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둘은 HTTP 프로토콜에서 제공하는 요청 시 포함하는 양식이다. 네트워크 통신 시 이 데이터로 무엇을 하려는건지 요청에 태그를 달아 보내는 것이다.
get | post | |
---|---|---|
뜻 | 자원을 '가져온다'는 의미이다 | 자원을 '생성한다'는 의미이다 |
데이터 양식 | 쿼리스트링, 파라미터 등으로 데이터 전달 | 쿼리, 파람, 바디 다 됨. 바디 사용 지향 |
데이터 길이 제한 |
있음. query라서. | 없음. body라서. |
데이터 보안 | 보안 중요한 데이터는 넣으면 안됨. query라서. | 보안 중요한 데이터 넣어도 됨. body라서 |
멱등성 | O. 같은 요청에 같은 답이 온다 | X. 같은 요청에 다른 답이 올 수 있다 |
캐시 여부 | 멱등이라 캐시 가능. cache-control 헤더로 제어 | 멱등 아니라서 캐시 효용 떨어짐 |
브라우저 히스토리 |
남긴다. 캐시해야하니까. | 안 남긴다. 보안에도 안 좋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