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나 네이버 등에서 키워드를 검색 했을 때, 상단에, 앞페이지에 뜰수록 유저를 유입시키기 쉬울 것이다. 같은 내용이라도 검색 엔진에서 매기는 높은 순위에 들 수 있도록 작성되거나, 프론트가 개발되어 있으면 유리할 것이다. 사이트가 검색이 유리하도록 작성하는 것을 검색 엔진 최적화 Search Engine Optimization이라고 한다. 가볍게 알아두면 좋을 것 같아서 글을 작성한다.
https://blackkiwi.net/
여기는 블랙 키위라고 어떤 키워드가 검색에 유리한지, 어떤 키워드로 글을 써야 상단에 오를 확률에 높을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썬'이라는 키워드는 불리하다. 검색자도 많지만 게시글도 이미 너무 많기 때문이다. 이런 식으로 키워드가 유리한 키워드인지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가 많다. 근데 이건 개발자보다는 블로그 운영하는 사람이나 콘텐츠 쪽 사람이 신경 써줘야하는 내용 같기도 하다.
검색 엔진이니까, 구글의 검색 엔진이 다르고 네이버의 검색 엔진이 다를 것이다. 나는 구글 기준으로 작성하겠다.
구글은 검색 순위를 매기는 기준이 완전히 자동화되어있다. 사람이 개입하지 않고 어떤 프로세스가 크롤링해서 점수를 매긴다.
참고: 크롤링이 싫다면 루트 디렉토리에 robots.txt 파일을 통해 특정 파일의 크롤링을 막을 수 있다.
# brandonsbaseballcards.com/robots.txt
# Tell Google not to crawl any URLs in the shopping cart or images in the icons folder,
# because they won't be useful in Google Search results.
User-agent: googlebot
Disallow: /checkout/
Disallow: /icons/
구글에서 제공하는 가이드를 내 나름 정리할텐데, 구글은 서치 콘솔이라고 이런 최적화 관련된 정보를 직접 입력하거나 매겨진 점수를 확인할 수 있는 콘솔을 제공한다. 내가 구글 서치 콘솔이라고 하면-> https://search.google.com/search-console/ 이 사이트를 의미한다. 참고한 가이드 자체가 구글 서치 내용이 많다.
구글의 가이드에 따라 어떤 사이트인지 알려주는 정보를 xml, html 형식 사이트맵 파일을 작성한다. 이 사이트맵 파일의 위치(url)를 구글 서치 콘솔에 입력하면 구글에서 이 사이트가 어떤 사이트인지에 관한 정보를 인지하고 검색 점수 계산에 반영해 줄 것이다.
robots.txt로 막으면 점수를 좀 깎는다고 합니다
꼭 필요한 부분에서만 표제 태그 사용하기. 구조가 잘 짜여져 있고, <em> 및 <strong>으로 대체 가능한 부분 제외하기.
이름: 삼성전자 노트북 컴퓨터 NT900X5N
평점: 4.8
사용자 검토: 540
가격: 239.99
재고 유무: 재고 있음.
등으로 데이터 양식을 잘 적어서 사용자가 알아보기 쉽게 하기. 이것도 구글 서치 콘솔에서 어떻게 보일지 확인 가능. 확실한 양식이 없는 상태에서 넣으면 오히려 불리할 수 있다.
무슨 링크인지 잘 설명해주기
반응형~
사실 검색 엔진의 점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용자이다. 여기에 추천하는 것들도 점수로 들어가는지는 모르겠다. 사용자가 명확하고 알아보기 쉬운 페이지로 만들어야한다!
검색엔진 최적화(SEO) 기본 가이드
https://developers.google.com/search/docs/beginner/seo-starter-guide?hl=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