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을 알게 된지 얼마 안되었을때는 vscode로 작업했던 것들을 ctrl+c ,ctrl+v ....로 무한반복해서 올렸었는데 git을 공부한 이후로 시간+노동 낭비를 하고 있었다는 걸 깨달았다...
그래서 준비한 포스트
나는 싸피코테 준비를 위해 코드를 저장할 새 repositories를 생성하였다.
생성하였다면 화면에 보이는 초록색의 <>code
블럭을 클릭하여 Https
의 url
을 복사한다.
자신이 연동할 위치에서 ctrl + shift + p
로 Command Palette
을 열어서 git clone을 입력한뒤 Git:Clone
을 선택한다.
참고
Git:Clone(Recursive)
는 하위 모듈 및 서브모듈을 재귀적으로 클론하는 옵션인데 이 옵션을 사용하면 프로젝트의 모든 종속성 및 하위 모듈을 가져올 수 있어서 편리하다고 한다.
git clone
을 선택하면 Clone from GitHub
가 뜨는데 나는 Git 이 지정되어있어서 바로 뜬다
여기에다 아까 복사해둔 url을 붙여넣으면 된다.
그렇게 하면 파일창이 뜨는데 clone하는 repositories 를 저장할 파일을 선택하면 된다.
vscode와 git이 잘 연결 된 모습이다.
여기서 필요한 작업들을 하고 다시 git에다 저장을 하려면
새로 생겼거나 변경된 내용이 있으면 Changes에 뜨게 되는데 Message부분에다가 어떤 내용인지 적고 commit 을 눌려서 하는 방법이 있지만 나는 터미널로 작업하는게 편해서 터미널로 진행해보려고 한다
ctrl + ~
로 vscode에서 터미널을 열고
$ git add .
위의 명령어는 모든 파일을 다 add
한다는 뜻이다.
$ git commit -m " "
commit
을 해주는 명령어이다-m
은 메세지와 함께 commit 가능하게 하는 명령어이다 " " 안에 남길 메시지를 적으면된다.
$ git push origin main
다음 자신이 저장하고자 하는 branch
이름을 적고 push
하면 된다.
올라온 모습을 볼 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