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 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 '값이 여러 번 달라질 수 있는 데이터'를 가리킨다.
반면에 값을 한번 지정하면 바뀌지 않는 데이터를 '상수'라고 한다.
ex) 나이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만든다.
나이 = 올해 연도 - 태어난 연도 + 1
위의 값에서 나이, 올해 연도, 태어난 연도는 달라지는 '변수'이고 1은 변하지 않는 '상수'이다.
변수 선언
<script>
var Birth_Year = 2022; // 변수 Birth_Year를 선언하고 2022라는 값을 할당한다.
var Birth_Date // 변수 Birth_Date를 선언한다.
</script>
컴퓨터는 숫자 10과 문자 '10'을 구별하지 못한다. 그래서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도록 자료의 형태를 정해줘야한다. 이때, 자료의 형태를 자료형 이라고 한다.
자료형
- 숫자형 : 따옴표 없이 숫자로만 표기한다
ex) var Birth_Year = 2022;- 문자열 : 작은따옴표나 큰따옴표로 묶어서 나타낸다. 숫자를 따옴표로 묶으면 숫자도 문자로 인식한다.
ex) var Greet = "안녕하세요";- 논리형 : 참(true)와 거짓(false) 이 2가지로만 표현하는 유형이다.
ex) var True_False = true;- 배열 : 하나의 변수에 여러 개의 값을 지정한다.
ex) var Seasons = ['봄', '여름', '가을', '겨울'];- 객체 : 함수와 속성을 함께 포함한다.
ex) var Date = new Date();- undefined : 자료형이 지정되지 않았을 경우이다. 변수만 선언하고 값을 지정하지 않았을 경우 변수는 undefined이 된다.
ex) var Deny- null : 값이 유효하지 않을 경우이다.
자바스크립트에서 숫자형 은 정수와 실수로 나누어 구분한다. 정수는 소수점이 없는 숫자를 가르키며, 실수는 소수점이 있는 숫자를 가리킨다.
문자열 은 작은따옴표('')나 큰따옴표("")로 묶은 데이터를 의미한다. 그래서 숫자도 따옴표로 묶으면 문자열로 인식한다.
큰따옴표로 묶은 문자열 안에 또 다른 문자열을 넣는다면 작은따옴표를 이용하여 중복되지않게 넣는다.
ex)
<script>
document.write("<span style='color:blue'>" + "Do it" + "</span>"
</script>
논리형 은 불린(boolean) 유형이라고도 하며, 참(true)나 거짓(false)의 값을 표현하는 자료형이다. 어떤 조건을 확인하여 그 조건이 맞으면 true, 맞지 않다면 false의 결괏값을 나타낸다.
그 전의 자료형들은 변수 하나에 값도 하나만 저장이 가능하지만, 배열 은 하나의 변수에 값을 여러 개 저장할 수 있다. 배열은 []를 사용하여 값을 할당한다.
ex)
<script>
var spring = "봄";
var summer = "여름";
var fall = "가을";
var winter = "겨울";
</script>
=
<script>
var season = ["봄", "여름", "가을", "겨울"]
</script>
배열은 0부터 값이 들어가기에 위의 season 배열은 0에 '봄' 1에 '여름' 2에 '가을' 3에 '겨울'이 들어가있으며 해당하는 값을 꺼내기 위해서는 season[0]과 같이 원하는 숫자를 넣으면 값이 출력된다.
ex) season[2] = "가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