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DI

ChoRong0824·2023년 3월 18일
0

Web

목록 보기
20/51
post-thumbnail

스프링 스터디 2023 3월 15~18일 // 챕터 6까지 예제 공부
(원래는 4까지나 필자는 뒤처진다 생각하여 조금 더 진행)
주교재 : 스프링 5 프로그래밍 입문

Configuration

해당 클래스를 스프링 설정 클래스로 지정합니다.


Bean

@Bean 애노테이션을 붙이면 해당 메서드가 생성한 객체를 스프링이 관리하는 빈 객체로 등록합니다.

  • 스프링은 객체를 생성하고 초기화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스프링이 생성하는 객체를 빈(Bean) 객체라고 합니다.
    이 빈 객체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메서드가 greeter() 메서드, 이 메서드의 첫 번째 파라미터는 @Bean 메서드 이름인 빈 객체의 이름이며, 두 번째 파라미터는 검색할 빈의 타입입니다.

getBean() 메서드

해당하는 빈 객체를 제공


스프링 컨테이너

ApplicationContext(또는 BeanFactory) 등을 스프링 컨테이너라고 표현합니다.
주 기능은, 빈 객체의 생성, 초기화, 보관, 제거 등을 관리합니다.

BeanFactory 인터페이스

  1. 객체 생성과 검색에 대한 기능을 정의합니다.
  2. 싱글톤/프로토타입 빈인지 확인하는 기능 제공

ApplicationContext 인터페이스

메시지, 프로필/환경 변수 등을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로 정의합니다.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자바 애노테이션을 이용한 클래스로부터 객체 설정 정보를 가져옵니다.
  • GenericXmlApplicationContext :XML로부터 객체 설정 정보를 가져옵니다.
  • GenericGroovyApplicationContex : 그루비 코드를 이용해 설정 정보를 가져옵니다.

싱글톤 객체




profile
정진, "어제보다 더 나은 오늘이 되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