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 통신망이라고 불리며, 보통 직렬 라인으로 연결되어 물리적으로 각기 다른 넓은 지역을 서로 연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WAN에서 주로 사용하는 기술과 프로토콜에는 X.25, PPP, HDLC, Frame-relay, ATM, ISDN, SONET, SDH, WDM등이 있다.
WAN에서의 전송속도는 64Kbps이하급 에서부터 10Gbps까지 다양하다.
1) 지역성이 제한이 없다.
2) 원거리 통신은 대체적으로 느리다.
3) 여러 LAN과 상호작용 한다.
4) LAN보다 복잡하고 어렵다.
5) 기술적인 비용이 더 많이 든다.
6) LAN처럼 직접 케이블을 깔아서 쓰는 방식이 아니다.
CSU/DSU (Channel Service Unit/Digital service Unit) : LAN 프레임을 WAN 프레임으로 변환한다. HDLC등을 지원한다.
대표적인 회선교환방식은 전화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전송이 이루어지기 전에 먼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전용 전송로 ( dedicated transmission path)를 설정한다.
장점 : 회선을 할당받아 사용하기 때문에 안정적이고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
단점 : 효율성이 떨어진다. ( 연결이 설정된 후에는 회선은 다른 사용자가 사용을 할 수가 없다.)
패킷 형태로 만들어진 데이터를 패킷교환기가 목적지 주소에 따라 적절한경로를 선택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교환방식이다.
노드가 교환기(switch)의 역할을 수행한다.
노드가 메시지를 축적하지는 않는다. ->
빠른 응답시간이 요구되는 응용에 사용 가능
경로변경 방식에 따라 교환기 통신 회선 등의 장애가 발생할 경우에도 대체 경로를 선택할 수 있어 네트워크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임대회선, 회선제어방식에서 사용하는 Point to Point Protocol
이 프로토콜은 인터넷 사용이 기업을 넘어 개인에게 까지 보급이 되면서 고가의 장비와 전용회선 없이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하여 생겨난 프로토콜이다.
모뎀과 전화선을 이용하여 TCP/IP등의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토콜로, 데이터링크계층에 존재한다.
PPP는 3계층의 IPX, IP등 다양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가 있다.
PPP프로토콜은 DOWN - CONFIG - AUTH - UP 순서로 협상을 한다.
PPP프로토콜은 물리계층에서 동기 혹은 비동기 형태로 작동 할 수가 있다.
PAP, CHAP을 이용하여 인증을 한다.
PPP프로토콜은 LCP, NCP 프로토콜을 실행 시킨다.
인증 :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인증과정을 제공하며, 인증방식은 PAP와 CHAP를 사용한다.
압축 : 통신회선의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송신 전 데이터를 압축하고 수신 후 압축을 해제하는 방법을 사용하며, 시스코 장비에서는 Stacker와 Predictor 두 가지 압축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에러 검출 : 데이터에 패리티 비트 등의 특별한 정보 비트를 부가하여 전송 중에 발생하는 오류를 자동으로 검출하는 기능
다중 링크 : PPP는 시리얼 라인에서 물리적인 여러 채널을 하나의 논리적인 채널로 묶어 데이터를 나누어 보냄으로써 지연을 줄여서 처리량을 증대시키는 기능
각 PPP 장비가 LCP 패킷을 보내면 연결이 설정되고 테스트 하며, LCP의 영역을 이용해서 각 장비는 데이터의 크기와 압축, 인증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게 된다.
설정이 완료가 되면, CHAP 또는 PAP가 연결을 인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인증 절차는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의 정보를 읽어 들이기 전에 수행한다. ( 인증 절차는 선택적이다. )
여러 개의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을 캡슐화 하고 PPP Data Link를 통해 전송하기 위해 PPP NCP를 사용한다.
캡슐화
송신지 호스트의 각 계층을 지나갈때마다 해당 계층의 프로토콜을 처리하고 데이터에 헤더를 추가하는 것이다.
PAP는 두 가지 방법 중에서 보안 수준이 낮은 방법이며, 패스워드는 일단 Text형식으로 보내지고, PAP는 초기 접속 시에만 인증을 수행한다.
CHAP는 초기 연결 시에 사용되며 주기적으로 계속해서 라우터가 동일한 호스트와 통신을 하고 있는지 조사하는데도 사용되며, MD5라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계산된 값을 보낸다.
왼쪽부터 A,B라우터라고 했을 때
A라우터가 B라우터에게 CHAP chap 명령으로 구성된 통신을 보낸다.
B라우터는 A라우터에게 challenge 패킷을 보낸다.
A라우터는 MD5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패스워드를 해싱처리하여 라우터B에게보낸다.(Response)
B라우터는 A라우터에게 접속허가 또는 접속 불허 패킷을 보낸다.
Response : challenge로 자신의 패스워드 암호화
데이터와 음성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음
실제로 데이터와 텍스트, 음성, 음악, 그래픽, 동화상을 기존의 회선을 사용하여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E문자로 시작하는 프로토콜은 기존의 전화 회선 상에서 ISDN을 사용하는 것
I문자로 시작하는 프로토콜은 상황, 서비스를 다룬다.
Q문자로 시작하는 프로토콜들은 스위칭과 시그널링을 다룬다.
ISDN은 단말 상호간에 일정 속도의 회선을 설정하는 회선교환 서비스와 정보를 적당한 길이의 패킷을 분할해서 송신하는 패킷교환 서비스가 있다.
ISDN에서 BRI 서비스는 2개의 B채널과 한개의 D채널을 제공한다.
B채널은 디지털화된 음성 전송 또는 상대적으로 고속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다
D채널은 데이터조합, 제어/시그널링 그리고 X.25 패킷 네트워킹에 사용된다.
시그널링
통신의 상대방을 찾아 세션의 성립, 유지, 햐제, 관리를 제어하는 것이다.
네트워킹
네트워크를 연결/유지 하기 위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적인 모든 것
WAN Protocol로 OSI 7계층 중에서 2계층에 해당한다.
Frame-Relay는 라우팅을 하지 못한다.
Frame-Relay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Frame-Relay Switch와 Router가
상호연결 돼있어야 한다.
Routing 부분은 Router가 담당을 하고, Frame-Relay가 2계층의 스위치 역할을 하여 스위칭을 한다.
AT&T, 하나로통신망 등 여러 WAN에 사용됨
높은 처리율과 낮은지연성
최대 45Mbps까지 속도를 지원한다. ( ATM : 622Mbpc, ISDN : 128Kbps )
Frame-Relay에서 도착지까지 찾아가는데 필요한 것은 DLCI 값이다.
Frame Relay는 Connectionless와 Connection Oriented방식을 지원하지만 전용회선과 유사한 Connection Oriented를 지원하는 PVC(Permanent Virtual Circuit)방식을 사용한다.
DLCI (Data Link Connection Identifier) 값은 Frame-Relay 표준에서 976개로 제한되어 있으며, 물리적인 인터페이스에서 논리적인 DLCI 값을 976개를 만들 수가 있다는 것이다.
고객 장비와 Frame-Relay Switch간의 인터페이스는 UNI (User-to-Network Interface)이며,
Frame-Relay와 Frame-Relay간의 인터페이스를 NNI (Network-to-Network Interface)라고 한다.
DTE
데이터를 발생하는 장치 (단말)
DCE
DTE 입장에서의 전송로(통신망)을 대표하는 것이다.
전송로 및 데이터단말장치 간에 신호의 변환 및 부호화 회선 접속 기능등을 수행한다.
주로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는 장치이다. (모뎀, DSU/CSU)
Frame Relay의경우 라우터 사이에 여러개의 가상회선을을 둘 수가 있다.
Serial Interface상에 여러 개의 가상 회선을 만들 수 있고 각각을 분리된 Interface처럼 다룰 수 있는 기법을 Subinterface라고 한다.
Subinterface의 형식에는 Point-to-Point와 Multipoint가 있다.
Point to point 부분은 라우터를 하나의 PVC로 사용해서 다른 라우터에게 연결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즉, 물리적으로 중개 장치를 통과하지 않고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두 장비간의 통신을 의미한다.
Multipoint는 가상 회선의 여러 개의 서브 인터페이스를 연결된 형태를 의미하며, 가상 회선의 스타형 중심에 있을 때 사용한다.