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드를 통해 컴퓨터에 명령할 수 있는 언어이다. 모든 운영체제에서 실행이 가능하고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라는 특징이 있다.
객체를 조합하여 프로그램을 만드는 기법(OOP)이 가능한 언어. 객체 지향은 부품을 조립하듯 객체를 조합하여 전체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코드 내의 변수, 함수, 혹은 속성을 식별하는 문자열
특수문자는 기본적으로 사용이 불가하지만 _ 와 $는 가능 / 한글 가능 / 첫 번째 문자로 숫자 X / 대소문자 구별 O
Tip) 변수명은 웬만하면 풀 네임으로, 문자명은 대문자로 시작는 것이 좋다. (단어가 바뀔때 첫글자 또한 대문자)
상수명은 전부 대문자(ex.PI)
변하는 값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
타입(int 등등) + 변수명
데이터의 형태
< 타입의 종류 >
기본 타입
레퍼런스 타입
bit : 가장 작은 정보 단위 (1bit -> 8byte)
byte: 2의 8승, 256개의 숫자 표현, -128~127
short : 바이트 다음으로 작은 단위 -32,768~32,767
bit < byte < short < int < long
문자열+실수/정수 = 문자열
문자≠문자열
타입은 중복 X 변수는 중복 O
ex)
byte val1 = 127;
byte val1 = -128;
(X)
byte val1 = 127;
val1 = -128;
(O)
long타입의 경우 int타입의 범위를 벗어나면 long이라고 표시해줘야함
ex) 100000000L;
리터럴은 정수 리터럴과 실수 리터럴 등이 있다.
Tip) 문자열 리터럴 : String str = "Good";
null 리터럴 : String str = nill;
정수 기본은 int
실수 기본은 float
println : 줄 바꿈 / print : 붙여서 출력
println = print("\n")
float은 무조건 마지막에 f붙이기
정수 + 정수 = 정수
정수 + 실수 = 실수
정수 계산은 뒤에 소수점이 잘려서 출력된다.
ex) int x=7/2;
출력값 = 3
대입할 값과 변수의 타입이 불일치 하면 컴파일 되지 않음
ex) int x=7/2; // double y=7/2.0; // 출력값 3.5 -> 실수 계산
double y=7/2; // 출력값 3.0 -> 3에서 double타입이 들어가서 3.0이 됨
System.out.println(10/4); // 정수
System.out.println(10.0/4); // 실수
System.out.println(2.9+1.8);
System.out.println((int)2.9+1.8); // 사실상 2+1.8 왜냐면 int(정수)타입 때문에
System.out.println((int)2.9+(int)1.8); // 사실상 2+1
System.out.println((int)(2.9+1.8)); // 4.7에서 뒤에 소수점 날라감
출력값
2
2.5
4.7
3.8
3
4
import java.util.Scanner;
...
Scanner a = new Scanner(Syste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