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자열이 주어지고, 이를 거꾸로 뒤집은 문자열을 return하려고 한다. 이때의 알고리즘은 문자열을 배열로 바꾸고, 배열을 뒤집은 후 다시 문자열로 바꾸는 것이다. (찾아보니 문자열을 직접 뒤집을 수 있는 method가 없다고 한다!) 문자열을 배열로 바꿀 때

프로그래머스 입문 문제! 배열의 유사도!두 배열이 얼마나 유사한지 확인하는 문제로 두 배열을 비교해 같은 원소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하는 문제다.자연스레 이제는 반복문을 생각하게 된다!!내가 푼 방법은 for문을 활용해 s1 배열의 길이, s2 배열의 길이만큼

프로그래머스 120909번제곱수 판별하기 문제다.처음에는 for문을 사용해 1000까지 다 반복해서 i의 제곱수이면 1을 return하고 아니라면 2를 return하게 할까? 고민했다. 하지만 메소드가 있을 것 같아 찾아보니 역시 있었다.💡 Math.sqrt(): 루

프로그래머스 120836번나는 언제쯤 .. 입문을 벗어날 수 있을까 .. (사실 입문도 어려워한다는 사실 ,,,)이게 무슨 문제일까.. 생각하지만 사실상 자연수 n의 약수를 구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쉽다!!! (아마도)내가 생각한 순서는 다음과 같다자연수 n이 주어질

프로그래머스 문제를 풀려고 들어갔는데 처음부터 무엇인가 많이 적혀있는 것이 아닌가? 그래서 내가 예전에 풀었던 문제인가..? 싶어서 나갔다 들어오기까지 했다.. 알고보니 readline 이라는 것이었다.readline이 무엇인가?공식 문서를 보면 The node:rea

알고리즘 공부를 하다 알게 된 생소한 아이가 있다그것은 바로 array.from !! (array는 배우면 배울수록 뭐가 너무 많다 .. 그래서 더 재밌는거일지도? ㅎㅎㅎ)아무튼!! 이 아이가 무엇인가.. mdn에 따르면 순회 가능(iterator) 또는 유사 배열 객

간단한 문제를 풀다가 slice를 무심코 썼는데오잇 그러고 보니 slice도 있고 splice도 있잖아!!정확한 차이가 뭐였지..가물가물해져서 정리해보고자 한다!우선 slice()와 splice()는 배열에서 요소를 추출하거나 배열을 변경하는 데 사용된다.배열의 일부분

프로그래머스에서 문제를 풀다보면 readline 에 대한 코드가 주어질 때가 있다. like this...이게 무엇인지 좀 알아보려고 한다.Readable Stream 에서 한 번에 한 줄 씩 데이터를 읽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듈즉, 데이터를 읽기 위해 인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