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에서 Deadlock(교착 상태)이란, 시스템 자원에 대한 요구가 뒤엉킨 상태입니다.
즉, 둘 이상의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가 점유하고 있는 자원을 서로 기다릴 때 무한 대기에 빠지는 상황을 일컫습니다.
데드락이 발생하기 위한 조건은 크게 4가지로 말할 수 있으며,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는다면 교착상태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Deadlock의 해결방법을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Deadlock의 발생조건 4가지 중 하나라도 발생하지 않게 하는 것이 Deadlock을 예방하는 방법입니다. 즉, 각각의 조건을 방지하여 Deadlock 발생 가능성을 차단합니다.
자원의 상호 배제 조건 방지: 한번에 여러 프로세스가 공유 자원을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 그러나 추후에 동기화 관련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점유 대기 조건 방지: 프로세스 실행에 필요한 모든 자원을 한꺼번에 요구하고 허용할 때까지 작업을 보류해서, 나중에 또다른 자원을 점유하기 위한 대기 조건을 성립하지 않도록 합니다.
- 자원 활용율 저하, 기아현상 초래
비선점 조건 방지: 이미 다른 프로세스에게 할당된 자원이 선점권이 없다고 가정할 때, 높은 우선순위의 프로세스가 해당 자원을 선점할 수 있도록 합니다.
- 보통은 원칙적으로 불가능하다. 출력중인 프린터를 중간에 강탈해가는 상상을 해보자
순환 대기 조건 방지: 자원을 순환 형태로 대기하지 않도록 일정한 한 쪽 방향으로만 자원을 요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러한 조건을 방지해서 Deadlock을 예방하는 방법은 시스템의 처리량이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음에 살펴볼 Deadlock 회피법은 예방법보다 조금 덜 제한적인 방법으로 예방법의 단점을 일부 해결할 수 있습니다.
Deadlock 회피법에서는 Safe sequence,safe state 등이 키워드입니다.
시스템의 프로세스들이 요청하는 모든 자원을, Deadlock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차레로 모두에게 할당해 줄 수 있다면 안정 상태(safe state)에 있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이처럼 특정한 순서로 프로세스들에게 자원을 할당, 실행 및 종료 등의 작업을 할 때 Deadlock이 발생하지 않는 순서를 찾을 수 있다면, 그것을 안전 순서(safe sequence)라고 부릅니다.
반면 불안정 상태는 안정 상태가 아닌 상황을 일컫습니다. 즉, Deadlock 발생 가능성이 있는 상황이며, 교착 상태(Deadlock)는 불안정 상태일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불안정 상태가 교착 상태보다 좀 더 큰 집합입니다.
이처럼 회피 알고리즘은 자원을 할당한 후에도 시스템이 항상 Safe state에 있을 수 있도록 할당을 허용하자는 것이 기본 특징입니다.
이러한 특징을 살린 알고리즘으로 유명한 것이 은행원 알고리즘
입니다.
다익스트라가 제안한 기법으로, 어떤 자원의 할당을 허용하는지에 관한 여부를 결정하기 전에, 미리 결정된 모든 자원들의 최대 가능한 할당량을 가지고 시물레이션해서 Safe state에 들 수 있는지 여부를 검사합니다. 즉, 대기중인 다른 프로세스들의 활동에 대한 교착 상태 가능성을 미리 조사하는 것입니다.
어떤 자원 한 가지에 대해서 은행원 알고리즘을 시물레이션 해보고자 합니다.
처음에 시스템이 총 12개의 자원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t=t0) | Max | Allocation | Need | Available |
---|---|---|---|---|
P0 | 10 | 5 | 5 | |
P1 | 4 | 2 | 2 | |
P2 | 9 | 2 | 7 |
P0 ~ P2는 프로세스이고, Max
는 각 프로세스마다 최대 자원 요청량, Allocation
은 현재 프로세스에 할당 중인 자원의 양, Need
는 남은 필요한 자원의 양(Max-Allocation) 입니다.
현재 t0일 때, 프로세스에 할당된 자원의 합은 5+2+2=9개 입니다. 따라서 현재 Available 자원은 12-9 = 3개 입니다.
여기서 Safe sequence를 찾아보려고 합니다. 순서가 <P1, P0, P2>
일 때 안전 순서를 만족합니다.
P1
은 2개가 이미 할당되어 있고, 2개를 추가적으로 할당받기를(Need) 기다리고 있습니다. 현재 Available 자원은 3개이므로, 이 중에 2개를 P1에게 할당해 줍니다. => 현재 Available은 3 - 2 = 1개
실행이 끝난 P1은 자신에게 할당되어 있던 자원 4개를 모두 반납합니다. => 현재 Available은 1 + 4 = 5개
현재 Available 자원이 5개이고, 이를 P0에게 모두 할당해 주면 P0도 실행 가능해집니다. => 현재 Available은 5 - 5 = 0개 가 됩니다.
실행이 끝난 P0은 자신에게 할당되어 있던 자원 10개를 모두 반납합니다. => 현재 Available은 0 + 10 = 10개
마지막으로 P2에게 자원 7개를 할당해 줍니다. => 현재 Available은 10 - 7 = 3개
실행이 끝난 P2는 자신에게 할당되어 있던 자원 9개를 모두 반납합니다. => 현재 Available은 3 + 9 = 12개
이렇게 자원의 부족함 없이 올바르게 할당하여 모든 프로세스가 실행을 할 수 있었습니다.
만약 여기에서 P2 프로세스가 처음에 자원을 하나 더 할당받고 있었다면(즉, 2개가 아니라 3개) 운영체제가 가지고 있는 Available 자원은 12 - (5+2+3) = 2개 였을 것입니다.
이 상황에서는 처음에 P1에게 2개를 모두 주고, P1이 실행이 끝나고 자원을 모두 반납해도 Available 자원은 2 + 2 = 4개 뿐이므로, 이 자원으로는 나머지 P0이나 P2 프로세스를 해결해 줄 수 없습니다. (모두 4개보다 많은 양의 자원을 필요로 하고 있으므로)
따라서 P0, P2는 자원을 할당받기를 계속 기다려야 할 것입니다.
운영체제가 사전에 P2 프로세스가 자원을 하나 더 요청했을 때 할당해 주지 않고, P1이 먼저 끝나게 한다면 데드락이 발생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은행원 알고리즘을 사용해서 자원 할당량을 사전에 파악하고 데드락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면 될 것입니다.
그러나 은행원 알고리즘의 경우, 이처럼 미리 최대 자원 요구량을 알아야 하고, 할당할 수 있는 자원 수가 일정해야 하는 등 사용에 있어 제약조건이 많고, 그에 따른 자원 이용도 하락 등 단점도 존재합니다.
먼저 시스템이 Deadlock 예방이나 회피법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 Deadlock 발생할 수 있으니 여기에서 회복하기 위해 Deadlock을 탐지하고, 회복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순환 대기
에서 벗어나 Deadlock으로부터 회복하기 위한 방법을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