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푸는거 맞나 싶지만
MenOfPassion(A[], n){
i = ⌊n / 2⌋;
return A[i];
}
이 코드는 입력값에 상관없이 딱 한번 A배열의 특정 인덱스를 조회해 리턴하므로
1 (수행횟수)
0 (수행횟수를 다항식으로 나타냈을 때 최고차항의 차수)
가 출력된다.
import sys
n = sys.stdin.readline()
print(1)
print(0)
MenOfPassion(A[], n) {
sum <- 0;
for i <- 1 to n
sum <- sum + A[i]; # 코드1
return sum;
}
위 코드는 입력값에 따라 함수 내에서 for문이 입력한 값만큼 돌아가기 때문에
입력한 값 (수행횟수)
1 (수행횟수를 다항식으로 나타냈을 때 수행횟수 n에 비례하므로 최고차항은 1)
로 출력된다.
import sys
n = sys.stdin.readline().rstrip('\n')
print(n)
print(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