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편적인 사용자 외에 신체적인 불편함이 있거나, 고령자, 혹은 다양한 디바이스 환경이나 운영체제에서 사용하는 사용자가 어려운 없이 접근이 가능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접근성 이라고 한다.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이나 지역, 지식의 정도, 기술, 기술적 환경, 체험 등과 같은 사항에 제한되지 않고 가능한 많은 사용자가 불편함 없이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는 제품 혹은 서비스를 만들고 이를 평가할 때 쓰이는 용어이다.
즉, 어떠한 사용자(일반인, 장애인, 고령자)가 어떠한 환경(브라우저, 운영체제, 디바이스의 환경이나 사양)에서도 어려움 없이 접근,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접근성이라고 한다.
접근성을 준수한 웹 페이지는 사용자에게 만족도와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고, 이런 관점에서 브랜드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웹은 교육, 고용, 정부, 상업, 의료, 레크레이션 등 삶의 많은 측면에서 중요한 자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다양한 능력과 환경에 있는 사람들에게 동등한 컨디션과 동등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웹 접근성을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
(대체 텍스트) 대체 텍스트 제공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에는 대체 텍스트를 제공해야 한다.
(멀티미디어 대체 수단) 멀티 미디어 대체 수단
동영상, 음성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해할 수 있도록 대체 수단을 제공해야 한다.
(명료성) 명료성
콘텐츠는 명확하게 전달되어야 한다.
색에 관계 없이 인식되어야 한다.
지시 사항은 모양, 크기, 위치, 방향, 색, 소리에 관계없이 인식되어야 한다.
텍스트와 배경 간의 명도 대비는 4.5 : 1 이상이어야 한다.
텍스트 크기가 18pt 이상
자동으로 생성되는 배경음을 사용하지 않는다.
(키보드 접근성) 모든 컨텐츠는 키보드로도 조작이 가능해야 한다.
많은 사용자들이 웹을 이용할 때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고, 키보드로 조작을 하기도 한다.
마우스로 조작이 가능한 모든 액션은 키보드로도 조작이 가능해야 한다.
(충분한 시간 제공) 컨텐츠를 읽고 사용하는데 충분한 시간을 제공한다.
시간 제한이 있는 콘텐츠는 응답시간 조절이 필요하다.
자동으로 변경되는 콘텐츠는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광과민성 발작 예방) 발작이나 다른 신체 반응을 일으키는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는다.
(쉬운 내비게이션) 콘텐츠는 쉽게 네비게이션 할 수 있어야 한다.
반복영역 건너뛰기
제목 제공
적절한 링크 텍스트
(가독성) 콘텐츠는 읽고 이해하기 쉬워야 한다.
(예측 가능성) 콘텐츠의 기능과 실행 결과는 예측이 가능해야 한다.
(콘텐츠의 논리성) 콘텐츠는 논리적으로 구성해야 한다.
콘텐츠는 논리적인 순서로 제공해야 한다.
표는 이해하기 쉽게 구성해야 한다.
(입력 도움) 입력 오류를 방지하거나 정정할 수 있어야 한다.
입력 서식에는 대응하는 레이블을 제공 해야 한다.
입력 오류를 정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 해야 한다.
(문법 준수) 웹 콘텐츠는 마크업 언어의 문법을 준수해야 한다.
(웹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콘텐츠에 포함된 웹 애플리케이션은 접근성이 있어야 한다.
🌟 W3C 웹 접근성 자습서 (노션에 정리해둔 내용 모두 읽은 뒤 구체적으로 마크업 작성을 어떻게 해야 할지 에 대해 안내하는 자습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