MSRDT: "202110041300",
MSRRGN_NM: "도심권",
MSRSTE_NM: "용산구",
PM10: 47,
PM25: 20,
O3: 0.025,
NO2: 0.023,
CO: 0.3,
SO2: 0.003,
IDEX_NM: "보통",
IDEX_MVL: 63,
ARPLT_MAIN: "PM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