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포 중 ec2의 용량이 모자라서 계속 빌드가 안 됐다..
그래서 가상메모리를 이용해 메모리 용량을 늘려주기로 했다.
우선 내 ec2는 우분투 운영체제기 때문에 dd명령어를 통해 메모리를 늘려줄 수 있었다.
sudo dd if=/dev/zero of=/swapfile bs=128M count=16
를 통해 swap 메모리를 할당했다.
그 후
sudo chmod 600 /swapfile
를 통해 권한을 설정해줌
그 후
sudo mkswap /swapfile
을 통해 /swapfile을 스왑파일로 설정한다.
운영체제에서 메모리가 모자라면 모든 데이터를 메모리에 올릴 수가 없다. 그래서 안 쓰는 얘들은 스왑파일에다가 놓고 필요할 때 메모릴에 올려서 쓴다. 이를 페이징,스와핑이라고 한다.
그 후
sudo swapon /swapfile
를 통해 /swapfile을 활성화시켜준다.
sudo swapon -s
을 통해 활성화가 성공했는지 확인한다.
아래같이 뜨면 성공이다.
Filename Type Size Used Priority
/swapfile file 2097148 0 -2
그 후
sudo vi /etc/fstab
을 통해 fstab를 연다.
파일 시스템 테이블을 의미한다.
그 후
파일의 맨 밑줄에
/swapfile swap swap defaults 0 0
을 추가한다.
이렇게 스왑 파일을 추가해서 가상메모리를 이용해 램의 용량을 추가(정확히 말하면 추가된 효과를 내는 것)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