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턴스를 생성후...
네트워크 및 보안 부분 탄력적 IP를 설정을 해야됩니다.
인스턴스 생성 시에 항상 새 IP를 할당해야 하는데
같은 인스턴스를 중ㅈ하고 다시 시작할 때도 새 IP가 할당이 된다.
즉, 요금을 아끼기 위해 잠깐 인스턴스를 중지하고 다시 시작하면 IP가 변경된다..
굉장히 번거로우므로 인스턴스의 IP가 매번 변경되지 않고 고정 IP를 가지게 해야된다.
들어가서 현재 인스턴스 할당 받으면 된다.
중요한 포인트는 이제 인스턴스된거랑 매핑된 서버는 탄력적 IP 주소로 접근하면 된다.
다른분들은 대부분 puTTy를 사용할것이지만 필자는 Xshell 를 사용했습니다.
아 참고적으로 사용자 키는 root꺼라 그런지 바로 접속이 됬다..
따로 puTTY 를 이용해서 키를 변겨하진 않았다.
우분투는 root 였던거 같은데..ㅋㅋ 아마존 리눅스는 ec2-user 이다..
쨘 접속 성공 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