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ember와 Team은 자바 객체이고 MEMBER와 TEAM은 각 자바 객체를 보고 만든 DB의 Table이다.em.clear()는 영속성 컨텍스트를 비워준다.참고: https://velog.io/@chosj1526/JPA-commit%EA%B3%BC-flu
참고: https://velog.io/@hwan2da/JPA-Columnuniquetrue-UniqueConstraints
one-to-one 관계면(Member와 Locker라고 하자)하나의 라커가 두 멤버에 배정되거나 두 벰버가 같은 하나의 라커에 배정되거나 하면 안 된다. 이를 위한 unique제약조건이 필요한데 그게@OneToOne(unique = true)다참고:https:

값 타입의 경우 인스턴스가 달라도 그 안에 있는 필드의 모든 값들이 같으면 같은 걸로 처리해줘야하기 때문에 값 타입 정의시 equals()와 hashcode()를 재정의해야한다.이 때 마음대로 재정의하지 말고 아래와 같이 하자.1.값 타입 클래스에 가서 command+
build.gradle에implementation("com.github.gavlyukovskiy:p6spy-spring-boot-starter:${version}")한 줄만 추가해주면 됨.(${version}은 https://github.com/gavlyuko
JPA(JAVA persistence API)는 자바진영에서 ORM(Object Relational Mapping)기술 표준으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의 모음이다. 다시 말해, 데이터베이스와 자바객체를 매핑해주는 API다. JPA를 구현한 대표적인 오픈소스로는 hibern
둘 다 데이터베이스와 자바객체를 연결하는 것 같은데 뭔 차이냐? JPA는 SQL을 직접 안 쓰지 않는 객체지향적인 API다. 참고: https://velog.io/@leesomyoung/SpringBoot-JDBC-vs-J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